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① 정강신경(tibial nerve)의 중간부분 손상 → 발가락뼈사이관절(interphalangeal joint)의 굽힘
- ❌ 이 설명이 틀림 → 그래서 정답!
- 정강신경은 뒤정강근(tibialis posterior), 발바닥근육군 등 **발바닥 굽힘(flexion)**에 관여
- 하지만 중간부분 손상일 경우, 말초(발가락) 굽힘이 모두 없어지는 건 아님.
특히 **발가락뼈사이관절의 굽힘(Flexion at IP joint)**은 **긴발가락굽힘근(FDL, flexor digitorum longus)**이 담당 → 정강신경 말단 부위 손상 시 영향 - ➤ 중간부분 손상으로는 IP 관절 굽힘 손상이라고 보기엔 부적절함
✅ ② 종아리신경의 깊은 가지(deep fibular nerve) → 발바닥쪽 굽힘 at 목말종아리관절(talocrural joint)
- ✅ 맞는 설명
- 깊은종아리신경(deep fibular)은 앞정강근(tibialis anterior), 긴엄지폄근(extensor hallucis longus) 등 지배
- 이들은 **발등쪽 굽힘(dorsiflexion)**을 수행
- 따라서 손상 시 발등굽힘 제한되고, 남은 근육이 발바닥쪽으로 굽히는 힘 우세 → 굽힘 변형 생김
✅ ③ 종아리신경의 얕은 가지(superficial fibular branch) → 발의 안쪽들림(inversion)
- ✅ 맞는 설명
- 얕은종아리신경은 장/단 종아리근(fibularis longus & brevis) 지배 → 발의 가쪽들림(foot eversion) 담당
- 이 신경 손상 시 → 안쪽들림(inversion) 우세
- ➤ 발이 안쪽으로 말리는 안쪽들림 변형 생김
✅ ④ 안쪽/가쪽발바닥신경(medial/lateral plantar nerve) → 발허리발가락관절(MTP joint)의 과다폄(hyperextension)
- ✅ 맞는 설명
- 이 신경들은 발바닥 내재근 지배 (벌림근, 모음근, 짧은굽힘근 등)
- 내재근이 약해지면 폄근 우세 → 발허리발가락관절(MTP joint) 과다폄(hyperextension)
- ➤ 망치발(hammer toe), 갈퀴발(claw toe) 등의 변형 유발
쓰니야 발가락 몇개야??
갈퀴발(claw toe)이 굽힘처럼 보이는데 어떻게 폄근이 우세해서 생기는 거냐 이거지?
결론부터 말하면:
👉 폄근이 과도하게 작용해서 MTP는 과다폄(hyperextension),
👉 그 결과 DIP와 PIP는 상대적으로 굽혀지며 갈퀴처럼 휘게 되는 거임.
🔍 해부학적으로 갈퀴발가락(claw toe) 구조 분석
🦶 정상 발가락 상태:
- MTP 관절: 약간 굽힘 or 중립
- PIP/DIP 관절: 신전근(폄근)과 굽힘근이 균형
🦶 갈퀴발 상태:
- MTP 관절: 🔵 과다폄(hyperextension)
- PIP 관절: 🔴 굽힘(flexion)
- DIP 관절: 🔴 굽힘(flexion)
🧠 왜 이런 일이 생기나?
1. 발바닥 내재근 약화 (lumbricals, interossei)
- 이 근육들은 원래 MTP를 굽히고, IP 관절을 펴는 기능이 있음
- 즉, 정교한 균형 조절자 역할
2. 내재근이 약화되면?
- **신전근(EHL, EDL)**이 MTP를 과다하게 폄
- 동시에 **굽힘근(FDL, FDB)**은 상대적으로 작용을 유지하면서 PIP/DIP를 굽힘
- 👉 그러니까 폄근이 MTP만 과도하게 당기고, 나머지는 굽힘근이 상대적으로 우세한 듯 작용
🔥 결국 폄근이 우세해서 생긴 변형이 맞지만, **겉모양은 '갈고리처럼 굽은 상태'**가 되는 거임!
📌 요약 문장
갈퀴발가락은 발바닥 내재근의 약화로 MTP 관절이 과다폄, PIP와 DIP는 상대적으로 굽힘되어 폄근이 우세해서 생긴 굽힘 모양의 변형이다.
🎯 정답: ①번
✔ 이유: 정강신경 중간부 손상 → IP 관절 굽힘 손상과 직접 연결되기 어렵다
✔ 나머지는 해부학적으로 신경손상 → 근육약화 → 관절 변형의 논리 흐름이 맞음
📌 한줄 요약
신경 손상은 해당 신경이 지배하던 근육의 기능 상실로 이어지고, 그 결과 반대 작용 근육이 우세해져 관절 변형이 생김.
반응형
'🔴건강운동관리사🔴 > ✔️오답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답노트ㅣ21년 스포츠심리학 13번 [광학적 흐름 반응과 자세조절 실험] (0) | 2025.04.30 |
---|---|
오답노트ㅣ21년 건강체력평가 11번 [표준화된 효과의 크기] (0) | 2025.04.25 |
오답노트ㅣ22년 병태생리학 14번 [면역글로블린 암기법] (0) | 2025.04.24 |
오답노트ㅣ22년 기능해부학 19번 : [질환별 전형적인 보행 패턴] (0) | 2025.04.23 |
오답노트ㅣ22년 기능해부학 16번 [쥐기 : Power Grip] (0) | 2025.04.23 |
오답노트ㅣ22년 운동부하검사 7번 [ST분절과 관상동맥질환의 상관관계] (0) | 2025.04.23 |
오답노트ㅣ22년 운동처방론 14번 [산소섭취량->METs로 환산하기] (0) | 2025.04.22 |
오답노트ㅣ22년 건강체력평가 16번 [분산 설명력] (0) | 2025.04.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