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인공부🟡/📒뉴만 정리

<뉴만> 어깨복합체 Shoulder Complex : 관절학 (복장빗장과 봉우리빗장)

by 둔근해 2021. 6. 10.

뉴만 어깨복합체 Shoulder Complex : 관절학

어깨복합체의 관절학은 크게 4가지로 나뉜다.

어깨복합체의 관절

  1. 복장빗장관절 SC
  2. 봉우리빗장관절 AC
  3. 오목위팔관절 GH
  4. 어깨가슴관절 ST

이중에 어깨가슴관절만 참관절이 아니다. 어깨뼈는 등에 붙어있음과 동시에 둥둥 떠다니고 미끌려 다닌다는 것을 잊지말쟈!

어깨복합체 중 어깨가슴관절(ST)의 동작

  1. 올림 Elevation : 가슴에 대해 어깨뼈가 위로 미끄러짐
  2. 내림 Depression : 가슴에 대해 어깨뼈가 아래로 미끄러짐
  3. 내밈 Protraction : 어깨뼈 안쪽모서리가 가슴에 대해 앞&가쪽으로 미끄러짐
  4. 뒤당김 Retraction : 어깨뼈 안쪽모서리가 가슴에 대해 뒤&안쪽으로 미끄러짐
  5. 위쪽돌림 Upward Rotation : 어깨뼈의 아래각이 위&가쪽으로 돌림
  6. 아래쪽돌림 Downward Rotation : 어깨뼈의 아래각이 아래&안쪽으로 돌림

견갑골의 여섯가지 움직임을 적어놓음. 어깨뼈는 생각보다 입체적으로 움직인다.

뉴만 어깨복합체 Shoulder Complex : 관절학

복장빗장(SC)관절을 안정화 조직

  1. 앞, 뒤복장빗장인대
  2. 빗장사이인대
  3. 갈비빗장인대
  4. 관절원반
  5. 목빗근, 복장방패근, 복장목뿔근, 빗장밑근

 

복장빗장(SC)관절의 운동형상학

  1. 자유도 : 3도 . 시상면, 이마면, 수평면에서 올림과 내림, 내밈과 뒤당김, 세로축 돌림의 움직임이 일어나고, 빗장뼈는 팔을 머리 위로 들어 올릴 때 모든 3도의 자유도에서 올림운동이 일어난다. 우리가 위팔을 들어 올릴 때 어깨뼈의 적절한 위치를 배치시키는 것이 쇄골에서 일어나는 움직임과 연관 되어 있다. 
  2. 올림 : 최대 35~45도 . 빗장뼈가 올라가는 각도가 최대 35~45도로 올림된다는 뜻.
  3. 내림 : 최대 10도. 어깨를 으쓱 해보면 빗장뼈는 많이 올라갈 수 있는 것에 비해 내리는 것은 많이 안내려감.
  4. 내밈과 뒤당김 최대 15~30도. 견갑 pro/ret를 해보면 빗장뼈가 앞뒤로 움직여 지는 것을 느낄 수 있음. 최대 내밈의 경우 앞쪽으로 최대한 손뻗기와 같은 운동 동안에 일어나는 형상이다. 어깨뼈 뒤당김 근육들들이 타이트한 경우 최대 빗장뼈의 내밈을 제한 시킬 수도 있다. 등이 굳으면 쇄골이 잘 움직여지지 않을 수 있다..
  5. 축 돌림 : 팔의 굽힘 또는 벌림시 빗장뼈는 20~35도 뒤로 돌아간다. 

 

빗장뼈 즉.,.. 쇄골도 아주 유연한 조직이다. 생각보다 많이 움직이지?

복장빗장관절에 대한 빗장뼈의 올림과 내림시 구르기와 미끄러짐에 대한 관절 운동형상학

뉴만에서 인대를 스프링이나 직선으로 묘사한게 나온다. 스프링 모양은 느슨한 구조를 의미한다. 직선은 쫙쫙 펴진 상태.

  • CCL : 갈비빗장인대
  • ICL : 빗장사이인대
  • SC : 위쪽관절주머니

복장빗장관절에 대한 빗장뼈의 뒤당김 관절운동형상학

빗장뼈를 위쪽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 ACL 앞관절주머니인대
  • CCL 갈비빗장인대
  • PCL 뒤관절주머니인대

 

봉우리빗장(AC)관절의 안정화 조직

봉우리빗장관절의 경사와 관절 원반

 

봉우리빗장관절 주변 인대 앞면

 

  1. 위, 아래 관절주머니 인대
  2. 부리빗장인대
  3. 관절원반(존재할 때만, 없는 사람도 있음)
  4. 어깨세모근과 위등세모근 : 봉우리와 가장 근접해있는 근육들이다.

