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운동관리사🔴/💯22년도 기출문제풀이

2022 건강운동관리사 스포츠심리학 1-10번 문제풀이 및 개념정리

by 둔근해 2025. 4. 24.
반응형

[스포츠심리학 1번 문제]

📌 문제 요약: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변화단계이론(stage of change theory, transtheoretical model)**의 구성개념은?

🟩 보기 해석:

  • “운동으로 인한 이익과 손실을 평가”
  • “건강 증진은 이익, 시간·장비 부담은 손실

🔎 핵심 개념:
이건 딱 봐도 "이익 vs 손실을 따지는 사고 과정", 즉 ② 의사결정 균형(decisional balance) 에 해당함.


✅ 정답: ② 의사결정 균형 (decisional balance)


💡 개념 뇌절 정리

✔ 변화단계이론 (TTM: Transtheoretical Model)이란?

행동변화를 단계별로 설명하는 이론. 금연, 운동 습관 형성 등에서 자주 쓰임.
총 5단계:

  1. 무관심기(Precontemplation) – "운동? 안 할 건데요"
  2. 관심기(Contemplation) – "해야 하긴 하는데..."
  3. 준비기(Preparation) – "슬슬 준비해볼까"
  4. 실천기(Action) – "실제로 운동 중"
  5. 유지기(Maintenance) – "6개월 이상 꾸준히!"

✔ TTM의 구성요소 (이거 외우는 게 진짜 포인트)

  1. 변화단계(Stage of Change)
  2. 변화과정(Process of Change)
    • 경험적 과정(Experiential processes): 감정, 인식 변화 위주
    • 행동적 과정(Behavioral processes): 실제 행동 전략들
  3. 의사결정 균형(Decisional Balance) ☑️
    • 운동의 이익(pros) vs 손해(cons) 따지는 인지적 평가
  4. 자기효능감(Self-efficacy)
    • "나는 할 수 있다!"는 믿음. 행동 지속력과 밀접

🧠 용어 예시로 외우기

용어예시 문장
용어 예시 문장
의사결정 균형 “운동하면 살 빠지고 좋지만… 시간 없고 장비도 비싸.” → 이익 vs 손실 비교
자기효능감 “아무리 바빠도 난 할 수 있어. 난 작심삼일 아니다.”
체험적 과정 “헬스장에서 건강한 사람을 보니 나도 자극받음.” (사회적 해석, 감정 변화)
행동적 과정 “헬스장 등록, 운동 계획표 짜기, 알람 맞추기” (구체적 행동)

🧷 핵심 요약 (3줄)

  • 운동의 이익과 손실을 비교하는 사고는 의사결정 균형임.
  • 이는 변화단계이론의 핵심 구성요소 중 하나.
  • 자기효능감이나 행동 과정과는 구별해야 함.

🔑 해시태그

#변화단계이론 #TTM #의사결정균형 #행동변화 #스포츠심리학


🎯 예상문제 (비틀기)

문제: 다음 중 변화단계이론에서 **자기효능감(self-efficacy)**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운동할 때 드는 비용과 시간을 따진다
② 운동을 해야겠다고 생각하지만 행동에 옮기진 않는다
③ 운동에 대한 자기 확신과 행동 유지 능력을 말한다
④ 운동 후의 이익과 손해를 비교한다

👉 정답: ③
해설: 자기효능감은 ‘내가 할 수 있다’는 심리적 확신으로, 행동 지속성과 강한 연관성이 있음.

[스포츠심리학 2번 문제]

📌 문제 요약:
홀랜더(Hollander, 1967)의 성격 구조 이론에서 성격의 구성요소인
① ○ = 개인의 환경과 상호작용으로 형성된 통상적인 속성
② ◎ = 환경에 따라 반응하며 민감하게 변하는 성격 요소
를 각각 고르는 문제.


