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운동관리사🔴/💯19년도 기출문제풀이

2019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1-10번 기출문제 풀이 및 개념정리

by 둔근해 2025. 5. 15.
반응형

이 문제는 염증 반응의 고전적인 국소 5대 증상(Local signs of acute inflammation)
국소증상에 해당하는 요소들을 구별할 수 있는지를 묻는 기본 개념 문제야.

✅ 정답: ②번 (ㄱ. 발적, ㄴ. 종창, ㄹ. 발열)


📘 [병태생리학] 1번 문제

문제 요약:
급성 염증의 **국소증상(local signs)**에 해당하는 항목 3가지를 고르는 문제


🔍 보기 분석

항목한글의미국소증상 여부
항목 한글 의미 국소증상 여부
발적 (redness) 혈관 확장으로 인한 붉어짐
종창 (swelling)  혈관투과성 증가 → 삼출물 축적 → 부기 
감염 (infection)  염증의 원인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증상 아님 
발열 (heat) 혈류 증가 → 국소 온도 상승
 

🧠 예상문제 (확장형)

Q. 다음 중 급성 염증의 전신증상(systemic signs)에 해당하는 것은?
① 발열
② 발적
③ 종창
④ 통증

정답: ① 발열
→ 해설: **전신 발열(fever)**은 염증성 사이토카인(IL-1, TNF-α 등)에 의해 시상하부가 자극되어 나타나는 전신적 염증 반응


🧠 핵심 구분 꿀팁

  • 국소염증 = 눈으로 보이고 촉지되는 부위 증상 (발적, 종창, 통증, 발열, 기능상실)
  • 전신염증 = 체온 상승, 백혈구 증가, 급성기 단백 반응 등 전신 반응

 

📘 [병태생리학] 2번 문제

문제 요약:
심근허혈과 관련된 산소의 수요·공급 불균형에 대한 설명에서, 적절한 개념을 연결하는 문제

정답: ②번 – 산소요구량 / 산소공급량 / 감소


🔍 보기 분석 및 해설

보기 문장 해석:

심장근육의 ( ㉠ )이 ( ㉡ )을 초과하는 상태가 지속되면
심장근육의 허혈이 발생한다.
즉, 관상동맥의 혈류가 ( ㉢ )하게 되면 심장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기호해설
기호 해설
㉠ 산소요구량 심장근육이 운동이나 스트레스 상황에서 필요로 하는 산소량
㉡ 산소공급량 관상동맥을 통해 실제 공급되는 산소량
㉢ 감소 관상동맥 혈류가 줄어들면 공급도 줄어들고, 허혈(ischemia) 발생
 

→ 이처럼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고, 혈류까지 감소하면 심근허혈 발생
산소 공급-수요 불균형 모델은 허혈성 심질환의 기본 병태 생리


🧠 핵심 개념 정리 (10줄 이내)

  • 심장은 산소를 무척 많이 소비하는 기관이며,
    산소 공급은 관상동맥 혈류량에 의해 좌우됨.
  • **심근허혈(myocardial ischemia)**은
    ‘산소공급량 < 산소요구량’ 상태에서 발생
  • 예: 운동 중, 스트레스 시 심박수↑ → 산소요구량↑
    이때 관상동맥이 좁아져 공급이 따라가지 못하면 허혈 발생
  • 증상: 흉통(협심증), 호흡곤란, 심전도 변화 등
  • 반복되면 심부전, 심근경색으로 이행될 수 있음

🧠 병태&운동생리 전이 매핑 개념

병태생리학 관점운동생리학 관점연결 포인트
병태생리학 관점 운동생리학 관점 연결 포인트
산소공급 < 산소요구 → 허혈 발생 운동 시 심근 산소요구량은 HR × SBP (Rate Pressure Product)로 예측 RPP↑ = 심근산소요구량↑ = 허혈 위험 증가
관상동맥 협착 → 산소공급 감소 혈관 이완 능력 향상 = 운동 트레이닝 효과 유산소운동은 관상동맥 혈류 개선에 기여
허혈 지속 → 심장기능 저하 운동부하검사로 심근허혈 위험 조기 평가 가능 운동처방 안전기준 수립에 중요
 

 


