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 콕사바라 콕사발가 제뉴발검 제뉴바럼 외우면 뭐하노
또 까묵는데
용어부터 다시 정리하고 안까묵게 외워보쟈잇
1. 용어 구조 먼저 이해하기
용어 | 부위 | 접두어 뜻 | 형태 해석 |
coxa | =엉덩관절 (hip) | 대퇴골경부-몸통각 기준 | "엉덩이 쪽" |
genu | =무릎 (knee) | 무릎 안팎 벌어짐 기준 | "무릎" |
그리고 왜 똑같은 안굽이( "varum vs. vara" ), 밖굽이( "valgum vs. valga")인데 왜 영어로 다르게 쓰냐? 그리고 왜 고관절에선 vara, valga를 쓰고, 왜 무릎에선 varum, valgum을 따로 쓰는가?
궁금해본적ㅇ 있음? 왜 어미가 다르노?
✅ 핵심 결론 먼저
어미 | 쓰는 위치 | 문법적 이유 |
-um | 명사(genu, 무릎)와 함께 | 중성 형태 (genu는 중성명사) |
-a | 명사(coxa, 엉덩이)와 함께 | 여성형 형용사 (coxa는 여성명사) |
🔍 라틴어 문법적 원리
📌 라틴어는 명사 성별(gender) 과 형용사 일치법이 있어
- genu (무릎) = 중성 명사
- coxa (엉덩이, 고관절) = 여성 명사
→ 그래서 형용사도 그에 맞게 굴절(conjugation) 돼야 함.
예시 정리
구조 | 원형 뜻 | 성/형태 | 설제 표시 |
genu varum | varus = inward bent | 중성형 형용사 | 무릎 안굽이 |
coxa vara | varus = inward bent | 여성형 형용사 | 엉덩이 안굽이 |
genu valgum | valgus = outward bent | 중성형 형용사 | 무릎 밖굽이 |
coxa valga | valgus = outward bent | 여성형 형용사 | 엉덩이 밖굽이 |
🧠 이해 쉽게 비유하면
라틴어는 말하자면 **“형용사도 주어 따라 옷 입혀주는 언어”**야.
무릎(genu)은 중성이니까 “-um”
엉덩이(coxa)는 여성이니까 “-a”
👀 그래서 똑같이 "안으로 굽은 상태"여도
- genu varum
- coxa vara
이렇게 표기하는 거야.
🔖 시험용 한줄 요약
“단어 뒤 어미(-um vs. -a)는 의미 차이가 아니라 ‘무릎인지 엉덩이인지’에 따른 문법적 성일치일 뿐이다.”
와~~~~~~~ 정말 유익하다!!!!!!
한글이랑 아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무 관련없는 내용임 ㅎㅎ 근데 대충 이해하고 나면 '아~ 서로 다르게 쓰는 이유가 라틴어 기원이라 그렇구나' 이정도만 이해하고 넘어갈 수 있음.
오케이. 여기까지면 충분히 암기 할 수 이씅ㅁ
그렇다면 고관절부터 해결해보자
인터넷에 가장 많이 떠도는 암기법 중에, 고관절은 정확하게 명시되어져있다.
껌=Gum=무릎 안이 껌 때문에 붙어 X 다리 = Genu valgum
럼=Rum(럼주=술병)=무릎 안에 병을 끼워넣었더니 무릎이 안이 안붙어요=Genu varum
무릎=genu 이고, 껌x다리, 럼o다리까진 알겠다 이거야, 그런데 고관절에선 오토케하냐?
같이 묶어서 외움
무릎 경우는 valgus force 밖굽이 외력 때문에 같은 밖굽이 무릎이 발생한다고 외우면 되지만,
고관절은 이름이 반대다.
그래서 외우는 방법은 실제 있는 보상패턴으로 외우는 방법이다.
✅ 실제 자주 나타나는 "변형 세트 조합"
엉덩관절 | 무릎 | 설명 |
Coxa vara (안굽이 엉덩관절) | Genu valgum (밖굽이/X자 무릎) | 가장 흔한 보상 패턴 |
Coxa valga (벌굽이 엉덩관절) | Genu varum (안굽이/O자 무릎) | 비교적 드물지만 존재 |
📌 4가지 정리
이름 | 해석 | 구조적 특징 | 임상적 결과 | 키워드 |
Coxa vara | 대퇴경부가 내측으로 굽음 | 경사각↓ (<120°) | 대퇴경부 골절 위험↑ / 하지 단축 | 안굽이 엉덩관절 |
Coxa valga | 대퇴경부가 외측으로 벌어짐 | 경사각↑ (>135°) | 탈구 위험↑ / 보행 시 불안정성 | 굽이 엉덩관절 |
Genu varum | 무릎이 바깥으로 휘어짐 | 다리 O자형 | 내측 관절 연골 압력↑ | 안굽이 무릎 |
Genu valgum | 무릎이 안쪽으로 붙음 | 다리 X자형 | 외측 구조 스트레스↑ | 밖굽이 무릎 |
그냥 단순 암기를 원한다면 이런식으로 외우면 된다.
같은 색은 쎄트라고 생각하면 됨.
그래서 이걸 외우는 방법은 스토리를 주어서 외우는 것임.

Coxa vara - Genu Valgum
Coxa valga - Genu varum
이건 나를 빗댈거다. 나는 골좁이니까 ㅋㅋ
Q각이 작고, 좁은 골반을 가(ga)진 하나짱은 키가 커보인다. (보통 마르고 키가 큰 여자들은 골반이 좁은 경우가 있음 보닌 뇌피셜임 여성호르몬 부족 ㅂㄷㅂㄷ) 키가 커보이는건 대퇴목이 위로 뻗어서 그렇다=수직과 비슷하다=각도가 크다=그로 인해 고관절 탈구확률이 높다, 그런 하나짱은 o다리 끼가 있어서 가끔 무릎 안쪽이 아플 때가 있다. 무릎 사이에 술병이 들어간적이 있었다. 이 이야기는 varus force를 만들어내어 genu varum을 만들어냈고, 나는 coxa valga 를 가(ga)지고 있다.
개 씹 잡소린데 우선 이런식으로 기억하면 안까먹음
아니면 말고~~~~~~~~~~~~~~~~~
'🔴건강운동관리사🔴 > 🦴기능해부학, 운동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능해부학] 보행과 달리기 비교 설명 (0) | 2025.04.21 |
---|---|
[운동역학] 중딩수준의 기본 물리 공식 정리 (feat.건운사 역학문제) (1) | 2025.04.14 |
[기능해부학★★★★★] 관절의 형태 종류와 설명, 예시, 암기팁 (0) | 2025.04.13 |
[기능해부학] 둔근 섬유 방향별 기능 (대둔근 위/아래섬유, 중둔근 앞/뒤섬유) (1) | 2025.04.13 |
[기능해부학★★★★★] 상지 하지 신경근 수준별 근육 기능, 반사, 테스트, 손상 암기 (1) | 2025.04.05 |
[기능해부학★★★★★] 신경별 지배 근육 암기 꿀팁 (0) | 2025.04.05 |
[기능해부학] 근육 층 총정리 (발바닥, 손바닥, 척추기립근 등 7가지) (0) | 2025.03.15 |
내전근군 근육과 내측연골과의 상관관계와 운동 (0) | 2025.01.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