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운동관리사🔴/✔️오답노트

오답노트ㅣ22년 운동부하검사 7번 [ST분절과 관상동맥질환의 상관관계]

by 둔근해 2025. 4. 23.
반응형

 

📌 ST 분절 하강 관련 변수와 허혈 정도의 관계

변수허혈 정도와의 관계설명
변수 허혈 정도와의 관계 설명
🔴 ST 분절 하강의 지속 시간 (Duration) 비례 오래 지속될수록 허혈이 더 심하거나 회복이 더딘 것
🔴 ST 분절 하강의 리드 수 (Number of leads) 비례 여러 리드에서 보인다는 건 허혈 부위가 넓다는 뜻
🔴 하강의 깊이(정도, Magnitude) 비례 1mm보다 2~3mm면 허혈이 더 심하다는 의미
🔵 하강의 경사도 (Slope) 반비례 **수평(horizontal)**이나 **하향(sagging/downsloping)**일수록 더 위험, **상승경사(upsloping)**이면 허혈 가능성 ↓

🔍 각 요소를 조금 더 디테일하게 보자

🔴 1. ST 하강 지속 시간 (Duration)

  • 운동 후 회복기에 ST 하강이 3분 이상 지속되면 중증 허혈 가능성 증가
  • 지속시간 길수록 = 허혈이 오래 유지됨 = 중증도 ↑

🔴 2. 하강 리드 수 (Number of leads)

  • 1~2개의 리드에서만 보이는 것보다
  • 3개 이상 리드에서 동시 발생 = 광범위 허혈 가능성 ↑

🔴 3. 하강 깊이 (Magnitude)

  • ST 분절이 기준선에서 1mm 하강보다 2~3mm 하강일 때 허혈 중증도 ↑
  • 특히, 2mm 이상이면 민감도, 예측도 올라감

🔵 4. 하강 경사도 (Slope of ST depression)

경사도허혈 가능성
경사도 허혈 가능성
상승경사 (Upsloping) 낮음 (false positive 가능)
수평 (Horizontal) 중간 ↑
하향경사 (Downsloping) 높음 (진짜 허혈 가능성 ↑↑)
  • 따라서 경사도는 허혈 중증도와 반비례
  • 수직으로 떨어지면 위험도는 수직 상승함

✅ 최종 정리 요약

ST 하강 관련 변수허혈 중증도와 관계핵심 키워드
ST분절 하강 관련 변수 허혈 중증도와 관계 핵심 키워드
지속 시간 🔴 비례 오래 갈수록 심함
리드 수 🔴 비례 여러 부위에 허혈
하강 깊이 🔴 비례 깊을수록 심함
하강 경사도 🔵 반비례 상향 < 수평 < 하향

🧠 기억법 한 줄 요약

"길고, 넓고, 깊을수록 심하고 / 아래로 떨어질수록 더 위험하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