#해시태그

#심근허혈 #산소불균형 #산소요구량 #관상동맥 #운동생리학연계 #RPP #병태생리학 #심장질환


🧠 예상문제 (전이 활용형)

Q. 다음 중 심근산소요구량을 간접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지표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심박수 × 이완기 혈압
② 심박수 × 수축기 혈압
③ 호흡수 × 분당환기량
④ 심박출량 × 말초저항

정답: ②
→ 해설: Rate Pressure Product (RPP) = HR × SBP → 심근 산소요구량 추정지표

 

이 문제는 골다공증(osteoporosis) 환자의 뼈밀도(BMD) 증가를 위한
운동 및 영양·약물 처방 전략 중에서, 올바른 설명들을 고르는 문제야.

✅ 정답: ③번 – ㄱ, ㄷ, ㄹ


📘 [병태생리학] 3번 문제

문제 요약:
골다공증 환자에게 뼈 건강을 위한 운동·영양 처방으로 옳은 것만을 고르는 문제


🔍 보기 분석

ㄱ. 기계적 부하(mechanical loading)가 적용되는 운동을 권장한다. → ⭕

  • 기계적 하중은 뼈에 자극을 주어 골형성 자극을 유도함
  • 대표 예: 저강도 중량지지 운동, 점진적 저항운동
    → 골밀도 유지 및 증가에 핵심 역할

ㄴ. 등골뼈의 강화를 위해 동적인 복근운동(sit-up)을 권장한다. → ❌

  • **복부의 굴곡 동작(sit-up)**은 척추 압박골절 위험이 있어 금기
  • 특히 척추압박이 진행 중인 노인 여성에게는 부적절
    → 대신 등척성 체간 강화 운동, 체중지지 중심 운동이 더 안전

ㄷ. 걷기와 같은 체중지지 운동을 권장한다. → ⭕

  • 걷기(walking), 계단 오르기, 태극권 같은 중력 하 운동
    뼈에 반복적 기계적 자극을 주어 골밀도 유지에 도움

ㄹ. 칼슘과 비타민 D 섭취를 권장한다. → ⭕

  • 칼슘: 뼈 형성의 주된 무기질
  • 비타민 D: 장내 칼슘 흡수율 향상, 골대사 조절에 핵심

ㅁ. 노인 여성에게 에스트로겐 처방은 권장하지 않는다. → ❌

  • 실제로 폐경 후 여성의 에스트로겐 감소가 골다공증 원인 중 하나
  • **HRT(호르몬 대체요법)**은 뼈 손실 예방을 위해 권장될 수 있음
    단, 유방암 위험, 혈전 등 부작용 고려 필요

✅ 핵심 정답: ㄱ, ㄷ, ㄹ


🧠 병태&운동생리 전이 매핑 개념

병태생리학 개념운동생리학 개념연결 포인트
병태생리학 개념 운동생리학 개념 연결 포인트
골밀도 감소 → 뼈 약화 골형성은 기계적 자극(기계력)으로 촉진됨 운동 시 기계적 하중 = 골생성 자극
노화 → 에스트로겐↓ → 골흡수↑ 폐경기 여성은 저강도 체중부하 운동 + 영양 관리 필요 근육·골 동시 자극 전략 적용
칼슘 흡수↓, 비타민 D 결핍 운동은 비타민 D 감수성에도 긍정적 작용 운동 + 영양 통합 관리로 골대사 최적화
 

🧠 핵심 개념 요약 (10줄 이내)

  • 골다공증 환자에게는 중력 하의 체중지지 운동이 효과적
  • 복부 굴곡성 운동(sit-up)은 금기 (압박골절 위험)
  • **기계적 하중(loading)**은 뼈 성장에 자극을 주는 생리학적 요소
  • 칼슘 + 비타민 D는 기본 중재
  • 에스트로겐 요법은 선택적 처방 가능, 특히 폐경 후 여성

#해시태그

#골다공증 #기계적부하 #체중지지운동 #비타민D #칼슘 #운동생리전이 #폐경기운동처방


🧠 예상문제

Q. 다음 중 골다공증 환자의 운동처방으로 부적절한 것은?
① 체중지지 하에서의 유산소 걷기 운동
② 등척성 코어 안정화 운동
③ 20회 반복의 점프 훈련 프로그램
④ 계단 오르기 훈련

정답: ③
→ 해설: 반복 점프는 낙상 위험 및 압박골절 가능성이 높아 고위험군에 부적절

이 문제는 **급성관상동맥증후군(ACS: Acute Coronary Syndrome)**의 전형적 징후들을 바탕으로
어떤 심장질환에 해당하는지를 고르는 문제야.