 

봉우리빗장관절과 부리빗장인대의 찢김

봉우리빗장관절의 탈구가 일어나는 기전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강한 접촉성 스포츠에서 어깨를 부딪힐 때 탈구가 일어난다. 걔중 예시로 럭비가 그렇겠지? 어깨빵 잘못 맞으면 저렇게 탈구가 일어날 수 있음ㄷㄷ

 

 봉우리빗장(AC)관절의 뼈운동형상학

봉우리빗장관절 뼈운동형상학

  • A그림 : 일차적 운동 : 위쪽돌림과 아래쪽돌림
  • A그림 : 이차적 운동 : 안쪽돌림과 가쪽돌림, 앞기울임과 뒤기울임
  • B그림 : 어깨가슴관절 내밈 동안에 견갑은 안쪽돌림 (어깨뼈가 서로 멀어지면서 안쪽돌림을 시전. 어깨뼈 관절오목의 기준으로 안쪽으로 돌아감을 의미함. 처음에 봤을 때 이게 왜 안쪽돌림인가 싶었는데 어깨오목이 몸안쪽으로 바라보는 모양으로 바껴서임.)
  • C그림 : 어깨가슴관절 올림 동안에 견갑은 앞기울임 (어깨뼈가 올라가면서 견갑하각이 살짝 들뜨면서 앞쪽으로 기운다.)

어깨가슴관절 올림 구성요소

  • 올림 : SC 올림 + AC 아래쪽돌림
  • 내림 : SC 내림 + AC 위쪽돌림

어깨가슴관절 내밈 구성요소

  • 내밈 : SC 내밈 + AC 안쪽돌림
  • 모음 : SC 모음 + AC 가쪽돌림

어깨가슴관절 위쪽돌림 구성요소

  • 위쪽돌림 : SC 올림 + AC 위쪽돌림
  • 아래쪽돌림 : SC 내림 + AC 아래쪽돌림

이걸 텍스트로 외우려는 흑우들 읍제...? (사실 내가 그랫음...)

우선 복장빗장관절(SC)의 경우는 자유도 3도를 기억해야한다. 올림/내림, 내밈/모음, 마지막 축돌림. 축돌림 빼고 우선 생각해보자. 

위팔을 올리거나 상방회전 즉 들어야 할 경우 (UP), SC관절에는 무조건 올림이 일어난다. 쇄골이 으쓱 올라가는 것이지. 거기에 올림과 위쪽돌림의 차이는 AC관절의 보조 유무에 따라 움직임이 달라진다. 쇄골을 올렸는데 봉우리가 안도와주고 걍 내려버리면 순수 올림만 발생하고, 쇄골을 올렸는데 봉우리가 도와준다면 우리는 더 높게 팔을 들게 해줄 것이다. 그래서 더 위로 올라가니 봉우리에서 위쪽돌림이 추가되는 것.

너무 당연한 소리를 길게 적어놨다.... 그래서 외울 때 올림과 내림을 같이 외우는게 아니라, 올림과 상방회전을 묶어 기억하고 내림과 하방회전을 묶어 기억하도록 하자. 

  • 올림 : SC 올림 + AC 아래쪽돌림
  • 위쪽돌림 : SC 올림 + AC 위쪽돌림
  • 내림 : SC 내림 + AC 위쪽돌림
  • 아래쪽돌림 : SC 내림 + AC아래쪽돌림
  • 내밈 : SC 내밈 + AC 안쪽돌림
  • 모음 : SC 모음 + AC 가쪽돌림

그럼 나머지 내밈과 모음은 어쩌느냐, 쇄골에서도 내밈과 모음의 움직임이 나오니 견갑 전인과 후인도 마찬가지로 된다친다면, 봉우리는 어쩔 것이냐! 우선 안쪽돌림과 가쪽돌림의 정의와 차이를 분명히 해두면 헷갈일 일이 없다는 것.

견갑의 척추모서리가 들려 오목관절이 앞을 보게된다면 그것은 내밈이자 안쪽돌림! (오목관절의 기준으로 봤을 때 안쪽이다.)

견갑의 척추모서리가 가까워지면서 오목관절이 뒤를 바라본다면 그것은 뒤당김이자 가쪽돌림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