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건강운동관리사 개념🟪130

[EPOC] 운동 후 초과산소섭취량(EPOC, Excess Post-exercise Oxygen Consumption) 개념 정리 요약 ✅ EPOC란?운동 후 회복기 동안 산소 소비량이 안정시 수준보다 계속 높은 상태즉, 운동이 끝났는데도 몸이 계속 "산소를 더 쓰고 있는 상태"를 의미함.📌 정의:운동 후 회복기 동안 산소 소비량이 안정시보다 높은 현상이 현상은 운동 중 ATP-PCr 시스템, 해당계, 심폐계, 체온 조절 등 다양한 요소가 교란된 걸 회복하기 위한 대사 반응이기 때문이야.✅ EPOC가 나타나는 이유 (즉, 무엇을 회복하는가?)운동이 막 끝난 상태를 상상하면서 읽어보자. 숨을 헐떡이고 있어! 그런 중에 몸은 계속 산소를 요구하는데 왜 산소가 필요한걸까!?회복 요소 (xxx을 하려고)설명🔋 ATP-PCr 재합성 빠른 회복을 위한 핵심 반응 (에너지 시스템 복구)🧪 젖산 제거젖산 → 피루브산 → 산화 or 글루코오스로 전.. 2025. 5. 29.
[소뇌] 운동제어(Motor Control)의 원심성복제 신호와 고유감각피드백 원문 : 근육에 전달된 운동명령의 원심성복제 신호는 해당 운동의 기대목표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기 때문에 인간은 고유감각 피드백만이 허용되는 상황에서도 운동 오차를 탐지 및 수정할 수 있다. 원심성복제를 이용한 오차 처리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신경계 영역/시스템으로 옳은것 은 무엇인가?정답은 소뇌.원문이 무슨 말인지 파헤쳐보자.✅ 먼저 문장부터 쉽게 풀어보자:"근육에 전달된 운동 명령의 원심성 복제 신호는 해당 운동의 기대 목표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기 때문에 인간은 고유감각 피드백만이 허용되는 상황에서도 운동 오차를 탐지 및 수정할 수 있다."🔍 이걸 단계별로 풀자면:운동 명령이 뇌에서 생성되어 근육으로 내려갈 때, 그 명령의 **복사본(efference copy)**도 함께 만들어짐→ 이게 바로 ".. 2025. 5. 29.
[신경근] 경추와 요추 신경근 나오는 순서와 디스크 탈출 시 영향받는 신경근 번호가 다른 원리와 이유 질문 포인트 : C6-7 사이로 나오는 신경근은 밑 뼈 번호 = C7 신경근이 나오고, L3-4 사이로 나오는 신경근은 위 뼈 번호 = L3 인건 알겠는데, 디스크 탈출 시 둘 다 아래 뼈 번호의 신경근이 손상된다는건 왜지?요점 : 경추와 요추의 신경이 나오는 위치 규칙이 달라서 그럼 ✅ 결론 요약구분디스크 위치손상받는 신경근구분디스크 위치손상받는 신경근경추(Cervical)예: C6-7C7 신경근 (→ 아래 번호)요추(Lumbar)예: L4-5L5 신경근 (→ 아래 번호) 즉, 둘 다 "디스크 번호 아래의 신경근"을 손상시킨다는 공통점이 있어.하지만 왜 그런지 기전이 달라!🔍 왜 그런지 구조적으로 설명🔵 경추(Cervical spine)C1~C8 신경은 척추뼈보다 하나씩 위쪽에 나감예: C6-7 디.. 2025. 5. 29.
[기흉, 공기가슴증(Pneumothorax)] 주요증상과 종류 구별 암기 ✔ 기흉(공기가슴증(Pneumothorax)의 주요 증상호흡음 감소 또는 소실 (해당 폐 허탈로 인해)호흡곤란, 흉통, 청색증긴장성 기흉: 기흉 중 가장 위급. 흉막내 압력 ↑ → 반대쪽 기관 편위 + 쇼크 발생 가능 ① 손상 구조와 해부학적 기능 요약정의: 공기가 흉막강(pleural cavity)에 비정상적으로 유입되어 폐가 부분 혹은 완전히 허탈된 상태정상 해부학:흉막강은 내장흉막(visceral pleura)과 벽측흉막(parietal pleura) 사이 공간정상 상태에서는 음압 유지 → 폐가 흉벽에 밀착된 상태 유지기흉 발생 시:공기 유입 → 흉막강 내 압력 증가 → 음압 붕괴결과적으로 폐가 허탈(collapsed lung) 상태로 수축됨② 손상 기전 요소별 분석🔹 1) 원인에 따른 분류일차성.. 2025. 5. 28.