✅ 정답: ② 불안정형 협심증 (Unstable angina)
지금부터 보기 속 키워드들을 분석해서 왜 그런지 설명해줄게.


📘 [병태생리학] 4번 문제

문제 요약:
급성 흉통과 플라크 파열이 포함된 관상동맥 질환의 형태를 묻는 문제


🔍 보기 속 단서 분석

키워드의미
키워드 의미
급성관상동맥증후군(ACS) 불안정형 협심증, 심근경색 포함되는 응급 심장질환군
안정 시 흉통 운동과 관계없이 발생, 안정형 협심증과 반대
플라크 파열 + 혈전증 관상동맥 협착이 급격히 악화되며 혈류 차단 발생 가능성 ↑
심근경색으로 진행 가능성 위험한 불안정한 상태, 즉시 중재 필요
 

→ 이 네 가지를 종합하면, 전형적인 "불안정형 협심증"의 임상 양상과 일치함.


🧠 보기별 판단

① 안정형 협심증
→ ❌ 운동이나 스트레스 상황에서만 흉통 발생
→ 플라크 파열 없음, 예측 가능한 통증 패턴
문제 보기와 불일치

② 불안정형 협심증
→ ✅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의 초기 단계
안정 시 흉통 발생, 플라크 파열, 혈전 형성 위험
→ 심근경색으로 진행될 수 있는 위험 상태

③ 심판막질환
→ ❌ 주로 심장의 판막 기능 이상 (협착 or 폐쇄)
→ 흉통보다는 심잡음, 피로, 실신 등 호흡기 증상 중심

④ 심내막염
→ ❌ 감염성 질환, 주로 세균 감염에 의한 염증성 변화
→ 발열, 심장판막 손상, 패혈증 등이 주요 특징


✅ 핵심 개념 정리 (10줄 이내)

  • 불안정형 협심증관상동맥 플라크 파열
    혈전이 생기고, 관류 저하로 인해 예측 불가능한 흉통이 발생함.
  • 흔히 휴식 시에도 흉통이 나타나며,
    심근경색으로 이행될 가능성이 높아 응급질환으로 분류됨.
  • **급성관상동맥증후군(ACS)**은
    불안정형 협심증 + STEMI + NSTEMI 세 가지를 포괄함.

tmi for meeeeeeeeeee

✅ 1. 불안정형 협심증 (Unstable Angina)

  • 휴식 중에도 흉통이 발생함 (예측 불가)
  • 플라크가 파열되어 혈전 형성 중이지만 완전 폐색은 아님
  • **심장효소(트로포닌)**는 정상
  • 심근괴사 없음, 하지만 심근경색 전 단계로 위험
  • 응급 상황이며, 조기 개입이 필요함

✅ 2. STEMI (ST-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 ST분절 상승이 있는 전형적인 심근경색
  • 관상동맥이 완전히 폐색되어 심근 괴사 발생
  • 심장효소(트로포닌 등) 상승
  • 흉통이 심하고, 즉각적인 재관류치료 필요
  • 치명률이 높고, 신속한 응급처치가 중요함

✅ 3. NSTEMI (Non-ST-Elevation MI)

  • ST 분절 상승은 없음, 하지만 심근경색은 존재
  • 관상동맥이 부분적으로 폐색
  • 심장효소 상승으로 진단 (트로포닌↑)
  • 흉통은 있으나, STEMI보다 증상이 덜 전형적일 수 있음
  • 급성기 위험도는 낮지만 여전히 심혈관 위험군임

