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 이 문제는 해부학 어플 한번만 보고 시작하세요. 진짜 별거 없었떤 문제임
✅ 문제 해석
가로돌기(transverse process)와 연결되지 않는 근육을 고르라는 문제야.
🔍 각 보기에 대한 연결 해설
① 머리널판근 (splenius capitis) ❌
- 기시(origin): 목덜미인대(ligamentum nuchae), C7~T3 극돌기
- 정지(insertion): 측두골의 유양돌기(mastoid process), 상항선
- ❌ 가로돌기와는 직접적 연결 없음
- 👉 정답
② 머리반가시근 (semispinalis capitis) ✅
- 기시: C4~T6의 가로돌기(transverse process)
- 정지: 뒤통수뼈(occipital bone)
- ✅ 가로돌기에서 시작하는 근육
③ 돌림근 (rotatores) ✅
- 기시: 척추의 가로돌기
- 정지: 바로 위나 2개 위의 극돌기
- ✅ 가로돌기에서 시작
④ 못갈래근 (multifidus) ✅
- 기시: 가로돌기 및 천골뒷면 등
- 정지: 상위 극돌기
- ✅ 대표적인 가로돌기 기시 근육
✅ 정답: ① 머리널판근 (splenius capitis)
🧠 한 줄 요약
가로돌기와 연결되지 않는 근육은 splenius capitis.
이 근육은 극돌기(origin) 에서 시작하여 머리뼈 후면(mastoid) 로 가기 때문에,
transverse process와 직접적 연결이 없다.
🔮 예상문제
다음 중 가로돌기에서 시작하거나 가로돌기와 연결되는 근육이 아닌 것은?
① semispinalis capitis
② multifidus
③ longissimus thoracis
④ splenius cervicis
✅ 정답: ④ splenius cervicis
→ 이것도 극돌기에서 시작함
✅ 보기 분석
① ❌
“큰돌기(대전자)가 대퇴골두보다 전방에 위치하며 두 지점을 연결한 선의 각도가 평균 15°를 유지하면 정상이다”
📌 틀린 이유:
- 실제로는 대전자(greater trochanter) 는
대퇴골두보다 약간 후방에 위치해야 정상임 - 그래서 **"전방에 위치한다"**는 설명은 ❌ 오류임
② ❌
“과도한 벌굽이엉덩관절(coxa valga)은 대퇴경부 골절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 틀린 이유:
- Coxa valga(밖굽이 엉덩관절) 은 경사각 > 135°
- 이 경우는 대퇴경부가 수직에 가까워져 압축력은 증가하지만,
전단력(shear force) 은 줄어듦 → 골절 위험은 coxa vara(안굽이) 에서 더 큼 - 따라서 coxa valga가 골절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설명은 틀림
③ ✅
“앞굽음(anteversion)일 경우 관절의 일치성을 개선하기 위해 엉덩관절은 안쪽돌림 상태에 위치하게 된다”
📌 맞는 설명:
- 앞굽음(anteversion): 대퇴경부가 비정상적으로 앞쪽을 향한 구조
- 이럴 경우, 대퇴골두가 비틀린 상태이므로
→ 관절 일치성을 맞추기 위해 내회전(internal rotation) 이 필요함 - 즉, 정렬 보정을 위해 안쪽돌림이 유도되는 상태는 정상적인 보상기전 (in-toeing)
✅ 정답
④ ❌
“안굽이엉덩관절(coxa vara)은 경사각이 크며, 벌굽이는 경사각이 작다”
📌 틀린 이유:
- coxa vara (안굽이) = 경사각 작아짐 (보통 < 120°)
- coxa valga (벌굽이) = 경사각 커짐 (보통 > 135°)
- 설명이 정반대임
쉽게 외우는 방법은
✅ 정답: ③번
🧠 개념 요약
용어 | 설명 | 경사각 |
Anteversion (앞굽음) | 대퇴경부가 앞쪽으로 돌아간 상태 | 전경각 ↑ |
Coxa vara (안굽이) | 대퇴경부가 수평에 가까움 | < 120° |
Coxa valga (벌굽이) | 대퇴경부가 수직에 가까움 | > 135° |
[기능해부학] coxa vara / valga 와 genu varum / valgum 안 헷갈리게 외우는 방법
으 콕사바라 콕사발가 제뉴발검 제뉴바럼 외우면 뭐하노또 까묵는데용어부터 다시 정리하고 안까묵게 외워보쟈잇1. 용어 구조 먼저 이해하기용어부위접두어 뜻형태 해석coxa=엉덩관절 (hip)대퇴
corebox21.tistory.com
저만의 쓸데없는 암기팁입니다.