[천식] 내인성 vs 외인성 (천식 원인이 밖/안쪽의 여부로 판단?! NO! ) "외인성 vs 내인성" 천식의 구분은 말 그대로 "원인이 내부냐 외부냐" 기준이 아니라, "면역학적 반응이 개입되었느냐" 기준으로 구분하는 거임.🔍 외인성 천식 (Extrinsic Asthma = 알레르기성 천식)IgE 매개 면역반응이 개입됨 (Type I 과민반응)꽃가루, 먼지, 진드기, 동물털 같은 **알레르겐(allergen)**이 원인대부분 소아기 발병, 아토피 체질 동반쉽게 말하면, 외부 항원 → IgE 반응 → 히스타민 분비 → 기도 수축🔍 내인성 천식 (Intrinsic Asthma = 비알레르기성 천식=비특이적 자극)면역반응 없이 발생비특이적 자극(냉기, 운동, 스트레스, 감염 등)에 의해 유발성인기에 많이 발생혈액검사해도 IgE 수치나 알레르겐 반응 없음❓그럼 운동유발천식은 왜 '내인.. 2025. 5. 28.
[척추뼈] 목뼈/등뼈/허리뼈 돌기(processes) 비교 설명 요약 🔍 1. 왜 돌기의 구조가 다를까?척추뼈는 몸통을 지지하면서도, 움직임과 안정성 사이의 균형을 맞춰야 해.돌기(process)는 이때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해:✔️ 근육/인대 부착점✔️ 지렛대 역할(운동 방향 유도)✔️ 관절의 제한 or 유도✔️ 신경 통로 보호 또는 간섭 방지 ✅ 기본 용어 정리: 척추뼈의 돌기(processes)모든 척추뼈에는 기본적으로 아래 7개의 돌기가 있어:종류개수설명종류 개수설명① 극돌기(spinous process)1개뒤로 돌출② 횡돌기(transverse process)2개좌우로 돌출③ 상관절돌기(superior articular process)2개위쪽 관절면④ 하관절돌기(inferior articular process)2개아래쪽 관절면🔢 총 7개✔모든 척추뼈 공통 구조 .. 2025. 5. 28.
[ACL]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손상 기전 요소 정리 요약 다른 인대와 달리 ACL은 비접촉성(non-contact injury)이 많고, 운동 중 발생 빈도가 높은 손상이라서 운동기능해부학 + 운동역학 + 외부환경요소를 함께 고려해야 해.🔬 1. ACL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요약 위치: 대퇴골(femur)의 외측과 내측에 걸쳐 → 경골(tibia)의 전내측(anterior medial) 부착기능:① 경골이 대퇴골 앞쪽으로 전방 전위되는 것을 방지② 과도한 회전(rotational stress) 제어③ 무릎의 안정성 유지 (특히 굴곡 20~30도일 때 가장 취약)🔴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 급정지, 방향전환, 착지 후 안정화💥 2. ACL 손상 기전 요소들 (운동손상학 관점)✅ (1) 비접촉 손상 메커니즘주요 원인: 회전력 + 외반력 + 전방전위력의 삼중작용.. 2025. 5. 28.
[특이도] 가양성(false positive, FP)이 나오는 원인 해설(특이도를 떨어뜨리는 요인) 심장에 병이 없는데도 검사상 이상이 있는 것처럼 나오는 경우야. 즉, 특이도(specificity)를 떨어뜨리는 요인들이지.이제 각 원인을 기전 중심으로 간단하지만 깊이 있게 풀어줄게.※ 일부 항목은 중복되는 기전이 있으므로 구조적으로 묶어 설명함.✅ 가양성(FP)이 나오는 원인 12가지📌 핵심 개념:심장에 실제 문제가 없어도 ST분절 변화나 ECG 이상이 발생하면 → 가양성운동부하검사의 **특이도(specificity)**를 떨어뜨리는 요인들✅ ① 안정 시 ST분절 1.0mm 초과 하강🔵개념: 검사 시작 전부터 이미 ST 하강이 존재함🔴기전: ST 기준선이 왜곡된 상태에서 운동 시 더 내려가면 허혈로 오해됨🟡오류 발생: 실제 허혈 때문이 아니라 비특이적 변화인데, 기준치(1mm 이상 하강)를 넘.. 2025. 5. 28.
