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개념 (Definition)
자율신경성 반사부전증은
T6 이상 척수손상 환자에게 주로 발생하는 심혈관계 위급 증상이야.
🔺 무의식적인 자율신경계 과흥분(overactivation) 반응으로
🔺 혈압이 급격히 상승하면서 심한 두통, 발한, 시야흐림 등이 나타나는 상태야.
✅ 2. 생리학적 기전 (Pathophysiology)
📍 핵심 개념은:
감각자극이 척수손상 아래에서 발생했을 때
→ 상위 중추에서 억제 못 하고,
→ 교감신경계가 과도하게 활성화되는 비정상 반사 반응이야.
🔄 발생 과정 Step by Step
단계 | |
① 자극 발생 | 방광 팽창, 장 팽창, 피부자극 등 (ex. 꽉 조인 옷, 욕창, 소변백 막힘) |
② 감각 신호 상승 | 척수 아래 수준에서 자극 감지 (예: T8 부위 방광 자극) |
③ 척수 수준에서 교감신경계 활성화 | ⬆️ 교감신경계 → 혈관수축 → 혈압 상승 (수축기 200mmHg↑도 가능) |
④ 상위 뇌신경 억제 실패 | 손상된 T6 이상 척수로 인해 뇌의 억제신호가 하위로 내려가지 못함 |
⑤ 혈압 폭발 + 두개상 증상 | ➕ 상반신: 발한, 두통, 서맥 ➖ 하반신: 혈관수축, 창백, 식은땀 |
🧠 참고: 왜 T6 이상일 때 위험한가?
- T6 이하 손상: 상하반신 모두 자율조절 가능 (여기서 이하는 아래쪽임.t6, t7, t8..))
- T6 이상 손상:
- 심장과 혈관 조절 중추가 포함된 수준 손상
- ➡️ 뇌에서 내려가는 억제 신호가 하위 교감신경에 전달되지 않음
- 자율신경계 중 심장, 혈압, 혈관 조절 중추는 T1~T5 사이에 위치함
- T6 이상 손상이 생기면
→ 뇌에서 심혈관계 억제 신호가 아래쪽으로 못 내려감
→ 자율신경 반사부전증(AD)이 생기면 교감신경 폭주 + 고혈압 폭주 상태가 됨
✅ 3. 증상 (Signs & Symptoms)
항목 | 증상 |
혈압 | 급격한 고혈압 (SBP 200 이상) |
심박수 | 서맥 (반사적 부교감 자극) |
두개상 증상 | 두통, 안면홍조, 시야 흐림, 발한, 코막힘 |
하체 증상 | 창백, 식은땀, 한기 느낌 |
✅ 4. 운동 시 주의사항
주의 | 포인트 설명 |
운동 전 방광·장 비우기 | 방광팽창 → AD 유발 가능성 높음 |
복압·기구 조임 피하기 | 벨트, 코르셋, 유압기구 압박 주의 |
혈압 모니터링 | 운동 중 갑자기 SBP 상승 시 중단 |
운동 중 자세 변화 주의 | 갑작스러운 자세 변화 → 혈압 불안정 유발 가능 |
🎯 기억 정리 한 줄 요약
"AD는 척수손상 상위 수준에서 감각 자극이 과도한 교감신경 반사를 일으키고,
뇌에서 억제 못 하여 고혈압 + 두통 + 발한을 초래하는 급성 증상이다."
🔑 핵심 키워드 요약
- T6 이상 척수손상
- 비뇨기·소화기계 자극 → 교감신경 흥분
- 혈압 급상승 + 두통 + 발한 + 서맥
- 운동 전 방광·장 비우기 필수!
🔬 생리학적 기전 요약: 왜 교감신경이 폭주하는가?
✅ 1. 정상 상태에서는?
단계 설명 |
① 하위 감각 자극 발생 (예: 방광 팽창) |
② 감각신호가 척수 타고 뇌까지 올라감 |
③ 뇌에서 “위험 아님”이라고 판단 후 억제 |
④ 교감신경계 흥분을 억제하여 혈압 안정 유지 |
→ 즉, 뇌에서 교감신경계를 ‘브레이크’처럼 조절하고 있었던 거지.
❌ 그런데 T6 이상에서 척수가 손상되면?
단계 설명 | |
① 감각 자극 발생 (예: 방광 팽창) | |
② 자극 신호가 올라가다 T6 이상 척수에서 ‘끊김’ | |
③ 뇌에 도달하지 못함 → 중추 억제 실패 | |
④ 척수 수준에서 교감신경이 반사적으로 ‘폭주’ | |
⑤ 말초 혈관 수축 → 급격한 고혈압 발생 |
⚡ 핵심 개념: ‘차단된 브레이크 + 남아있는 가속페달’
- 뇌에서 내려오는 억제신호 (부교감, 억제성 중추) ❌ 차단됨
- 척수 아래쪽의 교감신경 반사회로 ⛽ 혼자 폭주함
- 그래서 자율신경계 중 ‘교감신경계만 일방적으로 활성화’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거야
💥 폭주의 결과: 카테콜라민 과다분비
- 교감신경 폭주 → 부신수질에서 에피네프린(E), 노르에피네프린(NE) 폭발적 분비
- 이게 혈관을 수축시키고, 혈압을 상승시키며
- 자율신경성 반사부전증(AD) 증상을 유발하게 돼
🧠 요약 정리
✅ 감각자극은 올라가지만, 억제신호는 내려올 수 없다.