🔮 예상문제
다음 중 coxa vara 상태에서 흔히 발생할 수 있는 기능적 문제는?
① 대퇴경부 골절 위험 증가
② 대퇴골의 내회전
③ 대퇴경부 압축력 증가
④ 고관절 탈구 위험 증가
✅ 정답: ①
→ coxa vara 는 골절 위험↑, 특히 노인에서 경부골절과 관련 있음
✅ 정답 해설
① 긴모음근(adductor longus) — 폐쇄신경(obturator nerve) ✅
- 정확한 연결!
- 긴모음근은 모음근(adductor group) 중 하나로
→ 폐쇄신경이 이 그룹 대부분을 지배함
✅ 정답
② 짧은종아리근(peroneus brevis) — 심비골신경 ❌
- ❌ 틀림
- 짧은종아리근(peroneus brevis) 은 바깥쪽(외측) 근육
- 이 부위는 표재비골신경(superficial peroneal nerve) 이 지배함
→ 보기에 나와 있는 깊은비골신경(deep peroneal nerve) 은 앞쪽 근육 지배
③ 셋째종아리근(peroneus tertius) — 얕은종아리신경 ❌
- ❌ 틀림
- 셋째종아리근은 앞쪽 근육군으로 분류됨
→ 깊은비골신경(deep peroneal nerve) 지배를 받음
→ 보기에 있는 표재비골신경(superficial) 은 짧은종아리근/긴종아리근 지배
④ 앞정강근(tibialis anterior) — 정강신경(tibial nerve) ❌
- ❌ 틀림
- 앞정강근은 앞쪽 근육, 발등굽힘(dorsiflexion) 작용
→ 깊은비골신경(deep peroneal nerve) 이 지배함
→ 정강신경(tibial nerve) 은 뒤쪽 근육군(장딴지근, 가자미근 등) 지배
🧠 정리표: 하지 근육 & 신경지배
근육 그룹 | 대표 근육 | 지배 신경 |
모음근군(내측) | 긴모음근, 대모음근 | 폐쇄신경(obturator nerve) |
앞쪽 근육군 | 앞정강근, 셋째종아리근 | 깊은비골신경(deep peroneal) |
가쪽 근육군 | 짧은/긴종아리근 | 표재비골신경(superficial peroneal) |
뒤쪽 근육군 | 장딴지근, 가자미근 | 정강신경(tibial nerve) |

🔖 한 줄 요약
긴모음근(adductor longus)은 폐쇄신경(obturator nerve) 지배를 받으며,
나머지 보기는 모두 신경-근육 매칭 오류임.
🔮 예상문제
다음 중 깊은비골신경(deep peroneal nerve)이 지배하는 근육은?
① 장딴지근
② 셋째종아리근
③ 짧은종아리근
④ 긴종아리근
✅ 정답: ② 셋째종아리근
✅ 정답: ④ 봉우리빗장관절(acromioclavicular joint)의 안정성과는 무관함
📌 왜 틀렸는가?
- 부리봉우리어깨인대는 부리돌기(coracoid process)와 봉우리(acromion) 를 잇는 인대
- 즉, 같은 뼈(견갑골) 안에서 연결되는 구조야 (자체 내 고리)
🔴 이 인대는 쇄골(clavicle)과는 연결되지 않음
→ 따라서 봉우리빗장관절(AC joint) 과 구조적 직접 연관이 없음
→ AC 관절 안정성은 주로 아래 2개의 인대가 담당함:
- 부리빗장인대(coracoclavicular ligament) → 핵심!
