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건강운동관리사🔴222

2019 건강운동관리사 기능해부학 11-20번 기출문제 풀이 및 개념정리 여러분 이 문제는 해부학 어플 한번만 보고 시작하세요. 진짜 별거 없었떤 문제임✅ 문제 해석가로돌기(transverse process)와 연결되지 않는 근육을 고르라는 문제야.🔍 각 보기에 대한 연결 해설① 머리널판근 (splenius capitis) ❌기시(origin): 목덜미인대(ligamentum nuchae), C7~T3 극돌기정지(insertion): 측두골의 유양돌기(mastoid process), 상항선❌ 가로돌기와는 직접적 연결 없음👉 정답② 머리반가시근 (semispinalis capitis) ✅기시: C4~T6의 가로돌기(transverse process)정지: 뒤통수뼈(occipital bone)✅ 가로돌기에서 시작하는 근육③ 돌림근 (rotatores) ✅기시: 척추의 가로돌기.. 2025. 5. 18.
[기능해부학] coxa vara / valga 와 genu varum / valgum 안 헷갈리게 외우는 방법 으 콕사바라 콕사발가 제뉴발검 제뉴바럼 외우면 뭐하노또 까묵는데용어부터 다시 정리하고 안까묵게 외워보쟈잇1. 용어 구조 먼저 이해하기용어부위접두어 뜻형태 해석coxa=엉덩관절 (hip)대퇴골경부-몸통각 기준"엉덩이 쪽"genu=무릎 (knee)무릎 안팎 벌어짐 기준"무릎" 그리고 왜 똑같은 안굽이( "varum vs. vara" ), 밖굽이( "valgum vs. valga")인데 왜 영어로 다르게 쓰냐? 그리고 왜 고관절에선 vara, valga를 쓰고, 왜 무릎에선 varum, valgum을 따로 쓰는가?궁금해본적ㅇ 있음? 왜 어미가 다르노?✅ 핵심 결론 먼저어미쓰는 위치문법적 이유어미쓰는 위치문법적 이유-um명사(genu, 무릎)와 함께중성 형태 (genu는 중성명사)-a명사(coxa, 엉덩이)와.. 2025. 5. 18.
2019 건강운동관리사 기능해부학 1-10번 기출문제 풀이 및 개념정리 ✅ 정답: ①번구용어신용어영어1. 봉공근넙다리빗근sartorius2. 박근두덩정강근gracilis3. 반건형근반힘줄근semitendinosus ✔ 이 세 근육은 모두 무릎 안쪽(내측)에 있는 경골(Tibia)의 거친면에→ **공동으로 닿는 공동건(pes anserinus, 거위발)**을 이룸→ **거위발(pes anserinus)**이란 이름은 거위 발처럼 펼쳐진 건 구조에서 유래한 이름이야🧠 기능해부학적으로 왜 중요할까?🔴 1. 다양한 기원과 작용축을 가진 근육의 만남근육속한 그룹주된 작용근육 속한 그룹주된 작용봉공근(sartorius)앞허벅지근엉덩이 굴곡, 무릎 굴곡, 무릎 내회전박근(gracilis)내전근엉덩이 내전, 무릎 굴곡, 무릎 내회전반힘줄근(semitendinosus)햄스트링엉덩이 폄,.. 2025. 5. 18.
2025년 52회 운동사 새내기 직무연수 & 57차 워크숍 참가 후기 1. 운동사 자격 시험 합격 후 직무연수 안내 3월에 필기실기시험이 끝나고10일 정도가 지나 시험 결과가 나오고.시험 후 한달 정도가 지나면 직무연수에 대한 공지가 나온다. 필기, 실기시험 이후 약 2달이 지나야 자격증을 받아볼 수 있었다. 일단 쓰레기+양산 사단법인마냥 수료의 느낌으로 자격증을 찍어내지 않는건 좋다. 하지만 이런 불합리적인 기간은 마음이 들지 않는다. 워크샵 일정과 함께 하려는 조정 때문에 이러는 것 같긴 한데 텅 빈 기간동안 갈곳을 잃을 사람들도 있지 않았을까 싶다. 다들 학생들이라 그냥 학교를 다니는거니 상관없나 싶기도 하다.하지만 나 같은,,;; 긴말 아니하겠음. 나는 그 사이에 공부랑 운동만 했다. 한량짓좀 햇음. 대한운동사협회 홈페이지, 공지사항에 보면 새내기 운동사 직무연수.. 2025. 5. 17.
