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건강운동관리사 개념🟪/🧬병태생리학13

[신경근] 경추와 요추 신경근 나오는 순서와 디스크 탈출 시 영향받는 신경근 번호가 다른 원리와 이유 질문 포인트 : C6-7 사이로 나오는 신경근은 밑 뼈 번호 = C7 신경근이 나오고, L3-4 사이로 나오는 신경근은 위 뼈 번호 = L3 인건 알겠는데, 디스크 탈출 시 둘 다 아래 뼈 번호의 신경근이 손상된다는건 왜지?요점 : 경추와 요추의 신경이 나오는 위치 규칙이 달라서 그럼 ✅ 결론 요약구분디스크 위치손상받는 신경근구분디스크 위치손상받는 신경근경추(Cervical)예: C6-7C7 신경근 (→ 아래 번호)요추(Lumbar)예: L4-5L5 신경근 (→ 아래 번호) 즉, 둘 다 "디스크 번호 아래의 신경근"을 손상시킨다는 공통점이 있어.하지만 왜 그런지 기전이 달라!🔍 왜 그런지 구조적으로 설명🔵 경추(Cervical spine)C1~C8 신경은 척추뼈보다 하나씩 위쪽에 나감예: C6-7 디.. 2025. 5. 29.
[기흉, 공기가슴증(Pneumothorax)] 주요증상과 종류 구별 암기 ✔ 기흉(공기가슴증(Pneumothorax)의 주요 증상호흡음 감소 또는 소실 (해당 폐 허탈로 인해)호흡곤란, 흉통, 청색증긴장성 기흉: 기흉 중 가장 위급. 흉막내 압력 ↑ → 반대쪽 기관 편위 + 쇼크 발생 가능 ① 손상 구조와 해부학적 기능 요약정의: 공기가 흉막강(pleural cavity)에 비정상적으로 유입되어 폐가 부분 혹은 완전히 허탈된 상태정상 해부학:흉막강은 내장흉막(visceral pleura)과 벽측흉막(parietal pleura) 사이 공간정상 상태에서는 음압 유지 → 폐가 흉벽에 밀착된 상태 유지기흉 발생 시:공기 유입 → 흉막강 내 압력 증가 → 음압 붕괴결과적으로 폐가 허탈(collapsed lung) 상태로 수축됨② 손상 기전 요소별 분석🔹 1) 원인에 따른 분류일차성.. 2025. 5. 28.
[천식] 내인성 vs 외인성 (천식 원인이 밖/안쪽의 여부로 판단?! NO! ) "외인성 vs 내인성" 천식의 구분은 말 그대로 "원인이 내부냐 외부냐" 기준이 아니라, "면역학적 반응이 개입되었느냐" 기준으로 구분하는 거임.🔍 외인성 천식 (Extrinsic Asthma = 알레르기성 천식)IgE 매개 면역반응이 개입됨 (Type I 과민반응)꽃가루, 먼지, 진드기, 동물털 같은 **알레르겐(allergen)**이 원인대부분 소아기 발병, 아토피 체질 동반쉽게 말하면, 외부 항원 → IgE 반응 → 히스타민 분비 → 기도 수축🔍 내인성 천식 (Intrinsic Asthma = 비알레르기성 천식=비특이적 자극)면역반응 없이 발생비특이적 자극(냉기, 운동, 스트레스, 감염 등)에 의해 유발성인기에 많이 발생혈액검사해도 IgE 수치나 알레르겐 반응 없음❓그럼 운동유발천식은 왜 '내인.. 2025. 5. 28.
[병태생리학] 📌 류마티스관절염 vs 골관절염 비교 정리 📌 류마티스관절염 vs 골관절염 비교 정리✅ 1. 질환의 개요🔴 류마티스관절염 (RA): 자가면역질환. 관절 내막(synovium)에 만성 염증이 생겨 여러 관절에 대칭적으로 나타남.🔵 골관절염 (OA): 퇴행성 관절질환. 관절 연골(cartilage)이 점진적으로 닳아 없어지는 구조적 손상 질환.✅ 2. 원인RA: 자가면역 이상 + 유전 + 환경 (예: 흡연)OA: 노화, 과체중, 과사용, 외상, 근육약화 등 기계적 손상✅ 3. 병태생리 요약RA✔ 면역세포(T세포, B세포 등)의 활성화✔ 활막염(synovitis) 발생 → 활막증식(pannus 형성)✔ 연골/뼈 침식 → 관절 변형OA✔ 연골 세포의 퇴행 + 기계적 스트레스✔ 연골 점진적 마모✔ 뼈증식(골극 형성 osteophyte) + 관절 간격.. 2025. 5. 27.