- 봉우리빗장인대(acromioclavicular ligament)
✅ 보기별 해설
① 위팔뼈머리 상승 변위를 막는다 ✅
- coracoacromial ligament는 coracoacromial arch를 구성함
→ 그 아치 아래에 상완골두(humeral head) 가 위치 - 따라서 위팔뼈가 위로 밀릴 때,
**이 인대 구조가 "천장 역할"**을 하며 상승을 물리적으로 막아줌
② 장력띠(tension band) 역할 ✅
- 근육(특히 대흉근 등)이 부리돌기 부위에 당기는 장력을
acromion으로 분산시켜 주는 역할을 함 - 실제로 coracoid가 부러지는 부상 예방과 관련 있음
③ 오목위팔관절의 기능적 지붕 구조 ✅
- coracoacromial arch = coracoid + acromion + coracoacromial ligament
- 이 구조는 오목위팔관절(glenohumeral joint) 위에 기계적 지붕을 만들어
상완골두의 과상승, 충돌 증후군 등 예방에 도움 줌
🧠 한 줄 요약
부리봉우리어깨인대는 견갑골 내 구조끼리 연결되며,
AC 관절 안정성과는 관련이 없다.
🔮 예상문제
Q. 다음 중 봉우리빗장관절의 안정성을 직접적으로 담당하는 인대는?
① coracoacromial ligament
② coracoclavicular ligament
③ coracohumeral ligament
④ glenohumeral ligament
✅ 정답: ② coracoclavicular ligament
대략 이런 모양임. 오른 다리 기준.
정답은 4번!
넙다리사각(femoral triangle) 은 단순한 해부학적 구조 이상으로,
임상, 기능해부학, 응급처치, 수술, 재활 등에서 아주 중요한 의미를 가진 공간이야.
이제 왜 넙다리삼각이 중요한가? 를 5가지 이유로 정리해줄게.
✅ 1. 동맥, 정맥, 신경이 모두 지나는 핵심 통로
구조물 | 위치 순서(가쪽에서 안쪽으로) | 암기법 |
Femoral Nerve | 가장 lateral (가쪽) | NAVeL |
Femoral Artery | 가운데 위치 | NAVeL |
Femoral Vein | 안쪽 | NAVeL |
Empty space (canal) | 탈장 공간 | NAVeL |
Lymphatics | 가장 medial | NAVeL |
📌 NAVeL 순서는 해부학자들도 외우는 정석 구조야
→ 응급 상황에서 대퇴동맥 맥박 확인, 정맥 채혈, 신경차단, 모두 여기가 포인트
✅ 2. 응급 출혈 차단 지점
- 대퇴동맥(femoral artery) 는 넙다리삼각에서 피부 바로 아래에 위치
→ 대량 출혈 시, 손가락 압박으로 동맥 흐름을 차단하는 임상적 압박점
✅ 3. 대퇴동맥 접근을 통한 수술·시술 루트
- 심장카테터, 혈관조영술, 스텐트 시술 등에서
넙다리동맥을 통해 관을 삽입 → 전신 주요 혈관으로 접근 가능
👉 실제로 “대퇴동맥 루트 삽입”이라는 말은 다 이 공간을 의미함
✅ 4. 대퇴탈장(femoral hernia) 발생 부위
- 넙다리정맥 안쪽에 있는 공간이 femoral canal
- 이 틈으로 장이 빠져나오면 = 대퇴탈장
→ 특히 여성에게서 더 흔함, 탈장이 작아도 감돈 위험 높음
✅ 5. 근육/건 구조물의 위치 기준
- 샅고랑인대(inguinal ligament), 봉공근(sartorius), 두덩근(pectineus) 등
→ 이 삼각형이 넙다리 앞부위 해부학의 기준점
🔖 요약: 넙다리사각의 임상적 의미 5가지
의미 | 설명 |
✅ 1. 해부학적 기준 | NAVeL 구조 정렬 위치 |
✅ 2. 응급처치 | 대퇴동맥 압박으로 지혈 |
✅ 3. 시술 접근 | 카테터 삽입 루트 |
✅ 4. 탈장 발생 | 대퇴탈장 지점 |
✅ 5. 해부 기준점 | 하지 앞쪽 구조물 분류 기준 |
🧠 기억 꿀팁
“넙다리삼각은 NAVeL을 품고, 피를 멈추고, 탈장을 보내고, 시술을 시작한다.”