✅ 정답: ①번 - 전형적 반응 / 역할 행동


💡 개념 뇌절 정리:

📘 Hollander의 성격 구조 이론 (Hollander’s Model of Personality)

성격을 3층 구조로 설명함:

  1. 심리적 핵심 (Psychological Core)
    • 성격의 중심, 변하지 않음
    • 예: 가치관, 신념, 자아의식
    • “나는 원래 조용한 사람이야”
  2. 전형적 반응 (Typical Response) ☑️
    • 환경과 상호작용하여 일반적으로 보이는 학습된 반응 패턴
    • 예: 조용한 사람이지만 친한 친구 앞에서는 웃기도 함
    • **보기의 ‘통상적인 속성’**이 이거!
  3. 역할 행동 (Role-related Behavior) ☑️
    • 특정 상황, 역할에 따라 달라지는 반응
    • 상황에 따라 성격이 바뀔 수 있는 가장 유동적인 부분
    • 예: 조용한 사람도 강사로서는 적극적
    • **보기의 ‘환경에 민감’**이 이거!

🧠 용어 예시로 외우기

구성요소설명예시
구성요소 설명  예시
심리적 핵심 성격의 중심, 잘 변하지 않음 내향적 성향
전형적 반응 ☑️ 평소에 보이는 일반적인 반응 낯선 사람 앞에선 말 수 적음
역할 행동 ☑️ 역할에 따라 바뀌는 행동 발표할 때는 활발하게 말함

🧷 핵심 요약 (3줄)

  • Hollander 성격 구조는 핵심 – 전형적 반응 – 역할 행동 3층 구조
  • 전형적 반응은 평소 보이는 학습된 행동이고
  • 역할 행동은 환경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하는 성격임

🔑 해시태그

#홀랜더 #성격구조 #전형적반응 #역할행동 #스포츠심리학 #심리학암기팁


🎯 예상문제 (비틀기)

문제: 다음 중 Hollander의 성격 구조 이론에서 가장 변하기 쉬운 구성요소는?
① 심리적 핵심
② 전형적 반응
③ 역할 행동
④ 자아정체감

👉 정답: ③ 역할 행동
해설: 역할 행동은 환경과 역할에 따라 쉽게 변하는 성격의 가장 바깥층임.

[스포츠심리학/운동발달 3번 문제]

📌 문제 요약:
영아기 **반사(reflex)**의 개념 및 역할옳지 않은 것은?


✅ 정답: ① 수의적 반응


💡 개념 뇌절 정리:

🧠 Reflex(반사)란?

  • 자극에 대해 자동적(autonomic)이고 무의식적(involuntary) 으로 나타나는 반응
  • 대뇌피질이 발달되기 전에 뇌간(brainstem)과 척수(spinal cord) 수준에서 조절
  • 특히 **영아기(생후 0~12개월)**에 정상 발달 여부를 판단하는 핵심 요소임

🎯 영아기 반사의 4가지 대표 역할

역할설명
역할 설명
1. 생존 유지 젖 빠는 반사, 움켜쥐기 반사 등은 생존에 직접 연관됨
2. 미래 움직임의 기초 걷기 반사, 기는 반사 등은 향후 운동 발달을 예고함
3. 신경학적 진단 지표 반사의 소실 시기나 이상 여부는 신경계 건강을 평가하는 근거
4. 비수의적 자동 반응 수의적(의도적)이지 않고 본능적임 (← 정답포인트)

🚫 보기 ①이 틀린 이유:

“수의적 반응” → ❌
→ 반사는 무의식적(involuntary) 반응임. 수의적(voluntary) 움직임은 운동 제어가 성숙한 이후에야 나타남.