🧠 병태&운동생리 전이 매핑 개념

병태생리학 개념운동생리학 개념연결 포인트
병태생리학 개념 운동생리학 개념 연결 포인트
플라크 파열 → 혈전 형성 → 협심증/심근경색 위험 운동 시 심근 산소요구량↑ → 허혈 위험↑ 불안정형 협심증 시, 운동 중 혈역학 변화가 치명적일 수 있음
ACS는 산소공급/수요 불균형으로 악화됨 운동 시 RPP (HR×SBP) 상승 → 심근 부담↑ 불안정형 협심증 환자는 철저한 운동검사 후 처방 필요
휴식 시 흉통 = 안정성 상실 유산소운동 중 흉통 발생 시 즉시 중단 심전도·흉통 모니터링이 핵심
 

#해시태그

#불안정형협심증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플라크파열 #흉통 #병태운동전이 #심근허혈 #운동처방주의


🧠 예상문제

Q. 다음 중 불안정형 협심증의 특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운동 시에만 흉통이 나타난다
② 플라크가 안정되어 있으나 협착은 존재한다
③ 안정 시에도 흉통이 나타날 수 있다
④ 주로 판막 협착에 의해 발생한다

정답: ③
→ 해설: 불안정형 협심증은 플라크 파열로 혈전이 생기며,
안정 상태에서도 예기치 않게 흉통이 발생할 수 있는 응급 심혈관 질환

📘 [병태생리학] 5번 문제

문제 요약:
허리디스크의 병태생리 중 잘못 설명된 내용을 고르는 문제

✅ 정답: ① 가장 흔한 원인은 전방 돌출이다 (❌)


🔍 보기 분석

① 전방 돌출(protrusion)은 가장 흔한 원인이 아니다 → ❌ (정답)

  • 디스크 탈출은 일반적으로 후방 또는 후외측 돌출이 흔함
  • 왜냐하면 후방에는 후종인대와 근육이 약하고, 압력 부담이 크기 때문
  • 전방 돌출은 극히 드물고 실질적 병태 원인으로 보기 어려움
    → 따라서 가장 흔한 원인이 전방 돌출이라는 설명은 오답

② 디스크 탈출은 L4-L5, L5-S1에서 흔히 발생 → ⭕

  • 요추의 **하부(L4~S1)**는 체중 부담이 가장 큼
  • 반복적인 굴곡/신전 운동으로 해당 부위에서 디스크 압력이 집중됨
    → 실제 임상에서도 가장 흔한 발생 부위 맞음

③ 섬유륜(annulus fibrosus)의 약화와 균열로 발생 → ⭕

  • 디스크는 **섬유륜 + 수핵(nucleus pulposus)**으로 구성됨
  • 섬유륜이 약해지면 수핵이 밀려나며 탈출 → 전형적인 병태 생리 구조
    → 특히 노화, 퇴행성 변화, 반복된 부하가 원인

④ 장시간 움직이지 않으면 디스크 혈액공급이 줄고 변화가 초래될 수 있다 → ⭕

  • 디스크는 혈관이 적고, **움직임을 통한 확산(diffusion)**으로 영양 공급 받음
  • 장시간 정적 상태 = 영양공급 저하 → 퇴행성 변화 가속화
    → 운동부족이 디스크 병변의 악화 요인으로 인정됨

🧠 병태&운동생리 전이 매핑 개념

📌 병태&운동생리 전이 매핑

✔ 병태 관점: 디스크 퇴행 → 섬유륜 약화 → 수핵 탈출  
✔ 운동 관점: 코어 안정성 저하 → 허리에 반복 부하 증가  
👉 연결 포인트: **코어 강화 운동을 통해 디스크 압력 완화 가능**

✔ 병태 관점: 장시간 비활동 → 영양 확산 저하 → 퇴행 촉진  
✔ 운동 관점: 규칙적 움직임 → 디스크 대사 촉진  
👉 연결 포인트: **가벼운 활동만으로도 디스크 건강 유지 가능**

✔ 병태 관점: 요추 하부(L4~S1) 탈출 빈도 높음  
✔ 운동 관점: 과도한 허리 굴곡·회전은 부하 집중 유발  
👉 연결 포인트: **운동 시 허리 안정화 전략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함**

🧠 핵심 개념 요약 (5줄)