해부학적으로 보았을 때 또다른 중요한 구역이란게 더 있을까?!
어깨사각공간은 기출에 나온 적이 있었다. 몇개 정리 해보자
🟦 1. 어깨 사각(shoulder triangle) = ❗ 정확한 용어는 ‘사각공간(quadrangular space)’
구성 구조물 |
위쪽: 소원형근(teres minor) |
아래쪽: 대원형근(teres major) |
안쪽: 위팔세갈래근 긴갈래(long head of triceps brachii) |
가쪽: 위팔뼈(surgical neck of humerus) |

대충 그림으로 묘사하면 일케됨

📌 통과 구조물:
- 겨드랑신경(axillary nerve)
- 뒤위팔휘돌이동맥(post. circumflex humeral a.)
🟨 2. 사다리근틈새(scalene triangle or interscalene triangle)
앞사다리근(anterior scalene) |
중간사다리근(middle scalene) |
첫째갈비뼈(first rib) |
📌 통과 구조물:
- 팔신경얼기(brachial plexus)
- 빗장하동맥(subclavian artery)
🔺 압박시 → 흉곽출구증후군(TOS)의 원인
사각근 틈새. gpt 번역이 사다리라고 나오는 이유는 잘 모르겠다. 구글도 사다리라고 나오는데 scalene은 부등변(세 변의 길이가 모두 다) 삼각형이라고 나옴... 사각근도 웃기네... 사각근=목갈비근.. 한자로 사각근은 기울어진 각을 가진 근육이라고 해서 사각근이다. 사각이라는 말은 사각형이랑 무관하고, 삼각형이랑도 무관함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죽일까 진짜
아무튼 사각근 증후군이나 TOS, 목갈비근 삼각의 구조를 묻는 문제가 나온다면, 앞, 중 사각근과 1번째 갈비뼈를 기억해준다. 거기엔 팔 신경얼기와 빗장하동맥이 지나가서 거기기 짓눌리면 TOS 증후군이 발생됨.
흉곽탈출증후군이라는 이름도 나는 처음 들었을 때 웃겼었음 ㅡㅡ
🟥 3. 오금 오목(popliteal fossa)
위안쪽: 반막모양근(semimembranosus) |
위가쪽: 두갈래근(biceps femoris) |
아래양쪽: 장딴지근(gastrocnemius) 양쪽 갈래 |
📌 통과 구조물:
- 슬와동맥(popliteal artery)
- 슬와정맥(popliteal vein)
- 정강신경(tibial nerve)
마 대충 묘사하면 이렇구요
해부학 어플은 이렇습니다
🟩 4. 넙다리근막관(femoral canal + femoral sheath)
- 넙다리삼각 안쪽에 위치
- 이 공간이 탈장(hernia) 가 일어나는 주요 포인트
📌 통과 구조물:- 넙다리동맥
- 넙다리정맥
- 림프관 등
🧠 시험/임상용 핵심 공간 요약
공간 이름 | 위치 | 중요 통과 구조 |
넙다리삼각 | 서혜부 | femoral VAN (정맥-동맥-신경) |
사각공간 | 어깨 | axillary n. + post. humeral a. |
사각근틈새 | 목 | brachial plexus + subclavian a. |
오금오목 | 무릎 뒤 | popliteal a/v, tibial n. |
넙다리근막관 | 넙다리 깊숙이 | 림프 + 탈장통로 |
🔖 외우는 법: 공간 기억법
🔮 예상문제
Q. 겨드랑신경이 통과하는 해부학적 공간은?
① 팔오금오목
② 사다리근틈새
③ 어깨사각공간
④ 넙다리삼각
✅ 정답: ③ 어깨사각공간 (quadrangular space)
✅ 문제 핵심 정리
다음 두 가지 증상이 있는 하지의 관절 상태에서
엉덩관절과 발 관절의 움직임을 바르게 고르라는 문제.
