[생리학] 5번 문제
질문 요약: 헤모글로빈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 보기 분석
① “운동시 감소한 pH는 헤모글로빈의 산소친화력을 증가시켜 운동하는 근육으로의 산소분리가 증가한다.”
- ❌ 틀림.
- pH가 감소(산성화) → Bohr 효과 발생 → 헤모글로빈의 산소친화력은 감소함
→ 산소를 잘 ‘붙잡는’ 것이 아니라 ‘놓는’ 쪽으로 바뀜 → 산소 분리는 증가하므로 문장 후반은 맞지만, 앞부분의 "산소친화력이 증가"는 오답 포인트임. - ✅ 정답 문장으로 고치면:
"운동 시 감소한 pH는 헤모글로빈의 산소친화력을 감소시켜, 운동 근육으로의 산소 분리가 증가한다."
② “산소분압 20 mmHg에서, 마이오글로빈에 비해 헤모글로빈의 산소친화력이 높다.”
- ❌ 틀림.
- Myoglobin은 근육 내에 있고, 낮은 산소분압에서도 산소를 잘 잡고 있음 → 산소친화력이 매우 높음
→ 특히 20 mmHg 같은 낮은 산소분압에서는 헤모글로빈보다 훨씬 더 높은 친화력을 가짐. - → 이 문장은 정반대임.
③ “헤모글로빈 농도는 일반적으로 남성에 비해 여성이 높다.”
- ❌ 틀림.
- 일반적으로는 남성 > 여성임.
남성의 근육량, 테스토스테론의 영향 등으로 헤모글로빈 농도가 더 높음 (보통 남성은 1418 g/dL, 여성은 1216 g/dL)
④ “헤모글로빈 1g은 약 1.34mL의 산소와 결합할 수 있다.”
- ✅ 정답.
- 아주 정확한 생리학 수치임.
- ▶ 산소운반 용량 공식에서도 사용됨:
-
산소함량 = (Hb g/dL × 1.34 × SaO2) + (0.003 × PaO2)
✅ 정답: ④번
📌 핵심 개념 요약 (10줄 이내)
- 헤모글로빈은 혈중 산소를 운반하는 단백질.
- pH가 낮아지면 산소친화력은 감소 (Bohr 효과).
- 마이오글로빈은 낮은 산소분압에서 산소친화력이 더 높음.
- 남성이 여성보다 일반적으로 헤모글로빈 농도가 높음.
- Hb 1g은 약 1.34 mL 산소와 결합 가능.
🔑 해시태그 요약
#헤모글로빈 #Bohr효과 #산소친화력 #Myoglobin #산소운반
🎯 예상문제 (응용/변형)
문제: 다음 중 Bohr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체온 상승은 산소친화력을 증가시킨다
② pH 감소는 산소친화력을 증가시킨다
③ CO2 증가와 pH 감소는 산소 방출을 촉진한다
④ Bohr 효과는 폐에서 산소 결합을 증가시킨다
정답: ③
해설: Bohr 효과란 CO2 증가와 pH 감소가 헤모글로빈의 산소친화력을 감소시켜 조직으로 산소를 더 잘 방출하게 하는 현상임.
🔬그럼, 마이오글로빈은 언제 산소를 조직에게 내어주는데?
🔵 요약:
산소분압이 매우 낮아졌을 때, 즉 극심한 산소 부족 상태(산소분압 5~10 mmHg 이하)에서만 산소를 방출함.
📌 배경 설명:
1. 📉 산소포화곡선 모양 차이
- 헤모글로빈(Hb): S자형 곡선 (sigmoid curve)
→ 산소 친화력 변화가 급격히 조절됨 (협동 결합, cooperative binding) - 마이오글로빈(Mb): 급상승하는 단순 곡선 (hyperbolic curve)
→ 산소 하나를 매우 강하게 붙잡고 있음
2. 🟥 산소 친화력 비교
산소분압mmHg | 헤모글로빈 산소포화도 | 마이오글로빈 산소포화도 |
40 | ~75% | ~95% |
20 | ~35% | ~90% |
5 | ~10% 이하 | ~50% 이하 |
→ 이 표를 보면, 20 mmHg에서도 마이오글로빈은 산소를 놓지 않음.
3. 🧠 언제 산소를 주느냐?
- 마이오글로빈은 일반적인 운동이나 안정 시에는 산소를 거의 방출하지 않음.
- 그러나,
- 격렬한 운동
- 국소적인 저산소 상태
- 혈류가 감소한 조직
→ 이런 상황에서 산소분압이 10 mmHg 이하로 떨어지면 비상용 산소 저장고처럼 산소를 "딱!" 내줌.
🧠 기억팁:
“마이오글로빈은 근육 속 보조 탱크다. 진짜 위급할 때만 열어준다.”
🔑 정리 한 줄:
마이오글로빈은 산소분압이 5~10 mmHg 이하로 떨어지는 심한 저산소 상황에서만 산소를 조직에 내어준다.