  • 허리디스크는 주로 L4~S1에서 발생
  • 원인은 섬유륜의 퇴행과 수핵 탈출
  • 가장 흔한 방향은 후외측 돌출이며 전방은 드물다
  • 장시간 비활동은 디스크 영양 공급 저하로 퇴행 유발
  • 적절한 운동은 코어 강화와 디스크 건강 유지에 도움

#해시태그

#허리디스크 #요추추간판탈출증 #섬유륜 #수핵 #후방탈출 #운동예방 #코어강화


🧠 예상문제 (비틀기)

Q. 다음 중 요추 추간판탈출증의 주된 병태생리 기전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요추 신경총의 압박
② 후종인대의 경직
③ 섬유륜의 파열 및 수핵 탈출
④ 척수액의 누출

정답: ③
→ 해설: 허리디스크는 섬유륜 손상 → 수핵 탈출이 주된 병리기전임

2025.04.24 - [🔴건강운동관리사🔴/🫀운동생리학] - [운동생리학] RAA 시스템 (레닌법사 콩팥나라 암기)

 

[운동생리학] RAA 시스템 (레닌법사 콩팥나라 암기)

🧠 핵심 흐름 먼저 요약혈압이 떨어짐! → 콩팥이 렌닌 분비! → 안지오텐신 활성화! → 혈관 수축 + 알도스테론 분비 → 나트륨 재흡수 → 혈압 상승!🎭 암기 스토리: 《라아아아아!!! 혈압을 올

corebox21.tistory.com

한번에 외우는 RAA  시스템 참고!!!

정답은 3번!

📘 [병태생리학] 7번 문제

문제 요약:
급성심근경색의 진단 및 증상 관련 설명 중 틀린 내용을 찾는 문제


🔍 보기 해설

① 흡연,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은 모두 동맥경화와 심근경색의 대표 위험인자임 → ⭕

② **ST분절 상승(ST elevation)**과 **T파의 역위(T-wave inversion)**는
STEMI 진단 시 핵심적인 심전도 소견임 → ⭕

③ 심근세포 손상 시 방출되는 **트로포닌 I, T(cTnI, cTnT)**는
심근경색 진단에 가장 민감한 생화학 지표임 → ⭕

"활동 시 흉통이 악화되고 안정 시 호전되는" 것은
→ **안정형 협심증(stable angina)**의 전형적인 소견임 → ❌
급성심근경색은 안정 시에도 갑작스런 흉통이 발생하고,
휴식으로도 호전되지 않음 → 즉, 보기 내용은 잘못된 설명


✅ 핵심 개념 요약 (5줄)

  • 급성심근경색관상동맥 폐색으로 심근이 괴사되는 상태
  • 증상은 안정 시 흉통, 방사통, 식은땀 등
  • **심전도 이상(ST elevation, T파 변화)**는 진단에 핵심
  • **심근 트로포닌 상승(cTnI, cTnT)**은 생화학적 진단 지표
  • 흉통이 활동-안정에 따라 변화하는 것은 협심증의 특징

🧠 병태&운동생리 전이 매핑

✔ 병태 관점: 관상동맥이 완전히 막혀 심근괴사 발생
✔ 운동 관점: 심근산소요구량 증가(RPP↑) 시 허혈 또는 위험 심전도 변화 유발 가능
👉 연결 포인트: 심근경색 병력이 있는 사람은 운동 시 철저한 심전도·증상 모니터링 필수

✔ 병태 관점: 트로포닌 상승은 심근손상 생화학 지표
✔ 운동 관점: 격렬한 운동 직후 일시적 트로포닌 상승이 비정상 병태와 혼동될 수 있음
👉 연결 포인트: 트로포닌 검사는 운동 후 경과시간 고려하여 해석해야 함

✔ 병태 관점: 안정 시 흉통 지속 → 심근경색 가능성
✔ 운동 관점: 안정 흉통은 절대적 운동금기
👉 연결 포인트: 안정 흉통이 있을 경우 운동 전 심장평가가 우선


#해시태그

#급성심근경색 #심전도소견 #트로포닌 #안정흉통 #심근허혈 #운동금기 #병태운동전이


🧠 예상문제

Q. 다음 중 급성심근경색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안정 시에도 흉통이 지속될 수 있다
② ST 분절 상승이 진단에 활용된다
③ 트로포닌 T 수치 상승은 진단 지표가 아니다
④ 혈전으로 인한 관상동맥 폐색이 원인이다

정답: ③
→ 해설: 트로포닌 T는 심근손상의 대표적 진단 지표로 활용됨

 

이 문제는 공기가 **흉강(pleural cavity)**으로 비정상적으로 유입되어 폐가 압박당하는 **기흉(pneumothorax)**의 분류 기준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지를 묻는 문제야.