📌 제시된 상태:
- 트렌델렌버그 사인(Trendelenburg sign)
→ 엉덩관절 벌림근 약화 (중둔근, 소둔근)
→ 지지측 골반이 모음(adduction) 상태가 됨 - 외반슬(genu valgum)
→ 무릎이 안으로 붙는 X자형 다리
→ 발목은 자동적으로 가쪽번짐(외번, eversion) 으로 보상됨
✅ 이 두 증상을 기반으로 유도된 관절 상태
관절 | 상태 | 해석 |
엉덩관절 | 모음(adduction) | 벌림근 약화로 골반이 한쪽으로 떨어짐 |
목말밑관절 | 가쪽번짐(eversion) | 외반슬 보상으로 족궁이 무너지고 회내됨 |
✅ 보기 분석
번호 | 엉덩관절 | 목말밑관절 | 적절성 |
① | 벌림(abduction) | 가쪽번짐(eversion) | ❌ 엉덩관절 반대 |
② | 모음(adduction) | 가쪽번짐(eversion) | ✅ 정답! |
③ | 모음(adduction) | 안쪽번짐(inversion) | ❌ 발관절 반대 |
④ | 벌림(abduction) | 안쪽번짐(inversion) | ❌ 둘 다 반대 |
✅ 정답: ②번
🔖 핵심 요약
증상 | 결과 정렬 | 관절 움직임 변화 |
트렌델렌버그 사인 | 골반 떨어짐 | 지지측 모음(adduction) |
외반슬(genu valgum) | 발목 회내 | 가쪽번짐(eversion) |
🔮 예상문제
Q. 트렌델렌버그 사인을 보이는 보행 시, 환측의 엉덩관절 움직임은?
① 벌림(abduction)
② 모음(adduction)
✅ 정답: ② 모음
✅ 정답: ③ 선 자세에서 위앞엉덩뼈가시(ASIS)에서 발목관절의 안쪽복사뼈까지 측정한다 ❌
📌 왜 틀렸는가?
이 설명은 실제적 다리길이(True leg length) 를 검사할 때의 기준이지,
기능적 다리길이(functional leg length) 검사 기준이 아님!
🔍 개념 정리: True vs Functional leg length
구분 | 검사 목적 | 기준점 | 원인 |
True leg length | 실제 해부학적 길이 비교 | ASIS ~ 안쪽복사뼈 | 선천적 기형, 골절, 성장판 문제 등 |
Functional leg length | 체형, 자세 이상으로 생긴 상대적 다리 길이 차이 | 배꼽 ~ 안쪽복사뼈 | 골반 비틀림, 체간 회전 등 |
✅ 보기 분석
① 기능적 다리길이는 자세문제 때문에 생긴 차이를 본다 → ⭕
- 맞는 설명.
- 해부학적 길이는 같아도, 골반의 회전, 경사 등으로 인해 상대적인 다리길이 차이가 생길 수 있음
② 기능적 검사 전 실제 다리길이를 먼저 본다 → ⭕
- 정확한 순서!
- 먼저 true leg length를 확인해서 실제 해부학적 이상이 있는지 보고,
그 후 기능적 차이를 추가로 검사함
③ ❌ 틀린 이유는 위에서 설명했듯,
- ASIS → 안쪽복사뼈는 True leg length 측정 방식임
- Functional leg length 에선 배꼽(navel) 을 기준으로 봐야 함
④ 눕힌 자세에서 배꼽 ~ 안쪽복사뼈 측정 → ⭕
- 맞는 설명.