[민감도] 가음성(false negative, FN)이 나오는 원인 해설(민감도를 떨어뜨리는 요인) 가음성은 실제로 심혈관질환이 있는데도 검사 결과상 '정상'으로 나오는 경우를 말해. 이게 왜 위험하냐면, 심장병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발견되지 않기 때문에 예후 관리나 예방적 치료가 누락될 수 있기 때문이야.그럼 각 원인을 하나씩 기전 중심으로 자세히 풀어줄게.✅ ① 허혈역치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개념: 심근허혈(myocardial ischemia)은 보통 일정 수준 이상의 심박수/운동강도에서 나타나. 이를 허혈역치(ischemic threshold)라고 해.🔴기전: 운동 강도가 충분히 올라가지 않으면 심장에 부담이 생기지 않음 → 산소요구량이 증가하지 않음 → 관상동맥의 협착이 있어도 티가 안 남🟡주의사항: **베타차단제(beta-blockers), 질산염(nitrates), 칼슘채널차단제(CCBs.. 2025. 5. 28.
[심전도] ST분절의 여러가지 모양 정리 (상승과 하강, 하강의 상향/수평/하향) 심전도(ECG, EKG)에서 ST 분절을 보고 **심근허혈(myocardial ischemia)**이나 **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의 심각도를 평가할 때 핵심이 되는 개념이야.ST 분절은 심전도에서 심실이 탈분극을 마치고 재분극이 시작되기 직전 상태를 반영하고 있어.⚫ ST 분절(ST segment)이란?QRS파와 T파 사이의 평평한 구간심실이 수축을 완료하고 이완하기 직전 상태이게 올라가거나 내려가면, 심근이 뭔가 잘못된 상태라는 신호야✅ 1. ST 분절 상승(ST Elevation)🔹 개념ST분절이 기준선(등전선)보다 위로 올라간 상태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 MI) 가능성 높음 . 심근전체가 허혈=>괴사급암기 : ST분절이 상승했다-> 하늘 나라.. 2025. 5. 27.
[건강체력평가] 평균/표준편차/Z점수/T점수 어떻게 쓰는지 알아보자 공식만 냅다 외우면 되는 문제가 나오다가 이제는 이 개념을 활용해 자료를 분석할 줄 아는지를 묻는 경향의 문제들이 나오는 것 같음.평균이야 고등학생때까지만 해도 내가 받은 점수가 원점수이고, 평균은 모든 과목 점수 합쳐서 과목수로 나누면 되고 그렇게 일상에서 쓸 수 있는 것까지만 기억하다가 건운사 통계 공부하려면 Z 점수나 T점수 나오면서 이걸 왜 쓰노 하는 의문이 생기게 됨. 표준편차도 솔직히 수능 고득점자애들이나 사용하지, 최소 몇 등급만 넘기면 되는 지방대는 표준편차로 합격당락을 결정하진 않는다. 그러니까 통계용어가 어색할 수 밖에 없다. 네, 자기소개였습니다.그러니까, 통계 용어가 무엇을 의미하고 왜 필요한지 사용예시와 해석 방법을 통해 조금 더 친숙해져보자.✅ 1. 평균 (Mean)🔹 개념→.. 2025. 5. 27.
[건강체력평가] 규준지향기준 vs 준거지향기준 정리 암 ✅ 규준지향평가(Norm-Referenced Evaluation)🔹 개념**규준(norm)**이란 "집단 내 다른 사람들과 비교해서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말함.즉, “상대평가” 개념이야.학습자 개인의 성취를 다른 사람들과 비교해서 판단함.✅ 1. 규준(規準)規 (규): 법, 기준, 규칙 → "잣대"를 의미準 (준): 맞출 준, 표준 → 어떤 것에 맞추는 것📌 풀이:→ “다른 사람들과 비교해서 판단하는 기준”→ 규칙이나 기준에 맞춰서 다른 사람과 비교하는 평가임💡 그래서 규준지향은 "그 집단에서 통용되는 규칙(평균, 표준편차 등)에 비춰서 내 위치를 본다"는 뜻이야.🔹 특징개인의 순위, 등수, 백분율 등을 제공집단 내 평균과 분포가 중요개인의 성취 정도보다는 **다른 사람보다 잘했는가?**가 핵심.. 2025. 5. 27.