2019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11-20번 기출문제 풀이 및 개념정리 🔎 각 보기 분석① 색전은 큰 동맥의 죽종, 심근경색증, 심방세동, 심내막염, 인공판막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 맞는 설명✔ 허혈성 뇌졸중은 보통 혈관이 막혀서(=색전 or 혈전) 뇌로 가는 혈류가 차단되면서 발생✔ 색전(embolus)은 심장 기원(심방세동, 심근경색), 죽종(atherosclerosis), 인공판막 등에서 떨어져 나와→ 중대뇌동맥(MCA) 같은 큰 혈관을 막을 수 있음② 일과성뇌허혈(TIA, Transient Ischemic Attack)은 안면감각이상, 저림증, 일시적 언어상실증 등이 나타난다.→ ✅ 맞는 설명✔ TIA는 흔히 “미니 스트로크”라고도 불림✔ 24시간 이내 (보통 30분~1시간)에 완전히 회복✔ 주 증상: 일시적인 시각장애, 언어장애, 반신 감각이상 등→ *.. 2025. 5. 15.
2019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1-10번 기출문제 풀이 및 개념정리 이 문제는 염증 반응의 고전적인 국소 5대 증상(Local signs of acute inflammation) 중국소증상에 해당하는 요소들을 구별할 수 있는지를 묻는 기본 개념 문제야.✅ 정답: ②번 (ㄱ. 발적, ㄴ. 종창, ㄹ. 발열)📘 [병태생리학] 1번 문제문제 요약:급성 염증의 **국소증상(local signs)**에 해당하는 항목 3가지를 고르는 문제🔍 보기 분석항목한글의미국소증상 여부항목한글의미국소증상 여부ㄱ발적 (redness)혈관 확장으로 인한 붉어짐⭕ㄴ종창 (swelling) 혈관투과성 증가 → 삼출물 축적 → 부기 ⭕ㄷ감염 (infection) 염증의 원인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증상 아님 ❌ㄹ발열 (heat)혈류 증가 → 국소 온도 상승⭕ 🧠 예상문제 (확장형)Q. 다음 중 급.. 2025. 5. 15.
2019 건강운동관리사 스포츠심리학 11-20번 기출문제 풀이 및 개념정리 📘 [스포츠심리학] 11번 문제운동심리상담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정답: ② 상담자는 내담자의 문제에 대해 즉각적으로 명확한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 보기 분석① 상담자는 내담자와 공감하고, 내담자의 이야기를 경청해야 한다.→ ✅ 맞음.→ **경청(active listening)**과 **공감(empathy)**은 상담의 핵심 기초 자세임.② 상담자는 내담자의 문제에 대해 즉각적으로 명확한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 ❌ 틀림.→ 운동심리상담의 기본 원칙은 **“해결책 제시가 아니라, 내담자가 스스로 해결책을 찾도록 돕는 것”**이야.→ 즉, 지시형이 아닌, 비지시형 상담(non-directive counseling)이 원칙임.③ 상담자는 내담자와 신뢰를 형성해야 한다.→ ✅ 맞음.→ .. 2025. 5. 13.
자기결정성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 Deci & Ryan) ✅ 자기결정성이론은 어디에서 나오느냐?📚 출제 파트: 운동학습 및 운동심리학 영역대목차 위치 예시 (국가시험 기준): Ⅲ. 운동학습 및 심리 3. 운동수행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요인 - 동기이론 (💥 SDT 핵심) - 내적동기 vs 외적동기 - 피드백과 자기효능감 - 목표 설정 이론즉, 운동학습 교과서나 스포츠심리학 교과서 양쪽에서 등장하지만,국가시험에서는 대부분 '심리파트'에서 출제됨.💡 시험 대비 꿀팁✅ "동기" 관련 문제가 나오면→ 무조건 자기결정성이론 or 동기유지전략 먼저 떠올려야 함✅ 무조건 외적/내적만 구분하지 말고→ 자기결정성 수준으로 연결해서 말할 수 있어야 고득점✅ 주관식 대비→ 내적동기 하위 3요소도 정확히 분류할 수 있어야 함! **자기결정성이론(Self-det.. 2025. 5. 13.
