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운동관리사 필기🟥/✔️오답노트

오답노트ㅣ21년 스포츠심리학 13번 [광학적 흐름 반응과 자세조절 실험]

by 둔근해 2025. 4. 30.
반응형

핵심은 광학적 흐름(optic flow), 즉 주변 시각정보의 움직임이 우리의 자세(posture) 조절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연구한 실험을 찾는 거지.

✅ 정답: ③ 움직이는 방 실험 (moving room experiment)

🔎 개념 설명
움직이는 방 실험은 **시각 정보의 움직임(optic flow)**에 따라 사람이 자세를 조절하는지를 연구한 실험이야.
즉, 눈으로 보이는 주변 환경이 움직이면 실제 몸이 움직이지 않았어도 몸이 균형을 잃는 현상이 생기는지를 확인함.

📌 예시
갓 걷기 시작한 유아를 방에 넣고, 방의 벽이나 천장을 살짝 앞으로 움직이면 아이가 자기도 모르게 뒤로 물러남. 시각적으로는 앞쪽으로 다가오는 것처럼 느껴져서 자세를 조절하려는 반응임.
→ 즉, "눈이 말하는 방향으로 몸이 움직이는" 실험.

🟣 핵심 키워드: 시각 정보로 인한 자세 조절, 유아의 균형, optic flow, sensory conflict


그럼 다른 보기들도 같이 정리해줄게.


시각 절벽 실험 (visual cliff experiment)

🔎 개념 설명
유아가 깊은 낭떠러지처럼 보이는 유리 바닥을 보고 그것을 넘을지를 보는 실험.
시각적인 깊이에 대한 지각, 즉 **깊이 인식(depth perception)**을 언제부터 하는지를 확인하는 게 목적임.

📌 예시
아기 앞에 투명 유리가 있고, 아래에는 무늬가 멀리 있어 낭떠러지처럼 보임. 아기의 엄마가 반대편에서 불러도 아기가 망설이며 넘지 않음 → 시각적 단서로 깊이를 인식함

🟢 핵심 키워드: 깊이 지각, 낙하에 대한 본능적 회피


눈의 고정 실험 (quiet-eye experiment)

🔎 개념 설명
운동 수행 전 시선이 머무는 시간(quiet eye duration)이 길수록 성공적인 수행 가능성이 높다는 실험.
운동기술 학습 및 퍼포먼스 향상 관련 연구임.

📌 예시
농구 자유투를 잘 넣는 선수들은 공을 던지기 전 골대 중앙에 시선을 길게 고정함. 시선이 짧게 흔들리는 사람보다 집중력이 높고 성공률도 높음.

🔴 핵심 키워드: 집중력, 주의, 운동수행 정확도


무주의 맹시 실험 (inattentional blindness experiment)

🔎 개념 설명
어떤 자극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시야에 보이더라도 인식하지 못하는 현상.
즉, 주의가 시각적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

📌 예시
"고릴라 실험": 농구 패스를 세는 실험 중에, 중간에 고릴라 복장을 한 사람이 화면을 가로질러 가지만 참가자들은 대부분 고릴라를 못 봄
→ 주의(attention)의 한계 때문에.

🟡 핵심 키워드: 주의 분산, 선택적 인식, 인지적 과부하


🧠 정리: 보기별 실험 목적 비교

보기실험 이름주요 연구 주제대표 예시
보기 실험 이름 주요 연구 주제 대표 예시
시각 절벽 깊이 지각 유리 바닥 위 아기 실험
눈의 고정 집중력과 운동수행 농구 자유투 집중시간
움직이는 방 광학적 흐름과 자세 조절 유아가 방 움직임에 반응
무주의 맹시 주의가 시각 인식에 미치는 영향 고릴라 영상 실험

파생되는 개념에 대해 더 공부 해보자 !

📌 파생 개념 요약 (심리학과 관련 깊은 것만 골라줌)

1. 감각 가중치 이론 (Sensory weighting theory)

  • 🔎 다양한 감각정보(시각, 전정, 고유감각) 중에서 상황에 따라 가장 신뢰도 높은 감각에 우선순위를 두고 균형을 조절함.
  • 예) 지면이 흔들리면 고유감각을 덜 믿고, 시각에 의존함. 어두운 곳에서는 시각 대신 고유감각, 전정기관에 더 의존함.

➡️ 스포츠 상황 적용
스노보드나 서핑 같이 불안정한 환경에서는 시각 정보보다 **고유수용감각(proprioception)**에 더 의존하도록 훈련해야 해.
→ 운동선수의 감각 전략(sensory strategy)은 스포츠심리학에서 **주의 조절(attentional focus)**와 연결돼.


2. 감각 재가중(Sensory re-weighting)

  • 상황 변화에 따라 감각의 비중을 재조정하는 능력.
  • 훈련을 통해 시각이 적은 상황(예: 밤 경기, 눈이 부신 환경)에서도 정확하게 자세를 조절할 수 있게 만듦.

➡️ 스포츠 적용 예시
야구 선수들이 저녁 경기에서도 타이밍을 잘 맞출 수 있는 이유는 감각재가중이 잘 되어 있어서야.
눈에 잘 안 보여도 고유감각과 청각으로 대체하는 전략이 발달해 있음.


3. 주의 조절과 감각의 선택적 사용 (Selective attention and sensory tuning)

  • 시각 정보가 많을 때, 어떤 정보에 주의를 기울이느냐에 따라 수행이 달라짐.
  • Quiet-eye 실험과도 연결됨.

➡️ 예시
양궁 선수는 경기장에서 주변 소음을 차단하고 오직 과녁과 자신의 팔 감각에만 집중함.
이런 주의의 전환 능력은 스포츠심리학에서 매우 중요한 주제야.


🧠 핵심 연결 정리

개념정의스포츠심리학과의 연결
개념  정의  스포츠 심리학과의 연결
감각 가중치 이론 감각정보의 우선순위 결정 주의집중 전략, 감각적 자기조절
감각 재가중 감각 의존도를 변화시키는 능력 환경 변화에 대한 심리적 대응력
선택적 주의 특정 자극에 집중하는 능력 퍼포먼스 향상, 긴장 조절

✅ 결론

광학적 흐름 실험(움직이는 방)은 단순히 감각 생리학적 실험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운동 중 주의집중 전략, 감각 선택능력, 운동 상황에서의 자기조절력과 연결되기 때문에 스포츠심리학 개념과도 밀접하게 관련 있어.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