[병태생리학] 📌 류마티스관절염 vs 골관절염 비교 정리 📌 류마티스관절염 vs 골관절염 비교 정리✅ 1. 질환의 개요🔴 류마티스관절염 (RA): 자가면역질환. 관절 내막(synovium)에 만성 염증이 생겨 여러 관절에 대칭적으로 나타남.🔵 골관절염 (OA): 퇴행성 관절질환. 관절 연골(cartilage)이 점진적으로 닳아 없어지는 구조적 손상 질환.✅ 2. 원인RA: 자가면역 이상 + 유전 + 환경 (예: 흡연)OA: 노화, 과체중, 과사용, 외상, 근육약화 등 기계적 손상✅ 3. 병태생리 요약RA✔ 면역세포(T세포, B세포 등)의 활성화✔ 활막염(synovitis) 발생 → 활막증식(pannus 형성)✔ 연골/뼈 침식 → 관절 변형OA✔ 연골 세포의 퇴행 + 기계적 스트레스✔ 연골 점진적 마모✔ 뼈증식(골극 형성 osteophyte) + 관절 간격.. 2025. 5. 27.
[운동생리학] 📘 정맥혈 회귀와 호흡펌프 기전 요약정리 ✅ 핵심 개념 요약 (10줄 이내)**정맥혈회귀(venous return)**는 정맥의 혈액이 심장으로 되돌아오는 것.호흡 중 횡격막의 움직임은 흉강과 복강의 압력 변화를 유발함.흡기(inhalation) 시:횡격막 하강 → 흉강 내압 감소흉강 압력 정맥혈이 흉강으로 끌려 올라가며 정맥혈 회귀 증가호기(exhalation) 시:횡격막 상승 → 흉강 내압 증가공기 배출 + 복강 압력 증가 → 복부 정맥 압박이처럼 호흡에 따른 압력변화가 정맥혈회귀에 기여하는 메커니즘을 **호흡펌프(respiratory pump)**라고 함.🔬 비교: 근육펌프 vs 호흡펌프항목근육펌프호흡펌프항목근육펌프호흡펌프기전하지 근수축 시 정맥 압박흉강-복강 압력 차 이용대상하지 정맥 → 심장복부 정맥 → 심장운동 시점근수축 동반 시주.. 2025. 5. 26.
[운동생리학] 📘호흡조절 중추의 신경자극 정리 (운동 생리학) ✅ 핵심 개념 요약 (10줄 이내)**호흡조절 중추(control center)**는 대뇌, 연수 등에서 호흡을 통제함.조절 메커니즘은 ① 신경자극과 ② 체액성 자극으로 나뉨.운동 중에는 주로 신경성 자극이 호흡중추를 활성화시킴.말초감각수용체(관절, 근방추, 골지힘줄기관)는 운동 상태를 대뇌에 전달함.근육 내 화학수용체는 K⁺, H⁺ 농도 증가에 반응하여 중추에 자극을 보냄.심장의 기계적 수용체도 심박출량 증가에 관여하면서 호흡중추에 정보 제공.동맥소체(carotid body)는 O₂↓ 또는 CO₂↑ 상황에서 호흡을 자극함.**하지만 산소분압 증가(O₂↑)**는 호흡자극을 유발하지 않음 → ❌ 오답포인트특히 인간의 대동맥소체와 중추 화학수용체는 O₂↑에 반응하지 않음결론: 운동 중 호흡조절은 CO₂↑, .. 2025. 5. 26.
[운동생리학] 크기 원리와 그 예외 – 운동단위 동원 요약정리 ✅ 핵심 개념 요약 (10줄 이내)**크기 원리(size principle)**란, 작은 운동뉴런부터 큰 뉴런 순서로 동원되는 원리.작은 운동단위는 **지근섬유(slow-twitch fiber)**를 포함하며, 가벼운 부하나 지속 운동에 적합함.큰 운동단위는 **속근섬유(fast-twitch fiber)**를 포함하며, 무거운 부하, 고강도 운동에서 동원됨.이는 점진적 힘 생산에 효과적이고 운동 단위 통합 조절에 유리함.하지만 고강도·고속 파워 운동에서는 예외적으로 큰 뉴런이 먼저 동원되기도 함.이는 느린 운동단위를 건너뛰고, **빠른 섬유(FG)**를 먼저 활성화함으로써, 즉각적 폭발력을 가능하게 함.즉, 크기 원리의 예외는 고속, 고강도, 폭발적 움직임에서 발생함.반면, 일반적인 상황(걷기, 일상활동.. 2025. 5. 26.