2019 건강운동관리사 스포츠심리학 1-10번 기출문제 풀이 및 개념정리 📘 [스포츠심리학] 1번 문제노화와 관련된 보행 형태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정답: ② 양발 지지기의 감소🔍 보기 분석① 보행 속도의 감소→ ✅ 맞는 설명. 노화가 진행되면 전반적인 근력, 균형 능력, 반응속도 감소로 인해 보행 속도(slow walking speed)가 줄어듦.② 양(두)발 지지기의 감소→ ❌ 틀린 설명. 노화가 진행되면 오히려 양발 지지기(double support phase) 시간은 늘어남. 불안정한 균형을 보완하기 위해 양발을 동시에 지면에 두는 시간이 길어지는 것.👉 수정: "양발 지지기의 증가"③ 걸음 길이(보폭)의 감소→ ✅ 맞는 설명. 한 걸음에 나가는 보폭(stride length)도 줄어들며, 전체적으로 소심한 보행 패턴이 나타남.④ 팔 앞뒤 흔들림(.. 2025. 5. 13.
[파킨슨] LSVT LOUD 음성 프로그램과 BIG 프로그램 **Lee Silverman Voice Treatment (LSVT)**와 LSVT BIG 프로그램은파킨슨병 환자에게 특화된 신경재활운동 프로그램으로,각각 **음성(voice)**과 **움직임(movement)**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두 프로그램은 다르게 보이지만, 공통된 핵심 원리는**"감각-운동 왜곡(sensory-motor mismatch)"을 바로잡고,뇌의 **신경가소성(neuroplasticity)을 활용해서 운동 및 음성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이야.✅ 1. LSVT LOUD (Lee Silverman Voice Treatment – 음성 프로그램)🔹 목적파킨슨 환자의 작고 약해진 목소리를 크게 만들기 위한 음성 재활 프로그램🔹 주요 특징**‘Think loud’ (크게 말하자)**라는 전략.. 2025. 5. 10.
[파킨슨] 임상 균형검사 6가지의 종류와 설명 ACSM에 있는 6가지 검사는 모두 **파킨슨병 환자의 균형 능력(balance ability)**을 평가할 때 사용되는 대표적인 임상 도구들이야. 각각의 목적과 방식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검사 목적, 방법, 임상적 의미를 하나씩 명확히 정리해줄게. 추론 설명도 곁들일게.✅ 1. 기능적 도달 검사 (Functional Reach Test)🔹 정의정면을 향한 자세에서 팔을 뻗었을 때, 넘어지지 않고 얼마나 멀리 손을 뻗을 수 있는지를 측정하는 검사.🔹 방법벽에 평행하게 서서 팔을 앞으로 90도로 듦손가락 끝에 자를 두고 최대한 앞으로 손을 뻗음움직이지 않은 상태에서 도달한 거리(cm)를 측정. 🔹 추론 의미앞 방향의 동적 균형 능력(anteroposterior stability) 평가도달 거리 짧을.. 2025. 5. 10.
[다운증후군] 미토콘드리아의 낮은 기능과 인산크레아틴 관계 📌 ACSM 원문 요약:“다운증후군 환자는 다운증후군이 없는 사람보다 미토콘드리아 기능이 낮다.이는 이 집단에서 신체활동이 낮은 비율로 기여하는 인산크레아틴 재합성률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 먼저, **인산크레아틴(Phosphocreatine, PCr)**이 뭐야?우리가 **고강도 운동(예: 점프, 스프린트)**을 할 때, 가장 먼저 쓰는 에너지원은 ATP야근데 ATP 저장량은 매우 적기 때문에, **곧바로 PCr(인산크레아틴)**을 이용해서 ATP를 재생성해✅ 식으로 표현하면:PCr + ADP → ATP + Cr근데 중요한 건 뭐냐면?이 **PCr을 다시 재합성(보충)**하는 건 운동이 끝난 뒤 회복 시,👉 미토콘드리아의 산화적 인산화 기능에 의존한다는 거야.🔴 그래서 핵심은?❗ "운동 후 인.. 2025. 5. 10.