→ 뇌가 상황 통제를 못해서 교감신경계가 척수 수준에서 폭주
→ 결과적으로 고혈압 + 발한 + 두통 + 서맥 등 자율신경성 반응이 나타나는 것
🧩 기억 장면 한 컷 요약 (주인쟝 스타일)
🧠: “얘들아, 진정해!” 하고 싶은데…
척수단선으로 브레이크선이 끊김.
🚀 T6 이하 교감신경: 아무도 말려주는 사람 없이 엑셀 밟으며 전속력 질주 중…
그런데 왜 하필 서맥임? 자율신경폭주고, 혈압, 발한, 두통이 일어나는데 왜 빈맥이 아니고 서맥?
"자율신경이 폭주하는데 왜 서맥(심박수 감소)이 일어나지?"
자율신경성 반사부전증(Autonomic Dysreflexia, AD)은 교감신경계가 폭주하는 상태인데
왜 그 와중에 심박수는 줄어드는, **서맥(bradycardia)**이 생길까?
이건 교감신경 ↔ 부교감신경 간의 불균형 반사 작용 때문이야.
지금부터 생리학적으로 딱 정리해줄게.
✅ 결론부터 말하면:
💡 고혈압 → 뇌가 감지 → 미주신경 자극 → 부교감신경 통해 서맥 발생
즉, 서맥은 부교감신경이 '얘 좀 진정시켜!' 하고 작동한 결과야.
🔬 생리학적 기전 단계별 설명
단계 | 내용 |
① 방광/장 자극 → 교감신경 반사 폭주 | 하반신 혈관 수축 → 혈압 폭등 (SBP 200 이상) |
② 뇌줄기(연수)가 이 급격한 혈압상승을 감지 | 바로 바로압수용기(baroreceptor) 반사 개입 |
③ 바로수용기 반사 (baroreceptor reflex) 작동 | 경동맥굴·대동맥궁에서 혈압 감지 |
④ 뇌줄기에서 미주신경(vagus nerve) 활성화 | 부교감신경의 대표 주자 |
⑤ 심박수 억제 → 서맥 발생 | 심장이 줄어들며 '브레이크' 작용 |
🎯 핵심 개념 요약
✔ 혈압 폭등은 교감신경의 반사작용
✔ 서맥은 그 혈압을 뇌가 감지해서 부교감신경(미주신경)을 통해 억제하는 반응
즉, **"전신은 교감신경 폭주, 심장만 부교감 억제"**인
상하 불균형의 묘한 상황이 만들어지는 거야.
🔄 상반신 vs 하반신 자율신경 반응 비교
구역 | 자율신경 반응 |
상반신 (T6 이상) | 부교감신경 ⬆️ → 서맥, 발한, 홍조 |
하반신 (T6 이하) | 교감신경 폭주 ⬆️ → 혈관 수축, 창백, 혈압 상승 |
🧠 한 줄 요약
“교감신경이 하체에서 폭주하자, 뇌가 부교감신경(미주신경)을 작동시켜
심장에 '잠깐만!' 하고 브레이크를 건 결과가 서맥이다.”
메차쿠자... 서맥..!! 잊지말기..
📢ai와 함께 작성하고, 주관적인 견해와 가미된 해설인 부분도 있습니다.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해보는 것은 AI가 추론한 것이고, 교재의 문장 재해석은 공식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운동생리학, 스포츠의학 최신판 교재를 활용, 구글 서칭을 이용한 검토와 풀이 입니다.
💌 오류사항, 누가봐도 잘못된 내용, 지적 받습니다. 댓글 남겨주세요.
💕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버튼 클릭 부탁드립니다.
🍑by. 이하나의 둔근해가 떴습니다.
'🟪건강운동관리사 개념🟪 > 💊운동처방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킨슨] LSVT LOUD 음성 프로그램과 BIG 프로그램 (0) | 2025.05.10 |
---|---|
[다운증후군] 미토콘드리아의 낮은 기능과 인산크레아틴 관계 (1) | 2025.05.10 |
[다운증후군] 경추 관절 이완과 근긴장도 저하의 원인 (0) | 2025.05.10 |
[뇌성마비] 엘리트 선수가 신경근 피로감을 느끼지 못하는 이유 (1) | 2025.05.09 |
[뇌성마비] 원시반사(Primitive Reflex)와 OKC 운동시 유의사항 (0) | 2025.05.09 |
[뇌성마비] 환자들에게 단관절, 편측운동이 더 유익한 이유 (1) | 2025.05.09 |
[뇌성마비] 신장성 트레이닝이 필요한 이유 (0) | 2025.05.09 |
ACSM 11판) Chapter 8. 심혈관 및 폐질환자들을 위한 운동처방(심장재활환자[입원]) (0) | 2023.0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