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테이핑 적용 원칙: 테이프가 아니라 해부학을 붙이는 것이다
◼️ 테이핑, 붙이기 전에 알고 붙이자
테이핑을 제대로 하려면
“이 근육, 이 관절을 어떻게 조절할 것인가?”를
움직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
『운동손상학 15판』에서도 말하길,
“테이핑은 움직임 제한보다 움직임 유도라는 기능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그럼 이제
어떻게 붙여야 효과가 극대화되는지
하나씩 확인해보자.
◼️ 테이핑 전 기본 준비 사항
- ✔ 피부에 땀, 로션, 털 제거
- ✔ 붙일 부위는 기능적 중립 위치로 세팅
(예: 무릎은 20도 굴곡, 발목은 90도 중립 등) - ✔ 장력은 0%~50% 범위 내 조절
→ 과도한 장력은 피부 자극, 순환 저해 위험 - ✔ 테이프는 끝단(stick end)은 장력 없이 붙이기
◼️ 테이프 모양: I형, Y형, X형, Fan형
형태 | 특징 | 적용 부위 예시 |
I형 | 기본형, 길게 일자로 자름 | 척추 기립근, 햄스트링, 아킬레스건 |
Y형 | 근육 양쪽 감싸기 용도 | 상부 승모근, 대퇴사두근 |
X형 | 근육이 양방향으로 퍼질 때 | 광배근, 종아리 전체 |
Fan형 | 림프 순환 촉진, 부기 제거 | 발목 부종, 무릎 주위 혈종 |
✂️ Y형과 X형은 중앙은 고정하고,
양 갈래를 감싸는 식으로 활용함
특히 근육이나 건을 선형이 아닌 면으로 감쌀 때 유용
◼️ 붙이는 방향과 목적
목적 | 방향 | 예시 |
근육 촉진 | 원위부 → 근기부 | 중둔근 약화 시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
근육 억제 | 근기부 → 원위부 | 상부 승모근 과긴장 시 목 쪽에서 어깨로 |
관절 안정화 | 불안정 방향 반대로 | 발목 내번 방지: 외측을 고정 |
◼️ 붙이는 과정의 핵심 원칙
- 📍 기능 해부학 기준으로 구조 결정
- 📍 테이프가 수축, 신장되는 방향 고려
- 📍 고정부와 움직임부를 분리해서 설계
- 📍 착용 후 반응 확인: 피부 자극, 순환장애, 감각 둔화 여부
◼️ 잘못된 테이핑 예시 (주의!)
- ❌ 피부 주름 없이 당겨붙이기 → 림프 효과 없음
- ❌ 과도한 장력 → 통증 유발 + 피부 벗겨짐
- ❌ 관절 축 무시한 부착 → 움직임 방해 + 오히려 불안정
🎯 테이핑 3단계 공식
- 고정(Pin)
→ 테이프 시작점과 끝단은 항상 장력 없이 마무리 - 장력(Stretch)
→ 중간 구간에서 장력을 줘야 기능 작용 발생 - 해부학 경로(Follow the Line)
→ 근육, 인대, 관절의 선형 경로를 따라 설계
🧩 기억 포인트
테이핑은
어디에 붙였느냐보다,
왜 그 방향과 장력으로 붙였느냐가 중요하다.
🔽 마무리하며
테이핑은 단순한 스킬이 아니다.
그건 움직임을 디자인하는 해부학 기반 설계 도면과 같다.
잘못 붙이면 효과가 없을 뿐만 아니라
통증을 유발하거나 움직임을 방해할 수도 있다.
움직임을 분석하고,
손상 원인을 이해하고,
그에 맞는 방향과 테이프 형태를 설계할 수 있다면
비로소 테이핑은 ‘치료 도구’가 된다.
💡 I형 테이프부터 시작해서 Y형까지 연습하려면
프리컷 제품이 가장 편해요.
👉 프리컷 키네시오 테이프 세트 보러가기 https://link.coupang.com/a/crRBpl
아텍스 스포츠텍스 A450 근육테이프 베이지, 12개입, 1개 - 근육테이프 | 쿠팡
현재 별점 4.7점, 리뷰 5177개를 가진 아텍스 스포츠텍스 A450 근육테이프 베이지, 12개입, 1개! 지금 쿠팡에서 더 저렴하고 다양한 근육테이프 제품들을 확인해보세요.
www.coupang.com
📢ai와 함께 작성하고, 주관적인 견해와 용어가 가미된 해설입니다.
📢암기를 위해 의식의 흐름인 서술형식으로 풀이를 써놓았습니다.
📌운동생리학, 스포츠의학 최신판 교재를 활용, 구글 서칭을 이용한 풀이내용입니다.
💌 오류사항, 누가봐도 잘못된 내용, 지적 받습니다. 댓글 남겨주세요.
💕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버튼 클릭 부탁드립니다.
🍑by. 이하나의 둔근해가 떴습니다.
포스팅에 쿠팡 관련 링크가 삽입된 경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건강운동관리사 개념🟪 > 🩹운동상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ACL]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손상 기전 요소 정리 요약 (0) | 2025.05.28 |
---|---|
6. 테이핑 (Taping) 부위별 테이핑 가이드 (상지,하지,척추) (0) | 2025.05.04 |
5. 테이핑 (Taping) 손상 유형별 테이핑 적용 전략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상해) (0) | 2025.05.04 |
3. 테이핑 (Taping) 종류와 특성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상해) (1) | 2025.05.04 |
2. 테이핑 (Taping) 생리학적/기능해부학적 기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상해) (0) | 2025.05.04 |
1. 테이핑 (Taping) 정의와 목적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상해) (0) | 2025.05.04 |
[운동상해] 야구 투구 (0) | 2025.04.23 |
[운동상해] 뇌신경 12쌍 개념정리 및 암기법 (절대 못까먹음) (0) | 2025.04.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