[다운증후군] 경추 관절 이완과 근긴장도 저하의 원인 다운증후군(Down Syndrome) 아동은 경추, 특히 C1-C2(아틀라스-축추, atlantoaxial joint) 부위에서 **관절 이완(ligamentous laxity)**과 **근긴장도 저하(hypotonia)**가 매우 흔하게 나타나지.이건 단순히 “선천적이니까 그렇다”로 끝나는 문제가 아니라,유전적 이상 → 결합조직의 질적 문제 + 신경근 기능 이상이라는 생리학적 흐름이 있어.이걸 구조적으로, 기능적으로 추론해서 설명해줄게.⚫ 1. 다운증후군의 원인: 염색체 이상(21번 삼염색체, Trisomy 21)21번 염색체가 하나 더 있는 다운증후군에서는→ **결합조직(connective tissue)**과 근육 발달을 조절하는 유전자 발현이 영향을 받음.🔴 2. 관절 이완(Joint Laxity.. 2025. 5. 10.
[뇌성마비] 엘리트 선수가 신경근 피로감을 느끼지 못하는 이유 뇌성마비(Cerebral Palsy, CP) 환자의 **신경근 피로(fatigue)**는 일반적인 피로 개념과 좀 달라. 이 내용을 중추신경계 손상, 감각-운동 피드백 회로, 운동유닛 동원 방식, 경직(spasticity) 등 생리학적으로 추론해서 정리해볼게.⚫ 먼저 용어 정리부터:✅ '신경근 피로(Neuromuscular Fatigue)'란?근육이 수축을 계속하면서 점점 힘이 떨어지고, 신경계로부터의 명령도 흐려지는 상태를 말함.즉, 신경계 ↔ 근육 간 피드백 순환 회로가 소진되는 것.🔴 1. 왜 CP 환자, 특히 엘리트 선수는 피로를 덜 '느끼는 것처럼 보일까?'✅ 이유 1: 감각 피드백 기능의 이상(Sensory feedback impairment)CP 환자는 고유감각(Proprioception).. 2025. 5. 9.
[뇌성마비] 원시반사(Primitive Reflex)와 OKC 운동시 유의사항 우선 **원시반사(primitive reflex)**가 뭔지 간단히 정리한 다음, 왜 이게 운동 시 특히 문제가 되는지,그리고 OKC(open kinetic chain) 운동 시 어떤 점을 조심해야 하는지를 뇌기전 중심 + 기능해부학적으로 추론해서 설명해볼게.⚫ 1. 원시반사(Primitive Reflex)란?정상적인 신생아 및 영아기에 나타나는 무의식적인 반사.뇌의 **고등 운동조절 시스템(피질 조절)**이 아직 미숙해서 나타나는 하위중추 수준의 반사작용임.정상 아동은 생후 수개월 이내에 대뇌피질이 성숙하면서 대부분 **억제(inhibit)**됨.하지만 CP에서는 중추신경계 손상으로 억제가 되지 않고 남아 있는 경우가 많음.🔴 2. CP 환자에게 흔한 대표적 원시반사 3가지반사 이름설명운동 시 영향비.. 2025. 5. 9.
[뇌성마비] 환자들에게 단관절, 편측운동이 더 유익한 이유 일반 사람들에게는 다관절, 양측운동이 유익한 경우가 더 많다. 생활에 있어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양측 운동을 하기도 하고, 다관절 운동을 통해 더 많은 칼로리 소비를 유도하며, 신체 움직임의 연결을 위해 다관절 운동이 추천되기도 함.하!지!만!뇌성마비 환자들에게는 이러한 다관절, 양측 운동보다 단관절, 편측 운동이 더 유익할 수 있다는 문구가 있다.📌 핵심 주장:CP 환자에겐 다관절(biarticular/multi-joint), 양측운동(bilateral exercise)보다는 단관절, 편측운동이 더 유익할 수 있음. 그 이유는 ‘비정상적 보상 움직임을 억제하고’, ‘선택적 움직임 제어 능력’을 더 효과적으로 키우기 때문.⚫ 1. CP 환자는 ‘보상운동’을 쉽게 동원함CP는 뇌 손상으로 인해 기초 운.. 2025. 5. 9.