🧠 용어 예시로 암기

용어예시
용어 예시
Rooting reflex 아기 뺨을 자극하면 그 방향으로 입을 돌림 (젖 찾기)
Grasp reflex 손바닥에 손가락 대면 꽉 움켜쥠
Moro reflex 갑작스러운 소리에 팔을 벌렸다 오므림 (놀람 반사)

🧷 핵심 요약 (3줄)

  • 반사는 무의식적이고 자동적인 반응
  • 생존, 미래 운동, 신경계 진단에 관여
  • 수의적 반응은 반사와 관련 없음 → 오답

🔑 해시태그

#영아기반사 #Reflex #운동발달 #무의식반응 #신경계진단


🎯 예상문제 (비틀기)

문제: 다음 중 신생아 반사로 보기 어려운 것은?
① Moro reflex
② Rooting reflex
③ Grasp reflex
④ Crossed extensor reflex

👉 정답: ④
해설: ④는 성인 수준의 척수 반사로 분류됨. 신생아기 반사로 분류되지 않음.

[스포츠심리학/운동학습 4번 문제]

📌 문제 요약:
운동학습의 연습과 기술 개념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 정답: ④ 연습가변성은 기술을 연습하는 동안 수행자가 경험하는 동작 및 상황의 다양성을 의미한다


💡 개념 뇌절 정리:

✔ ① 전습법 설명 – ❌ 오답

  • 전습법(Whole practice)은 기술 전체를 한 번에 연습하는 것
  • 분습법(Part practice)은 기술을 나눠서 연습함
  • → 보기에서는 전습법을 분절화, 단순화라고 잘못 설명했음
    👉 분절화, 단순화는 분습법에 해당함

✔ ② 기술복잡성(skill complexity) 설명 – ❌ 오답

  • 복잡성이 높다는 건 정보처리 요구량도 높다
  • 예: 농구 드리블 + 시선 처리 + 공간 판단 → 복잡함
    → 정보처리 수준 낮아지지 않음 → 오답

✔ ③ 기술구성도(skill organization) 설명 – ❌ 오답

  • 구성요소 간 상호 의존성이 낮을수록, 기술은 낮은 구성도
  • 즉, 독립적일수록 구성도가 낮다
  • → 보기에서 반대로 설명했음

✔ ④ 연습가변성(variability of practice) 설명 – ✅ 정답

  • 동일 기술을 다양한 상황과 맥락에서 연습
  • → 수행자의 전이 학습(transfer), 적응력(adaptability) 향상에 도움 됨
  • 예: 배드민턴 스매시를 다양한 높이, 속도, 위치에서 연습

🧠 용어 정리 & 예시

용어설명예시
용어 설명 예시
전습법 기술 전체를 한 번에 턴 동작을 처음부터 끝까지 계속 반복
분습법 기술을 나눠서 연습 턴을 3단계로 나눠서 한 단계씩 연습
기술복잡성 처리해야 할 정보량 다리+팔+시선+공 인식 등 복잡할수록 높음
기술구성도 요소 간 결합 강도 자유형 수영처럼 연계성 강하면 구성도 높음
연습가변성 ☑️ 다양한 조건에서 연습 다양한 상대방, 장소, 변형된 상황에서 반복 연습

🧷 핵심 요약 (3줄)

  • 연습가변성은 다양한 상황에서 연습하는 것
  • 전습법은 기술 전체, 분절화는 분습법
  • 복잡성과 구성도 개념은 높을수록 더 어렵다

🔑 해시태그

#운동학습 #전습법 #분습법 #연습가변성 #기술복잡성 #기술구성도


🎯 예상문제 (비틀기)

문제: 다음 중 **분습법(part practice)**이 적합한 기술은?
① 탁구 포핸드 스트로크
② 체조의 공중회전기술
③ 농구의 자유투
④ 역도(스내치)의 끊어진 동작들

👉 정답: ④
해설: 기술 요소 간 결합이 느슨한 경우, 분습법이 적합함.

[스포츠심리학 5번 문제]

📌 문제 요약:
격변이론(catastrophe theory)에서 신체적 각성을 낮춰도 수행이 회복되지 않고 낮은 수준에 머무는 현상의 명칭은?