✅ 정답: ③번 – ①차성, 개방성, 긴장성


📘 [병태생리학] 8번 문제

문제 요약:
공기유입 원인과 기전별로 나누는 기흉의 3가지 분류(발병 경로, 외상 유무, 내부 압력 변화)를 묻는 문제


🔍 보기 해설

① “건강인에게 특별한 원인 없이도 발생” → 1차성 기흉 

  • 기저 폐질환이 없는 젊은 남성 등에게도 자발적으로 생기는 기흉
  • 주로 폐첨부(윗부분)의 소기포(bleb)가 파열되며 발생
  • 기저 질환 없이 자연 발생 → 1차성

✅ 2차성 기흉 (Secondary pneumothorax)

  • 기저 폐질환(COPD, 폐기종, 결핵 등)을 가진 사람에게 발생
  • 폐조직이 약화되어 자연스럽게 공기가 새어 나감
  • 증상이 더 심하고, 회복이 느릴 수 있음
  • 노인층이나 만성폐질환자에게 흔함
  • 운동이나 활동 중 악화 위험 높음

② “흉곽 손상(외상)으로 공기가 유입되면” → 개방성 기흉

  • 외상으로 인한 흉막 손상 → 외부 공기가 흉강과 자유롭게 소통
  • 공기 유입과 배출이 모두 가능한 상태
  • 즉, 외부와 열린 경로가 존재 → 개방성

③ “공기를 배출하지 못해 압력이 계속 증가” → 긴장성 기흉 (Tension pneumothorax)

❗ 여기서 주인쟝이 “공기를 못 뺀다 → 폐쇄성 아닐까?”라고 착각한 지점, 아주 잘 짚었음!
하지만 핵심 차이는 **“압력 증가”**에 있어.

  • 긴장성 기흉은 일종의 일방 밸브 작용(공기 유입만 되고, 배출은 안 됨)
  • 공기가 들어오기만 하고 나가질 않아, 폐는 더 눌리고, 심장과 대혈관까지 압박됨
  • 이로 인해 흉강 내 압력이 점차 상승 → 응급 상황!
    → 반면 폐쇄성 기흉은 단순히 폐 자체가 찌그러진 상황일 뿐, 이렇게 압력이 상승하면서 생명을 위협하진 않음.

✅ 폐쇄성 기흉 (Simple/Closed pneumothorax)

  • 공기가 흉강으로 들어왔지만, 출입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음
  • 외상 없이 자발적으로 발생하거나, 외상 후 구멍이 닫히면서 발생
  • 압력이 급격히 올라가진 않음 (긴장성과는 다름)
  • 공기가 천천히 흡수되면 저절로 호전되기도 함
  • 비교적 경미한 경우가 많지만, 관찰 필요

✅ 핵심 개념 요약 (5줄)

  • 1차성 기흉: 건강한 사람에게도 생김 (기저 질환 없음)
  • 개방성 기흉: 외상성, 흉막이 열려 있어 공기 유입·배출 자유로움
  • 긴장성 기흉: 공기는 들어오고 나가지 못함 → 압력 상승이 핵심
  • 긴장성은 폐쇄와 달리 심장·혈관까지 압박함 → 생명 위협
  • 따라서 긴장성 기흉은 반드시 흉부 천자 등 즉각 처치가 필요함

#해시태그

#기흉 #긴장성기흉 #개방성기흉 #1차성기흉 #흉강압력 #운동중흉통 #병태운동연계 #응급호흡장애


🧠 예상문제 (한 번 비틀기)

Q. 다음 중 긴장성 기흉과 폐쇄성 기흉을 구별하는 주요 기준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폐 허탈 정도
② 흉막 손상의 위치
③ 흉강 내 공기의 흡수 능력
④ 흉강 내 압력의 지속적 증가 여부

정답: ④
→ 해설: 긴장성 기흉은 일방향 공기 유입 → 압력 점차 상승이라는 병태생리가 핵심이며,
이는 단순한 폐쇄성 기흉과는 구별되는 치명적 기준임.

