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강운동관리사🔴/✔️오답노트10 오답노트ㅣ21년 건강체력평가 11번 [표준화된 효과의 크기] 이 문제는 ‘처치 전후 변화량’을 동연령대 평균과 표준편차를 기준으로 얼마나 벗어났는가, 즉 **Z-점수(Z-score)**를 이용해서 **표준화된 효과의 크기(Standardized Effect Size)**로 비교하는 문제임.📌 문제 확인30대 남성을 대상으로 12주 운동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운동 전후 체력 요소의 변화량을 측정함.→ 이 변화량이 동연령대 평균 변화량보다 얼마나 큰지 비교하여→ 가장 큰 증진 효과가 나타난 체력요소를 고르는 문제.🔎 풀이 접근법1단계: 표준화 점수(Z-score) 개념 적용각 체력요소의 변화량과, 그 변화량의 30대 평균과 표준편차가 주어졌기 때문에👉 각 항목의 Z점수를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음:2단계: 각 항목 Z점수 계산항목실제 변화량평균 변화량표준편차.. 2025. 4. 25. 오답노트ㅣ22년 병태생리학 14번 [면역글로블린 암기법] ✅ 정답: ④ IgD – 기생충, 알레르기 반응 X🔍 보기 검토① IgA✔ 맞는 설명점막 면역의 핵심소화관, 호흡기, 침, 눈물 등 분비물에 풍부병원체가 점막을 통해 침입하는 것을 방어② IgG✔ 맞는 설명혈액 속에 가장 많은 항체 (전체 Ig 중 75~80%)2차 면역반응의 핵심!태반을 통과해 태아에게 수동면역 전달 가능③ IgM✔ 맞는 설명항원에 처음 노출되었을 때 가장 먼저 생성1차 면역 반응의 대표 항체④ IgD❌ 틀린 설명 → 정답IgD는 B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수용체 역할정확한 기능은 아직 완전히 규명되지 않았고,기생충이나 알레르기와 직접 관련 없다❗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건 IgE임!→ 비만세포와 결합 → 히스타민 방출 → 알러지 유발🧠 면역글로불린(항체, Immunoglobulin).. 2025. 4. 24. 오답노트ㅣ22년 기능해부학 19번 : [질환별 전형적인 보행 패턴] 📘 질환별 전형적인 보행 유형 정리: 실조형, 파킨슨병, 소뇌병변, 편마비 비교✅ 기출문제 예시다음 보기 중, 질환별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보행 유형이 모두 옳게 연결된 것은?질환보행유형보기 내 정오질환 - 보행유형 보기정오① 실조형 (ataxia type) – 취한걸음 (drunken gait)✅ 정답② 파킨슨병 (Parkinson) – 종종걸음 (festinating gait)✅ 정답③ 소뇌병변 (cerebellar lesion) – 휘돌림걸음 (circumduction gait)❌ 틀림④ 편마비 (hemiplegia) – 혼들걸음 (ataxia gait)❌ 틀림✅ 정답: ①번📌 해설 및 질환별 보행 특징 정리① 실조형 ataxia type – 취한걸음 drunken gait소뇌성 실조(ataxia.. 2025. 4. 23. 오답노트ㅣ22년 기능해부학 17번 [발목과 발의 신경손상] ① 정강신경(tibial nerve)의 중간부분 손상 → 발가락뼈사이관절(interphalangeal joint)의 굽힘❌ 이 설명이 틀림 → 그래서 정답!정강신경은 뒤정강근(tibialis posterior), 발바닥근육군 등 **발바닥 굽힘(flexion)**에 관여하지만 중간부분 손상일 경우, 말초(발가락) 굽힘이 모두 없어지는 건 아님.특히 **발가락뼈사이관절의 굽힘(Flexion at IP joint)**은 **긴발가락굽힘근(FDL, flexor digitorum longus)**이 담당 → 정강신경 말단 부위 손상 시 영향➤ 중간부분 손상으로는 IP 관절 굽힘 손상이라고 보기엔 부적절함✅ ② 종아리신경의 깊은 가지(deep fibular nerve) → 발바닥쪽 굽힘 at 목말종아리관절(tal.. 2025. 4. 23. 오답노트ㅣ22년 기능해부학 16번 [쥐기 : Power Grip] 뉴만 3판 317쪽, 🔍 ① 손목폄근(wrist extensor muscle)의 장력은 쥐는 힘에 반비례한다.❌ 틀림손목폄근은 손가락을 굽혀서 쥘 때 **수축해 손목을 고정(extensor stabilization)**함.실제로는 쥐는 힘이 커질수록 손목폄근의 등척성 수축도 증가함.➤ 즉, 반비례가 아니라 정비례라고 봐야 함.🔍 ② 얕은손가락굽힘근(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은 손가락끝마디뼈사이 관절(DIP joint)을 굽힌다.❌ 틀림얕은손가락굽힘근(FDS)은 **PIP 관절(중간마디관절)**까지만 작용함.DIP는 **깊은손가락굽힘근(FDP)**이 굽힘을 담당함.