✅ 정답: ③ 히스테리시스 효과 (hysteresis effect)


💡 개념 뇌절 정리

✔ 격변이론 (Catastrophe Theory)이란?

  • 심리학자 하디(Hardy, 1990)가 제안
  • 수행력은 신체 각성(arousal)인지불안(cognitive anxiety) 이 함께 작용할 때 비선형적 변화를 보임
  • 즉, 적정 수준까지는 수행이 증가하다가,
    한계를 넘으면 **급격히 무너지는 '격변(catastrophe)'**이 발생함

📉 격변 후의 특징 = 히스테리시스 효과

  • 갑자기 수행이 무너짐
  • 이후 신체 각성을 낮춰도,
    👉 바로 회복되지 않고 한참 낮은 수준에 머무름
  • 비대칭적 회복 곡선히스테리시스(hysteresis) 라고 함

❌ 오답 분석

스트룹 효과
: 단어와 색상이 다를 때 반응이 느려지는 인지 혼란
→ 정보처리 실험 관련, 수행과 직접적 관계 X

링겔만 효과
: 집단 작업에서 개인의 노력 감소 현상 (사회태만)
→ 운동학습/집단 동기화 이론 관련, 해당 상황 아님

자기조절 효과
: 동기와 자기조절능력(목표설정, 피드백)에 따라 수행 조절
→ 격변 이후의 회복 지연 현상과 관련 없음


🧠 예시로 기억하기

예: 발표를 앞두고 긴장해서 멘붕 → 말문이 막힘 →
이후 긴장이 풀려도 다시 흐름 못 타고 결국 버벅임 상태 유지 = 히스테리시스


🧷 핵심 요약 (3줄)

  • 격변이론은 인지불안+과도한 각성 시 수행이 급격히 무너짐
  • 무너진 이후엔 각성을 낮춰도 바로 회복되지 않음
  • 이걸 히스테리시스 효과(hysteresis effect) 라고 함

🔑 해시태그

#격변이론 #히스테리시스 #운동수행 #인지불안 #스포츠심리학


🎯 예상문제 (비틀기)

문제: 격변이론에서 수행이 갑자기 붕괴된 후, 각성을 낮춰도 수행이 회복되지 않는 현상을 의미하는 용어는?
① 요요효과
② 히스테리시스
③ 교차전이
④ 정보초과

👉 정답: ② 히스테리시스

요요효과 (yo-yo effect)
→ 다이어트에서 체중이 줄었다가 다시 급격히 찌는 현상
신체변화 반복 관련, 심리적 수행과는 무관 ❌

히스테리시스 (hysteresis)
격변이론의 핵심 개념
→ 급락 후 각성만 낮춰선 수행이 회복되지 않는 현상

교차전이 (cross-transfer/cross-education)
→ 한쪽 근육을 훈련했을 때 반대쪽에도 효과가 나타나는 생리학 개념
→ 신경적 전이 관련, 심리이론과는 무관 ❌

정보초과 (information overload)
→ 한 번에 너무 많은 정보를 처리하려다 집중력/수행 저하
→ 과부하 상황에서의 인지성능 저하 개념 (관련은 있지만 정답은 아님) ❌


🧷 핵심 요약 (3줄)

  • 정답은 ② 히스테리시스, 격변 후 회복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
  • 나머지 보기는 생리학적이거나 다른 심리 개념임
  • 오답도 헷갈리게 출제되기 쉬우니 비교 암기 필수!

 

[스포츠심리학 6번 문제]

📌 문제 요약:
① 운동 시작 동기의 유형은?
② 해당 동기 유형이 기반한 운동심리 가설은?