[뇌성마비] 환자에게 관절통이 흔한 이유 뇌성마비(Cerebral Palsy, CP) 환자에게 관절통(joint pain)이 흔한 이유는 단순히 "근육이 뻣뻣해서"가 아니고, 병리학적·기능해부학적·운동역학적 복합 기전 때문이야. 하나씩 정리해볼게.⚫ 1. 병리학적 기전: 신경계 손상과 통증 민감성뇌성마비는 **중추신경계(CNS)**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이로 인해 근긴장도(muscle tone)의 비정상, 움직임 조절 능력 저하, 반사 항진(hyperreflexia) 등이 생김.이 상태가 지속되면 만성적인 근육 수축, 비정상적인 관절 위치, 지속적 압박으로 인해 관절 주변 구조물(연골, 인대, 활막 등)이 손상됨.또 한 가지 중요한 포인트는, **신경병성 통증(neuropathic pain)**이나 중추성 통증 조절의 문제가 생기기 쉬워.. 2025. 5. 9.
[뇌성마비] 뇌 손상의 위치와 유형에 따른 운동양상, 특징 뇌성마비(Cerebral Palsy, CP)는 뇌 손상의 위치와 유형에 따라 운동양상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이렇게 운동유형에 따라 분류해서 이해하는 게 가장 효과적이야.아래는 네가 제시한 4가지 유형별로✔ 정의,✔ 주요 증상,✔ 뇌 손상 부위,✔ 대표적인 운동양상,✔ 서로 간의 비교까지 정리해줄게.⚫ 1. 경직성(spastic) 뇌성마비항목내용항목내용✅ 정의근육 긴장도(tonus)가 과하게 증가하여 뻣뻣한 움직임을 보임✅ 특징움직임이 느리고 뻣뻣, 관절의 가동범위가 제한됨✅ 병변 부위운동 피질(motor cortex) 또는 피질하 백질 손상✅ 동반 증상관절 구축, 척추측만, 성장지연✅ 움직임 예팔을 구부린 채 걷거나, 발끝으로 디딤 (toe walking) 🔴 2. 운동장애형(dyskine.. 2025. 5. 8.
[병태생리학] ADHD 치료제로 사용되는 암페타민과 마약 암페타민, 그리고 파킨슨 궁금증 : 엠페타민은 보통 마약이라고 분류되는데 이걸 ADHD 치료제로 쓰인다고 하는데, 어떤 작용 기전이 있는지? 그리고 과잉행동이나 주의력 결핍을 ADHD로 알고있는데 왜 흥분제인 암페타민을 약으로 사용하는지 궁금해욧 🧠 1. ADHD란 어떤 상태인가?▶️ 핵심은:주의력 집중, 충동 억제, 실행 기능 조절에 관여하는 뇌 영역의 기능 저하특히 다음 두 뇌 회로의 불균형/저활성이 주된 병태임:전전두엽(prefrontal cortex)→ 주의 집중, 계획, 충동 억제도파민 회로(dopaminergic pathway)→ 보상, 동기부여, 집중🔍 기능 해부학적 특징ADHD는 '과잉 흥분' 상태가 아니라, 오히려 뇌의 일부 회로가 ‘저활성’인 상태특히 도파민(DA), 노르에피네프린(NE) 이 전전두엽 시냅스.. 2025. 5. 6.
[병태생리학] 알츠하이머 vs 파킨슨 특징 비교 암기 (혈관성치매와 다른점은?)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과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은 둘 다 신경퇴행성 질환인데,생기는 위치, 증상, 생성물질, 치료전략까지 다 달라.🧠 알츠하이머 vs 파킨슨 비교표항목알츠하이머 AD파킨슨 PD🧠 주로 손상되는 부위대뇌피질 + 해마 (기억/인지)흑질(substantia nigra, 운동 조절)💀 주요 병리물질베타-아밀로이드, 타우단백(매듭)루이소체(α-시누클레인)🧬 신경전달물질아세틸콜린(ACh) 감소도파민(Dopamine) 감소🧓 대표 증상기억력 감퇴, 판단력 저하떨림, 경직, 운동 느려짐💊 치료 약물ACh분해억제제 (도네페질 등)도파민 보충제 (L-Dopa 등)🧠 MRI 특징대뇌 위축, 해마 수축흑질의 신경세포 소실🧠 병리물질.. 2025. 4. 24.
[병태생리학] 제한성폐질환 vs 만성폐쇄성폐질환 비교, 암기 📘 제한성 폐질환 vs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비교 정리🔹 정의구분제한성 폐질환폐쇄성폐질환 (COPD)문제공기 들이쉬기 어려움 (폐팽창 제한)공기 내쉬기 어려움 (기류 제한)대표 질환폐섬유화증, 흉곽기형, 신경근질환 등만성기관지염, 폐기종, 만성천식 등 🔹 폐기능 검사 결과 (PFT)항목제한성폐쇄성 (COPD)FEV1↓↓↓↓FVC↓↓ 또는 정상FEV1/FVC 비율정상 또는 ↑↓ (70% 미만)TLC (총폐용적)↓정상 또는 ↑ (공기포집)RV (잔기량)↓↑↑ (공기 많이 남음)🔹 임상 증상항목제한성 폐질환COPD주증상호흡곤란 (들이쉴 때 힘듦)호흡곤란 (특히 내쉴 때), 기침, 가래청진소견미세수포음 (crackles)천명음(wheezing), 연장된 호기흉부 X-ray망상 음영, 폐 용적 ↓과팽.. 2025. 4. 11.