[운동생리학] 💜포스포프록토키나아제(PFK) 조절 요약💜 📚 출처: 파운생 10판 p.60 + 이하나의 티스토리 서사 해설⚫ PFK란?해당과정(glycolysis)의 속도제한효소(rate-limiting enzyme)포도당 → 피루브산으로 가는 대사에서 속도를 조절함효소 활동은 부적 피드백(negative feedback) 시스템으로 조절됨✅ PFK 활동을 촉진(↑) 하는 조건항목의미설명항목의미 설명🔹 AMP, ADP, Pi에너지 고갈 신호ATP 재료들이 많다 = 에너지 부족 → 더 만들어야 함🔹 높은 pH염기성 환경산성물질 적다 → 해당과정 덜 진행된 상태 → 더 진행 필요 → 👉 결론: 몸에 ATP가 부족하면, PFK가 작동해서 해당과정을 빠르게 진행시킴❌ PFK 활동을 억제(↓) 하는 조건항목의미설명항목의미설명🔻 ATP에너지 충분 신호이미 많다 .. 2025. 5. 26.
[건강체력평가] 정적 편포 vs 부적 편포 🔍 정적 편포 vs 부적 편포 요약구분정적 편포 (positive skew)부적 편포 (negative skew)구분부적 편포정적 편포꼬리 방향왼쪽 꼬리가 길다오른쪽 꼬리가 길다평균 vs 중앙값평균평균>중앙값예시 상황저득점자 소수 (쉬운시험에서 다수가 고득점)고득점자 소수(어려운 시험이라 다수가 낮은 점수) 📌 예시로 이해해보자✅ 정적 편포 예:대부분 점수가 낮고, 일부 소수 고득점자가 있는 경우→ 예: 국가직 공무원 시험, 평균 40점, 90점은 상위 1%에 해당함✅ 부적 편포 예:대부분 점수가 높고, 일부 매우 낮은 점수가 있는 경우→ 예: 초등학교 받아쓰기, 대부분 100점인데 몇 명이 0~20점 받음💡 그래서 이게 왜 중요하냐?이런 편포 분포에서는:z점수 = 0이 중앙값이 아니게 됨따라서 백.. 2025. 5. 26.
[척추손상] 자율신경성 반사부전(Autonomic Dysreflexia, AD)란, 무엇이냐 ✅ 1. 개념 (Definition)자율신경성 반사부전증은T6 이상 척수손상 환자에게 주로 발생하는 심혈관계 위급 증상이야.🔺 무의식적인 자율신경계 과흥분(overactivation) 반응으로🔺 혈압이 급격히 상승하면서 심한 두통, 발한, 시야흐림 등이 나타나는 상태야.✅ 2. 생리학적 기전 (Pathophysiology)📍 핵심 개념은:감각자극이 척수손상 아래에서 발생했을 때→ 상위 중추에서 억제 못 하고,→ 교감신경계가 과도하게 활성화되는 비정상 반사 반응이야.🔄 발생 과정 Step by Step단계설명단계 ① 자극 발생방광 팽창, 장 팽창, 피부자극 등 (ex. 꽉 조인 옷, 욕창, 소변백 막힘)② 감각 신호 상승척수 아래 수준에서 자극 감지 (예: T8 부위 방광 자극)③ 척수 수준에서 교.. 2025. 5. 23.
[민감도] 누운자세 회복은 왜 민감도를 증가시킬까? 질문 : 단순히 처음, 생각했을 때는 누운자세로 회복하게 되면 정맥회귀가 더 쉽게 되니까 심장이든 근육이든 혈액공급이 더 원활하지 않을까? 왜 ST분절 변화를 지켜보기 위해 눕지?핵심요약 : 운동이 막 끝난 상태에서 심장은 아직 힘들어하는데 혈액까지 더 많이 돌아오니 할일이 더 많아짐! 그래서 더 많은 부하를 줬을 때 ST 분절이 어또케 변화하는지 지켜보려고 눕힘. 사실 건강한 사람도 운동 직후 누우면 안됨.직관적으로는 정맥회귀가 늘어나면 심장에 피가 더 잘 가니까 허혈이 줄어야 할 것 같은데,실제로는 **회복기 누운 자세(supine recovery)**에서 허혈 부담이 더 커질 수 있어.왜 그런지 생리학적 기전을 중심으로 논리적으로 설명해줄게.🔍 핵심 질문누운 자세에서 정맥회귀가 증가하는데, 왜 S.. 2025. 5.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