✅ 정답: ① 확인규제 / 기분전환 가설


💡 개념 뇌절 정리


🧠 ① 확인규제 (Introjected Regulation)

  • 외적 동기의 한 유형이지만, 내면화된 외적 동기
  • "살을 빼야 해", "안 하면 죄책감 들어" → 내가 나를 다그침
  • 겉으론 스스로 하는 것 같지만, 동기의 뿌리는 외부 기준
  • 예: 체중, 외모, 자존감 보상

🔎 문제 상황:

“스트레스가 심해서 살이 찌더라고요 → 살을 빼려고 운동 시작”
→ 외적 기준(살)을 내면화한 동기확인규제


🧠 ② 기분전환 가설 (Mood Enhancement Hypothesis)

  • 운동을 하면 기분이 좋아진다는 심리학적 가설
  • 정서 안정, 우울 감소, 불안 완화 등과 관련
  • 운동이 스트레스 완충 역할을 한다고 봄

🔎 문제 상황:

“운동했더니 기분도 좋아지더라고요.”
→ 정서 향상 → 기분전환 가설


❌ 오답 해설

외적규제 / 생리적 강인함 가설

  • 외적규제: 강제적 보상 (부모, 상금 등) → 살 빼려는 건 자기 내면 기준임
  • 생리적 강인함 가설: 스트레스 상황에서 운동하면 생리적 회복력 증가에 초점, 정신적 기분과는 살짝 다름

확인규제 / 엔돌핀 가설

  • 엔돌핀 가설: 운동 시 뇌의 엔돌핀 분비로 기분 좋아짐 → 기분전환과 유사하지만 생리학 중심임
  • 이 문제는 정신적 해소에 중점 → 기분전환이 더 정확

외적규제 / 사회적 상호작용 가설

  • 사회적 상호작용 가설: 운동을 통해 사람들과 관계를 형성
  • 이 문제는 스트레스 해소 목적 → 관련성 낮음

🧷 핵심 요약 (3줄)

  • 살 빼려고 시작한 건 확인규제 (내면화된 외적 동기)
  • 운동 후 기분이 나아진 건 기분전환 가설
  • 엔돌핀, 사회성, 강인함 가설은 각각 생리적/사회적 중점이라 오답

🔑 해시태그

#동기유형 #확인규제 #기분전환가설 #스포츠심리학 #외적동기


🎯 예상문제 (비틀기 + 보기 해설 포함)

문제: 운동 시작 동기로 “부모님이 하라 해서”는 어떤 규제 유형인가?
① 내적 동기
② 확인 규제
③ 외적 규제
④ 동일화 규제

👉 정답: ③ 외적 규제

각 보기 설명:

  • ① 내적 동기: 내가 좋아서, 재미있어서 하는 경우
  • ② 확인 규제: 죄책감, 자책감 때문에 스스로 밀어붙임
  • ③ 외적 규제: 타인의 보상, 압박, 지시 때문
  • ④ 동일화 규제: 외적 동기를 어느 정도 내 가치로 통합했을 때

 

[스포츠심리학/운동학습 7번 문제]

📌 문제 요약:
운동학습의 파지(retention) 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정답: ① 정보처리 관점에서 파지검사는 부호화된 표상 기억의 입력 과정으로 본다


💡 개념 뇌절 정리

✔ 파지(Retention)란?

  • 학습한 내용을 시간이 지난 후에도 유지하고 재현할 수 있는 능력
  • 보통 연습이 끝난 후 일정 시간 지나고 다시 측정함
  • 즉, 단기기억을 장기기억으로 전환하고, 이후 꺼내는 능력을 평가

❌ 보기 ①이 틀린 이유

  • 파지검사는 ‘기억을 입력하는’ 과정이 아니라,
    → 이미 입력된 정보를 꺼내는(인출, retrieval) 과정임
  • 정보처리 이론에서 ‘입력(input)’은 감각등록(sensory register) 수준
  • 반면 파지는 **장기기억(long-term memory)**에 저장된 정보가
    어떻게 유지되고 꺼내지는지를 보는 평가임

✅ 보기 ②~④는 모두 맞음

연습의 양은 파지에 큰 영향 → 많이 연습할수록 잘 유지됨
운동기술 유형에 따라 파지율 다름 → 폐쇄기술이 더 잘 유지됨 (환경이 안정적이고 예측가능한 상태에서 수)

++++ 파지(retention)와의 연결

  • 폐쇄기술동작이 고정되어 있어서,
    연습 후 시간이 지나도 파지가 더 잘 됨
  • 개방기술은 환경이 복잡해서 기억하고 재현하는 데 더 어려움
    → 그래서 문제 보기에서도 "기술 유형이 파지에 영향을 준다"는 말이 맞는 거였음!


