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둔근해가 떴습니다 이하나입니다
정리해봤는데요,
건체평의 경우 ACSM 11판을 참고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하지만 근감소증을 평가하는 3가지 방법과 근감소증의 원인 3가지는 책에 읍서요 ㅋㅋㅋㅋㅋ 하지만 있어요!!?
질문은 없지만 답은 있습니다!
이것저것 이어붙이면 가능ㅎㅎ;;;;;;;
아래의 답변은 제가 직접 작성하였습니다. 구술같은 경우 정답이 딱히 없어서 여러분만의 정답을 만들어주셔야해요.
2024년 건강운동관리사 구술 실기 기출 문제
과목 : 건강/체력측정평가
1. 근감소증을 평가하는 3가지 방법과 근감소증의 원인 3가지 (24년)
근감소증을 평가하는 방법으로는 인바디와 같은 BIA 분석을 통해 근육량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악력 검사를 통해 근력을 측정할 수 있고, 신체기능평가를 통해 보행속도를 측정하여 움직임 능력과 활동 수준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가장 주된 원인은 노화이며, 노화로 인해 속근섬유의 손실이 두드러지고 근육 단백질 합성 능력이 감소하게 됩니다. 또한 신체활동 부족으로 인해 근육을 사용하지 않아 근위축이 발생되고 근육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섭취 영양의 불균형과 어르신들의 식욕부진, 치아 문제, 소화기능 저하 등으로 근감소가 발생될 수 있습니다.
2. 운동부하검사 목적과 측정변인 3가지 이상(24년)
운동부하검사의 목적으로 특정 질환의 진단과 예후, 그리고 생리적 반응을 알아보는대에 있습니다. 개인의 운동 능력을 평가하고, 안전하고 효과적인 운동 프로그램을 처방하기 위함도 있습니다.
그리고 운동부하검사에서 측정할 수 있는 요소들은 최대산소섭취량 측정을 통해 심폐체력을 알 수 있고, 운동중의 심박수 반응을 통해 심장 건강 상태를 알아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호흡교환율을 통해 무산소성 역치 지점, 에너지 대사 효율성을 알아 볼 수 있습니다. (심전도, 심박수, 혈압, 증상과 징후, 운동자각도)
3. 증상제한 운동부하검사 상대적/절대적 종료기준 각 3가지(24년)
절대적 종료기준으로 운동강도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허혈증상과 함께 수축기 혈압이 10 미리미터수은주 이상 하강하는 경우가 있고, 창백해지거나 청색증이 발생하는 관류부족징후가 있습니다. 또한, 운동실조 및 어지럼증 또는 실신과 같은 중추신경계 증상이 있는 경우 운동부하검사를 종료해야합니다.
상대적 종료기준으로는 다리경련이나 파행인 경우와 흉통이 증가하고 동맥혈산소포화도가 80%이하인 경우 상대적 종료기준이 되겠습니다.
4. 운동부하검사 혈역학적 변인 3가지와 가스변인 3가지(24년)
혈역학적 변인은 심박수, 혈압, 심전도가 있으며 이는 혈액순환과 관련된 지표로써 심장의 기능과 혈관의 상태를 반영합니다. 그리고 가스변인으로는 최대산소섭취량, 호흡교환율, 환기량 변인을 통해 호흡교환과 에너지 대사 과정을 직접적으로 알아볼 수 있습니다.
답변은 여러분이 하실 수 있는 말로 바꾸어 풀어 쓰셔야하고, 또한 논리있고 매끄럽고, 키워드가 반드시 포함된 표현을 하셔야합니다. 제가 출제자는 아니지만 ㅋ_ㅋ....시험장은 대충 그런 분위기입니다. 채점표에도 대충 이런 점수항목은 있거든요.
아무튼 화이팅
📢ai와 함께 작성하고, 주관적인 견해와 가미된 해설인 부분도 있습니다.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해보는 것은 AI가 추론한 것이고, 교재의 문장 재해석은 공식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운동생리학, 스포츠의학 최신판 교재를 활용, 구글 서칭을 이용한 검토와 풀이 입니다.
💌 오류사항, 누가봐도 잘못된 내용, 지적 받습니다. 댓글 남겨주세요.
💕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버튼 클릭 부탁드립니다.
🍑by. 이하나의 둔근해가 떴습니다.
'🟦건강운동관리사 실기🟦 > 🏋️♂️건강체력측정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혈성 심장질환 진단시 보조적 영상을 필요하는 3가지 분류와 보조적 영상의 종류 3가지 (2) | 2025.06.24 |
---|---|
신뢰도, 객관도, 타당도 정의 및 관계 쉽게 설명하기 (0) | 2025.06.24 |
운동 참여전 사용할 수 있는 설문지 3가지 종류 (과거력,현재상태,미래예측) (3) | 2025.06.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