- 기능적 길이 차이는 눕혀서 체중 영향 제거 후, 배꼽을 기준으로 측정함
🧠 한 줄 요약
True leg length → ASIS 기준
Functional leg length → 배꼽 기준
🔮 예상문제
Q. 오른쪽 골반의 후방경사가 있는 경우, 기능적 다리길이 검사에서 어떤 결과가 나올 수 있는가?
① 오른쪽 다리가 더 길게 보인다
② 오른쪽 다리가 더 짧게 보인다
③ 양쪽 다리가 같게 보인다
④ 체중에 따라 결과가 바뀐다
✅ 정답: ②
→ 골반이 뒤로 기울면 다리가 상대적으로 짧게 측정됨
✅ 보기 해설
① 마름인대(trapezoid ligament) ⭕
- 부리돌기(coracoid process) ↔ 쇄골(clavicle) 연결
- 부리-쇄골 인대(coracoclavicular ligament) 의 한 부분
- 🔹 팔이음뼈(견갑골 일부) ↔ 빗장뼈 연결
✅ 관련 있음
② 봉우리빗장인대(acromioclavicular ligament) ⭕
- 봉우리(acromion) ↔ 쇄골(clavicle) 직접 연결
- AC 관절 안정화에 핵심 역할
✅ 당연히 관련 있음
③ 원뿔인대(conoid ligament) ⭕
- 이것도 부리-쇄골 인대(coracoclavicular ligament) 의 또 다른 구성 요소
- 부리돌기 ↔ 쇄골 연결
✅ 관련 있음
④ 부리위팔인대(coracohumeral ligament) ❌
- 부리돌기 ↔ 상완골두(humeral head) 연결
- 즉, 팔뼈(상완골) 와 견갑골 간의 안정성 제공
❌ 빗장뼈(clavicle)와는 연결되지 않음
✅ 정답
🧠 한 줄 요약
부리위팔인대(coracohumeral ligament) 는 상완골과 견갑골을 연결하는 인대이고,
빗장뼈(clavicle)와는 아무런 직접적 연결이 없다.
🔖 구조별 연결 요약
인대 | 연결 구조물 | 연결 유형 |
마름인대 | 부리돌기 ↔ 쇄골 | 간접 연결 (coracoclavicular) |
봉우리빗장인대 | 봉우리 ↔ 쇄골 | 직접 연결 (AC 관절) |
원뿔인대 | 부리돌기 ↔ 쇄골 | 간접 연결 (coracoclavicular) |
부리위팔인대 | 부리돌기 ↔ 상완골 | ❌ 빗장뼈와는 무관 |
🔮 예상문제
Q. 다음 중 coracoclavicular ligament에 포함되는 인대는?
① coracohumeral ligament
② acromioclavicular ligament
③ trapezoid ligament
④ glenohumeral ligament
✅ 정답: ③ trapezoid ligament
✅ 보기 해설
📌 문제 지문 핵심 요약:
- 근건 단위에 둘러싸여 있고
- 기계적 이점(mechanical advantage) 을 제공하며
- 보호기능도 담당
- 예시: 슬개골(patella)
👉 이건 딱! 중자뼈(sesamoid bone) 의 특징
🔍 보기 분석
보기 | 해설 | 적절성 |
① 납작뼈 (편평골, flat bones) | 갈비뼈, 견갑골, 두개골 등 — 주로 보호 목적 / 근건 단위에 둘러싸이지 않음 | ❌ |
② 중자뼈 (sesamoid bones) | 슬개골이 대표적, 힘줄 안에 포함되어 기계적 이점 제공 | ✅ |
③ 긴뼈 (long bones) | 대퇴골, 상완골 등. 지렛대 작용은 하지만, 근건 안에 포함되지 않음 | ❌ |
④ 짧은뼈 (short bones) | 수근골, 족근골 등. 주로 구조적 안정성 담당 | ❌ |
✅ 정답: ② 중자뼈(sesamoid bone)
🧠 중자뼈의 특징 정리
특징 | 설명 |
위치 | 힘줄 안에 포함됨 (intratendinous) |
기능 ① | 기계적 이점 증가 → 회전력 증가 |
기능 ② | 힘줄 보호, 마찰 감소 |
대표 예시 | 슬개골(patella), 엄지발가락 밑 sesamoid |
🔖 한 줄 요약
중자뼈는 힘줄 안에 존재하며, 기계적 이점과 보호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뼈이다.