운동과제의 복잡성 → 복잡할수록 기억 어려움 → 파지 낮아질 수 있음


🧠 보충: 파지검사의 종류

종류 설명
절대파지검사 연습 후 일정 시간 지난 뒤 처음 수행 수준만 측정
상대파지검사 마지막 연습 시점과 비교해서 수행 유지 정도 확인
저장검사 시간 간격 없이 즉각 측정 → 학습이 아니라 수행력만 평가

🧷 핵심 요약 (3줄)

  • 파지는 기억 인출(출력) 과정이지, 입력과정이 아님
  • 연습량, 과제 복잡도, 기술유형 모두 파지에 영향
  • ①번은 정보처리이론 관점에서 틀린 설명

🔑 해시태그

#운동학습 #파지 #기억인출 #정보처리이론 #스포츠심리학


🎯 예상문제 (비틀기 + 해설 포함)

문제: 다음 중 **운동 파지(retention)**를 평가하는 방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절대파지검사
② 상대파지검사
③ 저장검사
④ 감각등록검사

👉 정답: ④ 감각등록검사

  • ①~③: 파지를 평가하는 실제 검사 유형
  • ④ 감각등록: 즉각적인 감각 수준 입력 단계 → 파지와 관련 없음

[스포츠심리학/운동학습 8번 문제]

📌 문제 요약:
**시지각(visual perception)**과 운동수행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정답: ③ 농구 드리블 상황에서 중추시와 환경시는 계열적으로 사용된다


💡 개념 뇌절 정리

🧠 중추시(Central Vision) vs 환경시(Ambient Vision)

구분중추시 (Central Vision)환경시 (Ambient Vision)
구분 중추시 환경시
영역 시야의 중심, 좁음 시야의 주변, 넓음
기능 세부 정보, 목표 정확성 공간 인식, 균형, 주변 인식
예시 농구 자유투 시 림을 조준 농구 드리블 중 수비자 위치 인식

❌ 보기 ③이 틀린 이유:

  • 계열적으로 사용된다 → ❌
    → 중추시와 환경시는 동시에 작동하여 운동수행을 지원함
    병렬적으로 작동하지, 순차적(계열적)으로 사용되는 게 아님

✅ 나머지 보기 확인

① 중추시와 환경시는 기능이 다르다 → 맞음
② 환경시는 망막 전체를 활용 → 맞음
④ 농구 자유투는 중추시 활용 예시 → 맞음


🧠 보충 개념: 시각 시스템이 운동에 미치는 영향

  • 운동 중 중추시는 목표물에 정확하게 조준하는 데 중요
  • 환경시는 균형, 이동, 주변 상황 인식에 중요
  • 특히 스포츠 상황에서는 두 시스템이 동시에 작용하여
    → 효율적인 동작 조절과 예측 수행을 가능하게 함

🧷 핵심 요약 (3줄)

  • 중추시: 중심 정보 / 환경시: 주변 감지
  • 계열적 사용❌ → 병렬적 사용⭕
  • 농구는 두 시각 시스템을 동시에 활용하는 대표 종목

🔑 해시태그

#시지각 #중추시 #환경시 #운동수행 #스포츠심리학 #농구예시


🎯 예상문제 (비틀기)

문제: 다음 중 중추시의 대표적 기능은?
① 균형 유지
② 주변 물체 인식
③ 움직임 예측
④ 목표 조준과 정밀 동작

👉 정답: ④ 목표 조준과 정밀 동작

보충 설명:

