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운동관리사 개념🟪/🧠스포츠심리학

자기결정성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 Deci & Ryan)

by 둔근해 2025. 5. 13.
반응형

✅ 자기결정성이론은 어디에서 나오느냐?

📚 출제 파트: 운동학습 및 운동심리학 영역

대목차 위치 예시 (국가시험 기준):

 
Ⅲ. 운동학습 및 심리
  3. 운동수행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요인
   - 동기이론 (💥 SDT 핵심)
   - 내적동기 vs 외적동기
   - 피드백과 자기효능감
   - 목표 설정 이론

즉, 운동학습 교과서 스포츠심리학 교과서 양쪽에서 등장하지만,
국가시험에서는 대부분 '심리파트'에서 출제됨.


💡 시험 대비 꿀팁

✅ "동기" 관련 문제가 나오면
 무조건 자기결정성이론 or 동기유지전략 먼저 떠올려야 함

✅ 무조건 외적/내적만 구분하지 말고
 자기결정성 수준으로 연결해서 말할 수 있어야 고득점

✅ 주관식 대비
→ 내적동기 하위 3요소도 정확히 분류할 수 있어야 함!

 

**자기결정성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 Deci & Ryan)**은 동기를

🔴 무동기(amotivation)
🟡 외적동기(extrinsic motivation)
🟢 내적동기(intrinsic motivation)
의 **연속선상(continuum)**에서 설명해.

이 3가지 범주 각각에 대한 개념 현실적인 예시를 아래에 정리해줄게!


✅ 1. 무동기 (Amotivation)

🔎 개념

  • 행동을 하는 이유 자체가 없음.
  • 결과에 대한 기대도 없고, 자신감도 없고, 가치도 못 느낌.
  • → "왜 해야 하는지도 모르겠고, 하고 싶지도 않다."

🏟️ 예시

  • “운동한다고 뭐가 달라져? 귀찮고 소용없어.”
  • → 아무런 목적, 내적/외적 이유 없이 무기력하게 행동 회피 

✅ 2. 외적동기 (Extrinsic Motivation)

외적동기는 다시 자기결정성 수준에 따라 4단계로 나뉘어.
(자기 결정성 ↓ → ↑)


① 외적 규제 (External Regulation)

🔸 외부 보상이나 처벌 때문에 행동함
🔸 행동의 통제력이 자기 외부에 있음

📌 예시

  • “헬스장 안 가면 트레이너한테 혼나니까 어쩔 수 없이 가야지.”

② 의무감 규제 (Introjected Regulation)

🔸 외부 기대가 내면화되었지만 완전히 내 것이 아님
🔸 죄책감, 수치심, 자존심 때문
🔸 아직 행동을 ‘스스로 선택한다’는 느낌은 부족함

📌 예시

  • “운동을 안 하면 왠지 죄책감 들어… 내가 의지가 약한 것 같아서 억지로 간다.”

③ 확인 규제 (Identified Regulation)

🔸 행동이 자기에게 의미 있고 가치 있다고 생각해서 함
🔸 내면화 수준이 높아짐
🔸 하지만 행동 그 자체가 즐거운 건 아님

📌 예시

  • “운동은 내 건강을 위해 꼭 필요하니까, 재미없어도 계속 할 거야.”

④ 통합 규제 (Integrated Regulation)

🔸 자기 가치관과 완전히 통합된 행동
🔸 외적동기 중 가장 내적동기에 가까움
🔸 그러나 여전히 행동 목적은 결과지향적

📌 예시

  • “운동은 내 삶의 일부야. 내가 어떤 사람인지 보여주는 방식이야.”

✅ 3. 내적동기 (Intrinsic Motivation)

🔎 개념

  • 행동 자체가 즐겁고 흥미로워서 하는 것
  • 보상이나 평가 상관없이 자발적으로 지속됨
  • 학습, 창의성, 도전, 재미를 위한 활동

🏟️ 예시

  • “나는 농구할 때가 제일 재밌어! 시간 가는 줄 모르겠어.”
  • “몸이 피곤해도 춤추는 게 너무 좋아서 하게 돼.”

✅ 내적동기의 하위 개념 3가지

하위 유형설명예시
하위 유형 설명 예시
🧠 지식 지향 (To know) 배우고 이해하는 것 자체에서 기쁨을 느낌 “새로운 트릭을 배우는 게 너무 재밌어!”
🧗 도전 지향 (To accomplish) 기술 향상, 목표 달성, 도전 자체에서 즐거움을 느낌 “매번 자기 기록을 깨는 게 짜릿해!”
🎨 감각-자극 지향 (To experience stimulation) 운동하면서 느끼는 감각, 흥분, 쾌락 자체가 목적 “서핑 탈 때 바람 맞는 감각이 너무 좋아서 계속 하게 돼.”
 

🧠 조금 더 깊게 들어가보자면

하위 개념심리적 포인트
하위 개념 심리적 포인트
지식 지향 호기심, 탐색 욕구 자극됨 (인지적 만족)
도전 지향 자기효능감, 유능감 충족 (도전과 성취)
감각 지향 감각적 자극, 정서적 만족 (쾌락 중심)
 

이처럼 내적동기도 하나의 단일 개념이 아니라,
**“어떤 이유로 그걸 좋아하냐”**에 따라 정서적, 인지적, 성취 기반으로 나뉘는 거야.


🏟️ 정리 예시

  • 지식 지향: 새로운 요가 동작을 배우는 게 너무 재미있음
  • 도전 지향: 헬스에서 100kg 스쿼트 성공하려고 매일 연습
  • 감각 지향: 러닝 후 땀이 줄줄 나고 숨차는 그 느낌이 중독됨
 

📌 한 컷으로 비유 정리!

🟡 외적 규제: “숙제 검사 때문에 한 거야.”
🟠 의무감 규제: “안 하면 양심 찔려서…”
🟢 확인 규제: “이건 나에게 의미가 있어.”
🟣 통합 규제: “이건 내 삶의 일부야.”
🔴 내적 동기: “이게 그냥 좋아서 하는 거야.”
 무동기: “왜 하는지도 모르겠고 하고 싶지도 않아.”

 


📢ai와 함께 작성하고, 주관적인 견해와 용어가 가미된 해설입니다.
📢암기를 위해 의식의 흐름인 서술형식으로 풀이를 써놓았습니다. 
📌운동생리학, 스포츠의학 최신판 교재를 활용, 구글 서칭을 이용한 풀이내용입니다.
💌 오류사항, 누가봐도 잘못된 내용, 지적 받습니다. 댓글 남겨주세요.
💕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버튼 클릭 부탁드립니다.

🍑by. 이하나의 둔근해가 떴습니다.

 

포스팅에 쿠팡 관련 링크가 삽입된 경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