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성마비(Cerebral Palsy, CP) 환자의 **신경근 피로(fatigue)**는 일반적인 피로 개념과 좀 달라.
이 내용을 중추신경계 손상, 감각-운동 피드백 회로, 운동유닛 동원 방식, 경직(spasticity) 등 생리학적으로 추론해서 정리해볼게.
⚫ 먼저 용어 정리부터:
✅ '신경근 피로(Neuromuscular Fatigue)'란?
- 근육이 수축을 계속하면서 점점 힘이 떨어지고, 신경계로부터의 명령도 흐려지는 상태를 말함.
- 즉, 신경계 ↔ 근육 간 피드백 순환 회로가 소진되는 것.
🔴 1. 왜 CP 환자, 특히 엘리트 선수는 피로를 덜 '느끼는 것처럼 보일까?'
✅ 이유 1: 감각 피드백 기능의 이상(Sensory feedback impairment)
- CP 환자는 고유감각(Proprioception), 피로감 인지 관련 감각 경로가 둔하거나 손상돼 있음.
→ 즉, 신체가 피로해도 ‘뇌가 그것을 잘 감지하지 못하는’ 상태인 거지.
✅ 실제로,
- 일반인은 피로가 쌓이면 움직임을 줄이려는 억제 반응이 나오지만,
- CP 환자는 그 신호가 약해서 계속 움직일 수 있음 → 그래서 "피로하지 않다"는 해석이 나옴.
✅ 이유 2: 경직성(spasticity)으로 인한 ‘지속적 수축 상태’
- CP 환자 중 **경직형(spastic type)**은 근육이 계속 수축하려는 성향이 있어서,
→ 근육을 '힘 빼고 쉬는 상태'로 만들기가 어려움
→ 그래서 일부 근육은 무의식적으로 강해 보이기도 함 (isometric-like adaptation)
✅ 이런 상태에선,
- 피로 → 수축 감소가 아니라,
- 피로 → 수축 유지 or 비정상적 반응 유지로 이어짐.
→ 즉, 피로가 기능 감소로 바로 드러나지 않음.
✅ 이유 3: 운동단위(motor unit)의 비정상적 동원 → 피로 누적이 덜 체감됨
- CP 환자의 뇌는 근육을 쓸 때 작은 단위 → 큰 단위 순서대로 동원하지 않음.
→ 즉, 불규칙하게 근육을 쓰므로 오히려 피로가 일괄적으로 쌓이는 게 아니라 분산되어 누적됨. - 그래서 한 부위가 피곤해도 다른 부위가 보완하는 패턴이 발달함
→ 이건 특히 엘리트 선수 수준의 반복 훈련을 한 경우, 뇌가 더욱 ‘대체 패턴’을 형성해서 가능함.
✅ 이유 4: 엘리트 선수의 반복학습과 뇌의 보상전략
- CP 선수들은 일반 CP 환자보다 **높은 수준의 기능 재조직(신경가소성)**을 경험함.
- 운동 중에도 **운동의 효율성, 자세 안정성, 대체경로(re-routing)**를 스스로 익히기 때문에
→ 일반적인 피로 유발 패턴이 감소함.
🟢 2. 왜 뇌성마비 환자 중 일부는 '힘이 세다'고 느껴지는가?
이건 대부분 **‘절대적인 힘’이 아니라 ‘수축 강도 or 경직’이 강하게 느껴지는 것’**임.
그 이유는:
① **항상 근육이 긴장된 상태(tonic activity)**에 있으므로
→ 촉진 시 근육이 잘 단단해보이고, 저항이 강하게 느껴짐.
② 신장성 반응이 과장되어 근육이 늘어날 때 반사적으로 세게 버티기 때문
→ 이는 실제 근력이 강한 게 아니라 **반사성 근긴장(spastic reflex tension)**이 높아서 그렇게 보이는 것.
③ 수동검사 시 힘 조절이 안 되어 ‘불필요하게 강한 저항’을 주는 경우
→ 특히 기능이 나쁘지 않은 CP 환자에서는 진짜 ‘강해보이는’ 경우도 있음.
→ 그러나 정확히 분리된 근육 수축력(controlled voluntary strength)은 떨어지는 경우가 많음.
✅ 결론 요약 공식
CP 환자, 특히 엘리트 선수는 감각 피드백 이상, 비정상적 운동단위 동원, 신경가소성 보상 전략 덕분에 일반적인 ‘신경근 피로’를 체감하지 않거나, 외부에서 보기엔 피로가 잘 안 드러날 수 있다.
❗주의점
- "피로가 없다"가 아니라
→ **"피로를 인지하기 어렵고, 대체패턴으로 커버되기 때문에 덜 드러나는 것"**이 진짜 의미야.
📢ai와 함께 작성하고, 주관적인 견해와 용어가 가미된 해설입니다.
📢암기를 위해 의식의 흐름인 서술형식으로 풀이를 써놓았습니다.
📌운동생리학, 스포츠의학 최신판 교재를 활용, 구글 서칭을 이용한 풀이내용입니다.
💌 오류사항, 누가봐도 잘못된 내용, 지적 받습니다. 댓글 남겨주세요.
💕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버튼 클릭 부탁드립니다.
🍑by. 이하나의 둔근해가 떴습니다
포스팅에 쿠팡 관련 링크가 삽입된 경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건강운동관리사🔴 > 💊운동처방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킨슨] LSVT LOUD 음성 프로그램과 BIG 프로그램 (0) | 2025.05.10 |
---|---|
[다운증후군] 미토콘드리아의 낮은 기능과 인산크레아틴 관계 (1) | 2025.05.10 |
[다운증후군] 경추 관절 이완과 근긴장도 저하의 원인 (0) | 2025.05.10 |
[뇌성마비] 원시반사(Primitive Reflex)와 OKC 운동시 유의사항 (0) | 2025.05.09 |
[뇌성마비] 환자들에게 단관절, 편측운동이 더 유익한 이유 (1) | 2025.05.09 |
[뇌성마비] 신장성 트레이닝이 필요한 이유 (0) | 2025.05.09 |
ACSM 11판) Chapter 8. 심혈관 및 폐질환자들을 위한 운동처방(심장재활환자[입원]) (0) | 2023.02.08 |
ACSM 11판) Chapter 6. 임신 (0) | 2023.0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