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뉴만 3판 317쪽,
🔍 ① 손목폄근(wrist extensor muscle)의 장력은 쥐는 힘에 반비례한다.
- ❌ 틀림
- 손목폄근은 손가락을 굽혀서 쥘 때 **수축해 손목을 고정(extensor stabilization)**함.
- 실제로는 쥐는 힘이 커질수록 손목폄근의 등척성 수축도 증가함.
- ➤ 즉, 반비례가 아니라 정비례라고 봐야 함.
🔍 ② 얕은손가락굽힘근(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은 손가락끝마디뼈사이 관절(DIP joint)을 굽힌다.
- ❌ 틀림
- 얕은손가락굽힘근(FDS)은 **PIP 관절(중간마디관절)**까지만 작용함.
- DIP는 **깊은손가락굽힘근(FDP)**이 굽힘을 담당함.
- ➤ 따라서 설명이 잘못됨.
🔍 ③ 4, 5번째 손목손허리관절(CMC joint)은 엄지와의 기능적 상호작용을 강화하고 잡기 효율성을 증가시킨다.
- ✅ 정답
- 4, 5번째 CMC joint는 다른 손가락에 비해 움직임이 더 많음 → 팔레트나 컵을 감싸쥐는 power grip에 기여함.
- 특히 **엄지(thumb)와의 협응 작용(opposition)**을 가능하게 해줌.
- ➤ 실제로 잡기 동작의 효율성 증가에 매우 중요함.
🔍 ④ 열쇠잡기는 엄지굽힘근(flexor pollicis)과 두 번째 등쪽뼈사이근(dorsal interosseus)의 힘을 필요로 한다.
- ❌ 부분적 사실이지만 부정확
- 열쇠잡기(key pinch)는 **엄지의 맞섬(opposition) + 검지의 내전(adduction)**이 핵심
- 이때 더 중요한 건 **엄지 맞섬근(opponens pollicis)**와 첫 번째 등쪽 뼈사이근임
- 2번째 등쪽뼈사이근은 중지 작용 쪽이라 다소 어긋남
✅ 정답: ③번
📌 한줄 요약
4,5번째 CMC 관절은 엄지와의 협응 작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쥐는 힘의 효율을 높여주는 관절
🧠 확장 개념: 쥐는 힘(grip)의 유형과 근육
Grip Type설명주요 근육
그립 타입 | 설명 | 주요 근육 |
Power Grip | 물건을 꽉 감싸쥐는 형태 | 깊은손가락굽힘근 (flexor digitorum profundus, FDP) 얕은손가락굽힘근 (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FDS) 손목폄근 (wrist extensors) |
Precision Grip | 펜 잡듯이 정밀한 조작 | 엄지긴굽힘근 (flexor pollicis longus, FPL) 엄지맞섬근 (opponens pollicis) 뼈사이근 (interossei) |
Key Pinch | 열쇠 잡듯이 엄지 + 검지 측면 힘 | 엄지맞섬근 (opponens pollicis, OP) 엄지모음근 (adductor pollicis) 첫째등쪽뼈사이근 (1st dorsal interosseous) |
예상문제 하나 만들어줄게 👇
💡 예상문제
Q. 다음 중 손가락 굽힘근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FDS는 DIP와 PIP 관절 모두를 굽힌다.
- FDP는 PIP만 굽히는 기능을 가진다.
- FDP는 DIP 굽힘에 관여한다.
- FDS는 손등쪽 신전근이다.
정답: ③
👉 FDP는 distal phalanx까지 가서 DIP 굽힘에 관여함.
반응형
'🔴건강운동관리사🔴 > ✔️오답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답노트ㅣ21년 건강체력평가 11번 [표준화된 효과의 크기] (0) | 2025.04.25 |
---|---|
오답노트ㅣ22년 병태생리학 14번 [면역글로블린 암기법] (0) | 2025.04.24 |
오답노트ㅣ22년 기능해부학 19번 : [질환별 전형적인 보행 패턴] (0) | 2025.04.23 |
오답노트ㅣ22년 기능해부학 17번 [발목과 발의 신경손상] (0) | 2025.04.23 |
오답노트ㅣ22년 운동부하검사 7번 [ST분절과 관상동맥질환의 상관관계] (0) | 2025.04.23 |
오답노트ㅣ22년 운동처방론 14번 [산소섭취량->METs로 환산하기] (0) | 2025.04.22 |
오답노트ㅣ22년 건강체력평가 16번 [분산 설명력] (0) | 2025.04.22 |
오답노트ㅣ22년 운동생리학 17번 [순환계] (0) | 2025.04.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