✅ 산소해리곡선(Oxygen-Hemoglobin Dissociation Curve) 완전정복
📘 운동생리학/병태생리학 공통 핵심 개념 정리
🔍 산소해리곡선이란?
산소해리곡선은 혈액 속 **헤모글로빈(Hb)**이 **산소(O₂)**와 얼마나 결합하거나 놓는지를 보여주는 그래프입니다.
- X축: 산소분압 (mmHg)
- Y축: 산소포화도 (%)
- 형태: S자형 곡선 (sigmoid shape)
이 곡선을 통해, 조직이 산소를 얼마나 잘 받을 수 있는지를 예측할 수 있어요.
📈 S자 곡선이 되는 이유는?
✔️ 협동결합(cooperative binding) 때문입니다.
→ 산소 1분자가 결합되면, 나머지 3분자가 더 쉽게 결합되는 구조를 갖습니다.
그래서 처음엔 완만히 오르다가, **중간 산소분압 구간(40~60mmHg)**부터 급격히 상승하는 S자 곡선이 나와요.
🔴 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 산소 방출이 쉬워져서 조직으로 더 잘 전달됩니다.
▶ 오른쪽 이동 유도 요인들:
조건 | 이유 |
pH ↓ (수소 상승) | 산성화 → Bohr 효과 |
CO₂ ↑ | 대사활동 증가 |
체온 ↑ | 운동, 발열 |
2,3-DPG ↑ | 적혈구의 산소방출 보조물질 |
📌 핵심 문장:
→ “운동하면 곡선은 오른쪽! 조직에 산소를 더 내어줌.”
🔵 곡선이 왼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곡선이 왼쪽으로 이동하면 👉 산소를 놓지 않고 잘 잡고 있으려는 상태입니다.
▶ 왼쪽 이동 유도 요인들:
조건 | 이유 |
pH ↑ | 알칼리성 환경 |
CO₂ ↓ | 호흡 감소, 과호흡 |
체온 ↓ | 저체온 |
2,3-DPG ↓ | 적혈구의 산소방출 억제 |
📌 핵심 문장:
→ “저체온·휴식 상태에서는 산소를 더 오래 붙잡고 있음.”
🧠 정리표: 산소분압별 산소포화도
산소분압 mmHg | 산소포화도(%) | 위치/상황 |
100 | 98% 이상 | 폐(산소포화 최고) |
60 | ~90% | 안정 상태 기준점 |
40 | ~75% | 근육조직 수준 |
20 | ~35% | 격렬운동 시, 저산소 조직 |
🌟 보너스 개념: 마이오글로빈(myoglobin)은 언제 산소를 줄까?
- 산소포화 곡선: 직선에 가까운 형태 (Hyperbolic curve)
- 산소분압 20 mmHg 정도까지도 산소를 놓지 않음.
- → 진짜 **산소가 부족한 상황(5~10mmHg 이하)**에서만 비상용 산소 탱크처럼 방출!
📌 비유로 기억
마이오글로빈은 “응급용 산소 저장고”처럼 생각하자.
평소엔 안 주고, 진짜 급할 때만 줌!
🧪 산소해리곡선 예상문제 스타일 (실전 대비용)
문제:
다음 중 산소해리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조건으로 옳은 것은?
① pH 상승
② 체온 감소
③ CO₂ 증가
④ 2,3-DPG 감소
정답: ③ CO₂ 증가
해설: 대사활동이 많아질수록 산소가 더 필요해져 Hb은 산소를 쉽게 방출하려 하고, 그 결과 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합니다.
🧷 3줄 요약
- 산소해리곡선은 산소포화도와 산소분압 관계를 보여주는 S자형 그래프입니다.
- 운동, 체온상승, CO₂ 증가, pH 감소 → 곡선 오른쪽 이동(산소방출↑)
- 마이오글로빈은 매우 낮은 산소분압에서만 산소를 방출하는 응급용 저장고입니다.
📎 관련 키워드
#산소해리곡선 #Bohr효과 #협동결합 #산소포화도 #마이오글로빈 #운동생리학 #건강운동관리사
'🔴건강운동관리사🔴 > ✔️오답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답노트ㅣ22년 병태생리학 14번 [면역글로블린 암기법] (0) | 2025.04.24 |
---|---|
오답노트ㅣ22년 기능해부학 19번 : [질환별 전형적인 보행 패턴] (0) | 2025.04.23 |
오답노트ㅣ22년 기능해부학 17번 [발목과 발의 신경손상] (0) | 2025.04.23 |
오답노트ㅣ22년 기능해부학 16번 [쥐기 : Power Grip] (0) | 2025.04.23 |
오답노트ㅣ22년 운동부하검사 7번 [ST분절과 관상동맥질환의 상관관계] (0) | 2025.04.23 |
오답노트ㅣ22년 운동처방론 14번 [산소섭취량->METs로 환산하기] (0) | 2025.04.22 |
오답노트ㅣ22년 건강체력평가 16번 [분산 설명력] (0) | 2025.04.22 |
오답노트ㅣ22년 운동생리학 17번 [순환계] (0) | 2025.04.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