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운동관리사 개념🟪/🦴기능해부학, 운동역학

[척추뼈] 목뼈/등뼈/허리뼈 돌기(processes) 비교 설명 요약

by 둔근해 2025. 5. 28.
반응형

재밌지만 한도끝도없는 해부학

🔍 1. 왜 돌기의 구조가 다를까?

척추뼈는 몸통을 지지하면서도, 움직임과 안정성 사이의 균형을 맞춰야 해.
돌기(process)는 이때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해:

  • ✔️ 근육/인대 부착점
  • ✔️ 지렛대 역할(운동 방향 유도)
  • ✔️ 관절의 제한 or 유도
  • ✔️ 신경 통로 보호 또는 간섭 방지

 

✅ 기본 용어 정리: 척추뼈의 돌기(processes)

모든 척추뼈에는 기본적으로 아래 7개의 돌기가 있어:

종류개수설명
종류  개수 설명
① 극돌기(spinous process) 1개 뒤로 돌출
② 횡돌기(transverse process) 2개 좌우로 돌출
③ 상관절돌기(superior articular process) 2개 위쪽 관절면
④ 하관절돌기(inferior articular process) 2개 아래쪽 관절면
🔢 총 7개 모든 척추뼈 공통 구조

 

🔵 경추(C1~C7)의 돌기 특징

※ C1(Atlas), C2(Axis)는 특수형이고, C3~C7이 전형적인 경추 구조에 해당돼.


횡돌기 (Transverse process)

  • ✔️ 모든 경추에는 횡돌공(foramen transversarium) 존재. 돌기와 구멍이 동시에!
    척추동맥(vertebral artery) 통과
  • ✔️ 끝부분이 두 갈래(bifid)인 경우 많음 (C3~C6)

극돌기 (Spinous process)

  • ✔️ C2~C6: 끝이 양쪽으로 갈라짐(bifid) → 근육 부착면 증가
  • ✔️ C7: 가장 길고 돌출 → **융추(prominent vertebra)**라고 부름
    → 목덜미에서 손으로 만져지는 그 뼈

상/하관절돌기 (Articular process)

  • ✔️ 관절면이 경사져 있음(oblique plane)
    → 회전, 측굴, 굴신이 모두 부분적으로 허용
  • ✔️ 굴곡은 경추에서 가장 잘 일어남

🔹 추가 구조

  • 소용돌이돌기(uncinate process): 경추 몸통 양옆에 있는 특이한 구조 → Hook 모양
    → C3~C7 사이에서 발견됨 → 자세 안정성 증가

🔵 경추 (Cervical Vertebrae) — ☁️ 가장 유연한, 가장 민감한

구조적 특징기능적 의미
구조적 특징 기능적 의미
횡돌공 뇌로 가는 척추동맥 보호
극돌기 후두부와 경추 근육 다발의 부착 증가 → 정교한 움직임
관절면 경사 굴곡/신전/회전/측굴 모두 잘 됨
소용돌이돌기 C3~C7 사이 안정성 보강 → 측굴 제한, 디스크 보호
 

📌 기능 핵심:
✔️ 머리를 지지하고 회전하는 유연한 구조
✔️ 돌기들이 작고 정교함 → 정밀한 움직임, 높은 신경 민감성


🔴  등뼈(T1~T12)의 돌기 특징

  • 횡돌기(transverse):
    → **늑골오목(costal facet)**이 있어서 **갈비뼈(rib)**와 관절을 이룸
    → 형태가 길고 뒤+가쪽으로 뻗음
  • 극돌기(spinous):
    → 길고 아래로 경사지며, 칼날처럼 겹침(overlapping)
    → 특히 T5~T9에서 가장 뚜렷
  • 상/하관절돌기:
    → 관절면이 전후방 방향 (coronal plane)
    → 회전(rotation)은 허용, 굴신(flexion/extension)은 제한적

🔴 흉추 (Thoracic Vertebrae) — 🛡️ 안정 중심, 갈비뼈의 지지대

구조적 특징기능적 의미
구조적 특징 기능적 의미
늑골오목이 있는 횡돌기 갈비뼈와 관절 형성 → 흉곽 구조 유지
극돌기 아래로 겹침 회전 외의 움직임 제한장기 보호
관절면 전후방 회전은 허용, 굴신은 제한
 

📌 기능 핵심:
✔️ 흉곽의 안정성과 장기 보호
✔️ 돌기들이 날카롭고 단단 → 운동은 제한, 구조는 안정


🔵 허리뼈(L1~L5)의 돌기 특징

  • 횡돌기(transverse):
    → 늑골오목 없음 (갈비뼈 안 붙음)
    → 상대적으로 짧고 두껍고 수평에 가까움
  • 극돌기(spinous):
    도끼 모양, 짧고 두껍고 수평으로 뻗음
    → 움직임 시 지렛대 역할
  • 상/하관절돌기:
    → 관절면이 시상면 방향(sagittal plane)
    → 굴신(flexion/extension)에는 유리, 회전은 제한됨
  • 🔹 추가 구조:
    유두돌기(mamillary process): 상관절돌기 뒤쪽에 작게 돌출 → 다열근 등 근육 부착점
    부돌기(accessory process): 횡돌기 기저부에 작게 존재
  • 그래서 요추만 돌기가 9개임

🔵 요추 (Lumbar Vertebrae) — 💪 무게 지지 + 굴신 중심

구조적 특징기능적 의미
구조적 특징 기능적 의미
두꺼운 횡돌기 & 극돌기 척추기립근·다열근 부착점 증가 → 허리근육 안정화
유두돌기 & 부돌기 다열근·회선근 등의 부착 → 회전 제한 + 미세조절
관절면 시상 방향 굴곡/신전은 허용, 회전은 제한
 

📌 기능 핵심:
✔️ 체중 지지, 움직임 제한 → 안정성 확보
✔️ 돌기들이 두껍고 뭉툭 → 운동보다는 지지에 초점

🟣 목뼈 vs 등뼈 vs 허리뼈 돌기 비교 요약

항목 경추 C 흉추 T  요추 L
횡돌기 횡돌공 있음, bifid 늑골오목 있음 짧고 두꺼움, 부돌기 있음
극돌기 짧고 두 갈래, C7 길다 길고 아래로, 칼날형 도끼형, 짧고 수평
관절돌기 경사면 → 다방향 운동 전후방 면 → 회전 허용 시상면 → 굴신 유리
특수 돌기 소용돌이돌기(uncinate) 없음 유두돌기, 부돌기

✍ 암기 팁

✔ 경추: “돌기에 구멍이 숨어 있고, 끝이 갈라진다움직임 많고 민감한 구간 → 돌기는 작고 분화되어 있음
✔ 흉추: “갈비뼈의 친구, 돌기가 아래로 칼처럼장기 보호와 회전만 허용하는 구간 → 돌기는 안정적이고 겹쳐 있음
✔ 요추: “무게 담당, 돌기 짧고 단단하게지지와 굴신 중심의 구간 → 돌기는 굵고 근육 부착 많음

 


📢ai와 함께 작성하고, 주관적인 견해와 가미된 해설인 부분도 있습니다.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해보는 것은 AI가 추론한 것이고, 교재의 문장 재해석은 공식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운동생리학, 스포츠의학 최신판 교재를 활용, 구글 서칭을 이용한 검토와 풀이 입니다.  
💌 오류사항, 누가봐도 잘못된 내용, 지적 받습니다. 댓글 남겨주세요.  
💕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버튼 클릭 부탁드립니다.  
  
🍑by. 이하나의 둔근해가 떴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