[병태생리학] 울혈성 좌심실/우심실 기능부전 비교 및 암기 방법, 팁 미친 또 틀림ㅋㅋㅋ✅ 좌심실 기능부전 vs 우심실 기능부전 완전 비교표구분 좌심실 기능부전 (Left-sided HF) 우심실 기능부전 (Right-sided HF) 울혈 위치폐순환 (pulmonary circuit)체순환 (systemic circuit)주요 증상🫁 호흡곤란, 기좌호흡, 발작성 야간호흡곤란, 폐부종, 청색증=> 전부하가 높아서 그래🦵 말초부종(발목, 하지), 복수, 간비대, 경정맥 팽창원인고혈압, 허혈성 심질환, 대동맥판막질환 등=> 후부하가 높아서 그래좌심실 기능부전이 가장 흔한 원인청색증입술, 손톱 주변 청색증 가능드물지만 말초 순환 이상 시 가능야간호흡곤란있음음슴 '좌'폐'우'부'좌 : 좌심실이 바보가 되어면 폐에 혈액이 고이게 됨. 폐에 피가 고인다면 호흡도 힘들겠지? 스팀받.. 2025. 4. 11.
[병태생리학] 칼시토닌 vs 부갑상선호르몬 정리, 암기팁 구분🟦칼시토닌 (Calcitonin)🔴부갑상선호르몬 (PTH)분비 기관갑상선(Thyroid)의 C세포부갑상선(Parathyroid)혈중 칼슘농도에 대한 반응혈중 칼슘이 높을 때 분비혈중 칼슘이 낮을 때 분비뼈에서의 작용🧱 파골세포 억제 → 뼈 흡수 ↓🦴 파골세포 자극 → 뼈 흡수 ↑신장에서의 작용칼슘 재흡수 억제 → 소변 배출 ↑칼슘 재흡수 촉진 → 소변 배출 ↓장(소장)에서의 작용거의 없음비타민 D 활성화 → 장에서 칼슘 흡수 ↑최종 작용 효과혈중 칼슘 ↓혈중 칼슘 ↑🧠 암기 팁칼시토닌은 칼슘을 내림 → Calcitonin = Calcium Down!PTH는 칼슘을 올림 → PTH = Pull The Height (칼슘 농도 높이기!)이렇게 보면 인슐린(혈당 ↓) vs 글루카곤(혈당 ↑)처럼칼.. 2025. 4. 7.
[병태생리학] 알파(α), 베타(β) 수용체 작용제/억제제 약물 암기팁 수용체에 먹히는 약물의 작용 기전을 먼저 외울게 아니라, 수용체가 뭐하는 애들인지 먼저 알아야함.그리고 팁은 1번 붙은건 보통 수축 상승시키고 2번은 이완이라고 생각하자. 📌 [기본 개념: 아드레날린 수용체란?]교감신경계가 활성화될 때,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이나 에피네프린(epinephrine)이 붙어서 작용하는 수용체야.그 수용체는 크게 α(알파) 와 β(베타) 로 나뉘고, 각각의 아형은 위치와 기능이 달라.🔴 α1 수용체 (Alpha-1 receptor)🧠 위치: 혈관 평활근💥 기능: 혈관 수축 → 혈압 상승⛔ 억제제: 혈압을 낮추고 싶은 상황에서 사용돼 (예: 고혈압 치료제)🔵 α2 수용체 (Alpha-2 receptor)🧠 위치: 시냅스 전 뉴런💥 기능: 노르에피.. 2025. 4. 7.
스포츠심장과 고혈압의 좌심실비대증의 차이 스포츠심장 vs. 비대심근증 흔히 마라톤 선수를 초인간이라 부른다. 마라톤을 올림픽의 꽃이라고 부르는 것도 가장 힘든 경기이기 때문이다. 마라톤은 아주 원시적인 운동인 것처럼 보이지만 마라톤 선수의 능력은 과학의 신비를 잘 나타낸다. 마라톤선수는 심장크기부터 다르다. 일반인은 좌우직경이 약10cm 미만에 불과하나 마라톤선수는 16cm 이상이다. 특히 좌심실 크기가 월등한데 큰 심장은 한번 수축으로 혈액을 짤 수 있는 양이 많기에 충분한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한번에 짜내는 혈액량이 많아 심장박동을 자주 하지 않아도 된다. 그만큼 심장기능이 효율적인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안정시의 심박수가 현저히 낮게 나타나 마라톤선수들은 40~45회 정도에 불과하지만 일반인은 70회정도이다. 바르셀로나올림픽 금메달리스.. 2023. 1.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