대표적으로 슬개골(patella) 이 있다.
🔮 예상문제
Q. 다음 중 종자뼈의 기능이 아닌 것은?
① 회전력 증가
② 관절의 충격 흡수
③ 마찰 감소
④ 인대 부착면 증가
✅ 정답: ④ 인대 부착면 증가
→ 힘줄 관련 구조이지, 인대는 직접 관련 없음
✅ 문제 핵심 요약
어깨복합체(shoulder complex)의 각 관절 중
180° 어깨벌림(외전, abduction) 에서
가장 큰 ROM을 가지는 관절은?
✅ 정답: ③ 오목위팔관절(glenohumeral joint)
- 전체 어깨 외전 180° 중 약 120° 가
바로 이 glenohumeral joint에서 일어남 - 나머지 60°는 견갑골의 상회전(scapular upward rotation) 에 의한 것
👉 이걸 우리는 견갑-상완 리듬(scapulohumeral rhythm) 이라고 불러
🔍 보기별 해설
보기 | 해설 | 적절성 |
① 어깨가슴관절 (견갑흉부관절, scapulothoracic) | 진짜 관절은 아니지만, 견갑골 상회전에 기여함 (약 60°) | ❌ |
② 봉우리빗장관절 (AC joint) | 견갑골 상회전 조절에 관여하지만, 운동량은 매우 작음 | ❌ |
③ 오목위팔관절 (GH joint) | 외전 180° 중 120°를 담당하는 핵심 관절 | ✅ |
④ 복장빗장관절 (SC joint) | 견갑골의 움직임을 허용하는 관절이나, ROM 작음 | ❌ |
✅ 견갑-상완 리듬 공식
어깨 외전 180° =
👉 상완골(GH joint) 120° + 견갑골 상방회전(scapular rotation) 60°
👉 = 대략 2:1 비율
🧠 한 줄 요약
오목위팔관절(GH joint) 은 어깨벌림 시 가장 큰 관절 가동범위(ROM) 를 제공하며,
전체 180° 중 약 120° 를 담당한다.
🔮 예상문제
어깨 외전 시 견갑골의 상회전은 전체 가동범위 중 몇 도에 해당하는가?
① 120°
② 90°
③ 60°
④ 45°
✅ 정답: ③ 60
📢ai와 함께 작성하고, 주관적인 견해와 가미된 해설인 부분도 있습니다.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해보는 것은 AI가 추론한 것이고, 교재의 문장 재해석은 공식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운동생리학, 스포츠의학 최신판 교재를 활용, 구글 서칭을 이용한 검토와 풀이 입니다.
💌 오류사항, 누가봐도 잘못된 내용, 지적 받습니다. 댓글 남겨주세요.
💕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버튼 클릭 부탁드립니다.
🍑by. 이하나의 둔근해가 떴습니다.
'🔴건강운동관리사🔴 > 💯19년도 기출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 건강운동관리사 기능해부학 1-10번 기출문제 풀이 및 개념정리 (2) | 2025.05.18 |
---|---|
2019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11-20번 기출문제 풀이 및 개념정리 (0) | 2025.05.15 |
2019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1-10번 기출문제 풀이 및 개념정리 (2) | 2025.05.15 |
2019 건강운동관리사 스포츠심리학 11-20번 기출문제 풀이 및 개념정리 (2) | 2025.05.13 |
2019 건강운동관리사 스포츠심리학 1-10번 기출문제 풀이 및 개념정리 (2) | 2025.05.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