[뇌성마비] 신장성 트레이닝이 필요한 이유 한줄씩 뜯어서 의미를 이해해보자 📌 ACSM 뇌성마비환자 특별 고려사항 원문 정리"뇌성마비 환자의 특별 고려사항으로 느린 수축 속도로 단축성 및 신장성 근수축을 수반한 전체 관절가동범위에 걸쳐 저항 운동을 수행해야 한다. 신장성 트레이닝은 동시수축을 줄이고 실제 회전력 발달을 개선할 수 있다."⚫ 1. 왜 느린 속도(slow velocity)의 저항운동인가?CP의 핵심 문제:운동조절 장애(motor control problem)특히 **속도에 따른 긴장도 변화(spasticity)**가 있어서👉 빠른 움직임을 하려 하면 근경련, 협응 실패, 비의도 수축이 발생함.따라서,느린 수축 속도는 신경계가 움직임을 더 정교하게 통제할 시간을 줌.즉, 뇌가 근육 간 타이밍 조절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늘려주는 거.. 2025. 5. 9.
[뇌성마비] 최대심박수를 분당 180회 이상으로 표시하는 이유 뇌성마비 환자(Cerebral Palsy, 이하 CP)에게 **최대심박수 예측(MHR, Maximum Heart Rate)**을 일반적인 방식으로 사용하는 게 정확하지 않을 수 있는 이유와, ACSM이 언급한 **“셔틀 테스트 중 HR 180 이상은 최대 노력의 표시”**라는 문장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를 병리학+운동생리학적으로 풀어볼게.⚫ 1. CP 환자에게 일반적인 최대심박수 예측식(MHR)이 부정확한 이유🔵 일반적인 최대심박수 예측 공식:220 – 나이, 혹은 최근엔 208 – (0.7 × 나이) 같은 방식으로 추정함.하지만 이 계산식은 정상적인 자율신경계 기능과 심폐계 반응을 전제로 한 것이기 때문에 CP 환자에게 그대로 적용하기 어려움.❗ CP에서 MHR 예측이 어려운 이유 4가지:① 자율신.. 2025. 5. 9.
[뇌성마비] 환자에게 관절통이 흔한 이유 뇌성마비(Cerebral Palsy, CP) 환자에게 관절통(joint pain)이 흔한 이유는 단순히 "근육이 뻣뻣해서"가 아니고, 병리학적·기능해부학적·운동역학적 복합 기전 때문이야. 하나씩 정리해볼게.⚫ 1. 병리학적 기전: 신경계 손상과 통증 민감성뇌성마비는 **중추신경계(CNS)**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이로 인해 근긴장도(muscle tone)의 비정상, 움직임 조절 능력 저하, 반사 항진(hyperreflexia) 등이 생김.이 상태가 지속되면 만성적인 근육 수축, 비정상적인 관절 위치, 지속적 압박으로 인해 관절 주변 구조물(연골, 인대, 활막 등)이 손상됨.또 한 가지 중요한 포인트는, **신경병성 통증(neuropathic pain)**이나 중추성 통증 조절의 문제가 생기기 쉬워.. 2025. 5. 9.
[뇌성마비환자] 등척성 근력평가 중 엉덩관절 폄, 무릎 폄, 발목 움직임 신뢰성이 떨어지는 이유 GMFCS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레벨 1~3에 해당하는 뇌성마비(CP) 환자들은보행이 가능한 수준이지만, 여전히 신경근 조절의 불안정성이 존재해.특히 **엉덩관절 폄(hip extension), 무릎 폄(knee extension), 발목의 발등굽힘/발바닥굽힘(dorsiflexion/plantarflexion)**에 대해등척성 근력 측정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기능해부학적 + 신경생리학적 요인에서 설명할 수 있어.✅ 원인 ① 경직(spasticity)과 공동운동(synergistic co-contraction)뇌성마비 환자에서 특히 하지의 폄 근육(hip/knee extensors)이나발목 움직임에 관련된 근육군은 의도한 수축 시.. 2025. 5.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