 

📌 문제 9번. 천식(asthma)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보기 분석

① 비정상적인 점액성 분비물에 의한 폐쇄와 감염에 의한 광범위한 기관지 확장이 나타난다. → ❌ 오답
→ 이건 기관지확장증(bronchiectasis) 에 대한 설명임.
기관지 내 점액 고임 + 만성 감염 → 영구적인 기관지 확장 상태를 말하는 것이지, 천식이 아님.


② 호흡곤란으로 인해 폐내 잔기량 증가와 산증(acidosis)이 나타난다. → ✅ 정답
→ 천식은 기도 과민반응으로 인해 기관지 평활근 수축, 점액 과다분비, 기도 염증 등이 생김.
→ 이로 인해 폐에서 공기를 배출하지 못하는 air trapping 현상이 발생하고,
→ 결과적으로 **폐내 잔기량(RV, residual volume)**이 증가함.
→ 산소는 못 들어오고 이산화탄소는 못 나가서 이산화탄소 저류(hypercapnia)산증(acidosis) 유발됨.
폐쇄성 환기장애에서 자주 보이는 기전이야.


③ 천식발작 시 기관지를 확장시키기 위해 베타-2 차단제가 필요하다. → ❌ 오답
→ 정반대임. 천식 시에는 기관지 이완이 필요하기 때문에
✔ **베타-2 작용제(agonist)**가 필요해.
→ 대표 약물은 살부타몰(salbutamol) 같은 **단시간 작용 흡입 베타-2 작용제(SABA)**야.


④ 천식의 주요 원인은 내인성 혹은 비아토피성(non-atopic)이며 특히 밤에 증상이 잘 나타난다. → ❌ 오답
→ 천식은 **내인성(비알레르기성)**도 있지만,
✔ 가장 흔한 원인은 아토피성(atopic), 즉 외인성 반응이야.
→ 아동, 젊은층에서 면역글로불린 E(IgE) 매개 알레르기 반응으로 자주 나타나.
→ 맞는 내용이 일부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부정확함.


✅ 정답: ②번


📚 핵심 개념 요약

원인

  • 유전적 요인 + 환경적 자극 (꽃가루, 진드기, 먼지, 운동 등)
  • 내인성(비알레르기성) / 외인성(아토피성, IgE 관련)

병태생리 기전

  • 기관지 평활근 수축
  • 점막 부종
  • 점액 분비 증가 → 기도 폐쇄
  • 공기 갇힘(air trapping) → 폐내 잔기량 증가 → 호흡성 산증

주요 증상

  • 호흡곤란(dyspnea), 천명(wheezing), 기침(cough), 흉부 압박감
  • 야간 또는 새벽에 악화되기 쉬움

약물 치료 (ACSM 11판 기준)

  • 급성 증상: SABA (단시간 작용 흡입성 베타2 작용제)
  • 유지 치료: ICS (흡입성 스테로이드), LABA (장시간 작용 베타2 작용제), 류코트리엔 조절제

🧠 병태&운동생리 전이 매핑 개념

병태 관점: 잔기량(RV) 증가 + 산증 → 호흡성 산-염기 불균형
운동 관점: 폐활량 감소로 인해 운동 시 환기효율(VE/VO₂) 떨어짐,
→ 유산소 내성 감소, 과호흡 발생 위험 ↑
👉 따라서 운동 시 강도 조절 중요하고, 호흡근 훈련도 병행 필요


🔁 예상문제

Q. 천식 환자의 병태생리적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잔기량 증가
② 기관지 평활근 이완
③ 기도 내 점액 분비 증가
④ 호기 시 공기의 폐 내 정체

👉 정답: ②
→ 천식은 평활근 이완이 아니라 수축이 주된 문제임

📌 문제 10번. 파킨슨병과 관련된 내용으로 옳은 것은?