➤ 따라서 설명이 잘못됨.🔍 ③ 4, 5번째 손목손허리관절(CMC joint)은 엄지와의 기능적 상호작용을 .. 2025. 4. 23. 오답노트ㅣ22년 운동부하검사 7번 [ST분절과 관상동맥질환의 상관관계] 📌 ST 분절 하강 관련 변수와 허혈 정도의 관계변수허혈 정도와의 관계설명변수허혈 정도와의 관계설명🔴 ST 분절 하강의 지속 시간 (Duration)비례오래 지속될수록 허혈이 더 심하거나 회복이 더딘 것🔴 ST 분절 하강의 리드 수 (Number of leads)비례여러 리드에서 보인다는 건 허혈 부위가 넓다는 뜻🔴 하강의 깊이(정도, Magnitude)비례1mm보다 2~3mm면 허혈이 더 심하다는 의미🔵 하강의 경사도 (Slope)반비례**수평(horizontal)**이나 **하향(sagging/downsloping)**일수록 더 위험, **상승경사(upsloping)**이면 허혈 가능성 ↓🔍 각 요소를 조금 더 디테일하게 보자🔴 1. ST 하강 지속 시간 (Duration)운동 후 회복기.. 2025. 4. 23. 오답노트ㅣ22년 운동처방론 14번 [산소섭취량->METs로 환산하기] 여유산소섭취량 공식을 알아도 METs로 환산 못해서 바부바부쟝은 틀렸습니다.✅ 문제 요약대상자 특성:최대산소섭취량(VO₂max): 47.5 mL/kg/min운동강도: 70% VO₂R운동시간: 40분/회 × 주 3회 = 120분/주📌 풀이 순서 (ACSM 기준 공식 적용)1. VO₂ Reserve (VO₂R) 공식운동 VO₂ = (VO₂max - VO₂rest) × 강도 + VO₂rest ]VO₂max = 47.5 mL/kg/minVO₂rest = 3.5 mL/kg/min강도 = 70% = 0.70운동 VO₂ = (47.5 - 3.5) × 0.70 + 3.5 = 34.32. MET로 환산 (1 MET = 3.5 mL/kg/min)34.3 ÷ 3.5 = 9.8 3. 주간 MET·분 계산주간 총 소모량 = .. 2025. 4. 22. 오답노트ㅣ22년 건강체력평가 16번 [분산 설명력] 📊 그래프 정보 요약회귀식: y = 0.8x + 5.0→ 체중(x)이 증가하면, 상대악력(y)이 0.8씩(=기울기) 증가. 상수 5.0은 수학적 선 위치 조정값으로 생각하기.상관계수 r = 0.9→ 매우 강한 양의 상관관계🔍 보기 분석① "체중과 상대악력의 상관계수는 0.80이다."❌ 틀림상관계수는 **문제에 명시된 대로 r = 0.9**임0.80이라고 한 건 오답 유도용 숫자② "체중과 상대악력 간에는 매우 높은 부적상관이 있다."❌ 틀림r = 0.9 → 양의 상관관계임‘부적상관’은 r이 음수일 때 (예: -0.9) 사용③ "체중으로 상대악력 분산의 81% 정도를 설명할 수 있다."✅ 정답분산 설명력은 r²로 계산→ r = 0.9 이므로 r² = 0.81 → 81%즉, 체중이라는 변인 하나로 상대악.. 2025. 4. 22. 오답노트ㅣ22년 운동생리학 17번 [순환계] [생리학] 17번. 순환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보기 분석① "혈류의 분배는 주로 혈관의 수축과 이완을 통해 이루어진다."✅ 옳음이는 **저항 혈관(resistance vessel)**인 **세동맥(arteriole)**의 역할!세동맥은 평활근 수축/이완을 통해 국소 혈류 조절예: 운동 중 활동 근육으로 혈류 증가시키고, 장기에서는 감소시킴② "평균동맥혈압은 심박출량과 총말초혈관저항에 의해 결정된다."✅ 옳음평균동맥혈압(MAP) 공식은MAP = 심박출량(CO) × 총말초저항(TPR)CO = 심박수(HR) × 1회 박출량(SV)③ "체순환 시 세동맥보다 모세혈관에서 평균동맥혈압의 감소가 더 크다."❌ 틀림! → 정답평균혈압의 가장 큰 감소는 **세동맥(arteriole)**에서 발생함이유:.. 2025. 4. 22. 오답노트ㅣ22년 운동생리학 5번 [헤모글로빈(hemoglobin)] 정 [생리학] 5번 문제질문 요약: 헤모글로빈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보기 분석① “운동시 감소한 pH는 헤모글로빈의 산소친화력을 증가시켜 운동하는 근육으로의 산소분리가 증가한다.”❌ 틀림.pH가 감소(산성화) → Bohr 효과 발생 → 헤모글로빈의 산소친화력은 감소함→ 산소를 잘 ‘붙잡는’ 것이 아니라 ‘놓는’ 쪽으로 바뀜 → 산소 분리는 증가하므로 문장 후반은 맞지만, 앞부분의 "산소친화력이 증가"는 오답 포인트임.✅ 정답 문장으로 고치면:"운동 시 감소한 pH는 헤모글로빈의 산소친화력을 감소시켜, 운동 근육으로의 산소 분리가 증가한다."② “산소분압 20 mmHg에서, 마이오글로빈에 비해 헤모글로빈의 산소친화력이 높다.”❌ 틀림.Myoglobin은 근육 내에 있고, 낮은 산소분압에서도 산소를 .. 2025. 4. 2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