🔎 보기 분석


ㄱ. 운동경로 중 피질척수로(corticospinal tract)의 기능장애로 나타난다. → ❌ 오답
→ 파킨슨병은 추체외로계(extrapyramidal system) 질환임.
→ 피질척수로는 **추체로(pyramidal tract)**로, 주로 수의운동의 직접적 조절을 담당함.
→ 파킨슨병은 **흑색질(substantia nigra)**의 도파민 부족 → 기저핵 기능 이상 → 추체외로계 이상이 맞음.


ㄴ. 동작을 처음 시작할 때 어려움이 있으며, 떨림(tremor) 증상은 수의적 운동 시 사라진다. → ✅ 정답
→ 이게 바로 파킨슨병의 운동시작장애(Bradykinesia)휴식기 떨림(resting tremor) 특성이야.
→ 움직이기 전엔 떨림이 있지만, 의도적인 수의운동을 하면 일시적으로 떨림이 감소함.
→ 환자는 ‘시작이 어렵다’고 호소하고, 걷기 시작하면 가속화되는 **파행(festinating gait)**을 보이기도 함.


ㄷ. 도파민은 혈액뇌장벽(BBB)을 통과할 수 없으므로 치료제로 전구물질인 L-dopa를 투여한다. → ✅ 정답
→ 도파민은 BBB 통과 불가능하지만, **L-dopa(레보도파)**는 통과 가능.
→ 뇌 내에서 L-dopa → 도파민으로 전환되어 약효 발휘,
→ 그래서 L-dopa + 도파 탈탄산효소 억제제(combined therapy) 같이 투여함 (예: carbidopa).


ㄹ.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의 과다분비로 근긴장도가 증가한다. → ❌ 오답
→ 파킨슨병은 도파민의 감소가 핵심 병태임.
→ 도파민은 기저핵에서 억제적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감소 시 상대적으로 아세틸콜린(흥분성) 우세
근긴장도 증가(rigidity), 운동 장애, 떨림 등이 나타남.
→ 즉, 도파민 과다(X) → 도파민 부족 + 아세틸콜린 상대적 과다(O)


ㅁ. 자율신경계 기능장애가 나타나며 일부 환자에서 치매가 동반될 수 있다. → ✅ 정답
→ 파킨슨병은 운동증상 외에도 비운동 증상이 매우 흔함.
→ 예: 기립성 저혈압, 변비, 수면장애, 우울, 인지장애(파킨슨병성 치매)
→ 말기일수록 치매 동반 확률 높아지고, 파킨슨병 자체가 Lewy body 축적에 의한 신경변성질환이기 때문임.


✅ 정답: 3번 (ㄴ, ㄷ, ㅁ)


🧠 병태&운동생리 전이 매핑 개념

병태 관점: 도파민 부족 → 기저핵의 억제-흥분 조절 이상 → 떨림, 강직, 운동시작장애
운동 관점: 수의운동 속도 감소 → 운동 패턴 훈련 BIG program 등으로 운동 증폭 전략 필요
👉 신경가소성 기반 반복 훈련과 외부 자극(시각, 청각)에 의한 운동유도 활용


🧠 핵심 키워드 요약

  • 기저핵(basal ganglia) 이상
  • 도파민(dopamine) 감소
  • 레보도파(L-dopa) 치료
  • 브래디키네시아(bradykinesia)=운동시작장애
  • 레스팅 트레머(resting tremor)=휴식기떨림
  • 자율신경계 이상
  • 인지저하/치매 가능성

🔁 예상문제

Q. 파킨슨병의 주요 운동 증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브래디키네시아
② 휴식기 떨림
③ 근긴장도 저하
④ 자세 불안정성

👉 정답: ③
→ 파킨슨병은 **근긴장도 증가(rigidity)**가 특징임. 저하 아님!

 

 


📢ai와 함께 작성하고, 주관적인 견해와 가미된 해설인 부분도 있습니다.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해보는 것은 AI가 추론한 것이고, 교재의 문장 재해석은 공식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운동생리학, 스포츠의학 최신판 교재를 활용, 구글 서칭을 이용한 검토와 풀이 입니다.  
💌 오류사항, 누가봐도 잘못된 내용, 지적 받습니다. 댓글 남겨주세요.  
💕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버튼 클릭 부탁드립니다.  
  
🍑by. 이하나의 둔근해가 떴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