  • ①~③은 환경시 중심 기능
  • ④는 중추시의 핵심 역량임

✅ 정답: ② 의도효과 (intention effect)


🔍 보기 검토

통제감 (senses of control) → ❌

  • 설명은 맞지만 용어가 틀렸음.
  • 운동의존성에서 쓰이는 공식 용어는 “통제 실패 (lack of control)”
  • **‘통제감’**은 오히려 일반 심리학에서 긍정적으로 쓰이는 말임

의도효과 (intention effect) → ✅

  • 원래 의도보다 더 오래, 많이 운동함 = 의도 이상 사용 (intended effect)
  • 이건 운동의존성 요소 중 정확한 내용
  • 비록 번역은 좀 어색해도, 문장 자체는 맞는 설명

내성 (tolerance) → ❌

  • “동일한 운동량으로 효과가 유지되지 않음”은 맞는 설명
  • 단, 보기 ③은 틀렸다고 볼 순 없음.
  • 그런데 **②가 더 명확하게 ‘옳다’**고 판단되는 문제였음

지속 (continuance) → ❌

  • “몰두해서 저절로 일어남”은 몰입(flow) 관련 개념이지
  • **운동의존성에서의 '지속'**은 문제가 있어도 멈추지 못하는 것
    → 설명이 엇나감

🧷 핵심 요약 (3줄)

  • 보기 중 운동의존성 개념에 정확히 부합하는 문장은 ②번
  • 나머지는 용어나 설명이 미묘하게 어긋남
  • 정답은 ② 의도효과 (의도 이상 사용)

🏋️ 운동의존성(Exercise Dependence)의 7가지 구성요소 정리

하우젠블라스(Hausenblas)와 사이몬스 다운스(Symons Downs, 2002)가 제시한 운동 의존성의 7가지 요소는 다음과 같음.
운동이 건강을 위한 수단을 넘어 통제력을 잃고 중독처럼 지속될 때를 설명하는 심리학 개념임.

번호구성요소설명 요약
번호 구성 요소 설명 요약
내성 (Tolerance) 같은 효과를 위해 점점 더 많은 운동을 필요로 함
금단 (Withdrawal) 운동을 못하면 불안, 우울, 짜증 등 금단 증상이 나타남
의도 이상 사용 = 의도효과 (Intention Effect) 원래 계획보다 더 오래, 더 많이 운동함
통제 실패 = 통제상실 (Lack of Control) 운동량·시간을 스스로 조절하지 못함
시간 소모 or 시간효과 (Time) 운동 관련 활동에 지나치게 많은 시간을 씀
활동 감소 (Reduction in Other Activities) 운동 때문에 사회, 직업, 여가 활동이 줄어듦
운동지속 (Continuance) 부상이나 문제가 있어도 운동을 계속함

📌 활용 팁

  • 기출문제에서는 이 7가지 요소 중 설명이 어긋난 것을 찾는 유형이 자주 등장함
  • 특히 ② 금단 / ③ 의도 이상 / ④ 통제 실패는 가장 자주 출제되는 키워드
  • 한 줄로 의미 파악 후, **헷갈리는 유사 개념(몰입, 습관 등)**과 차이 구분 필요

.....우리 모두 반성하자

✅ [스포츠심리학] 10번 문제 풀이 – 운동실천 전략 유형 정리


📘 문제 확인

다음 보기 중 운동실천 행동수정 전략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복사편집
① 목표 설정 전략을 적용할 때 운동일지 작성 ② 운동 프로그램 참가자의 출석에 대한 보상 제공 ③ 모두가 볼 수 있는 게시판에 회원들의 출석부 게시 ④ 엘리베이터와 계단이 함께 설치된 공공장소에 계단 사용을 권장하는 포스터 설치

✅ 정답: 3번 (②, ③, ④)


🔍 선택지별 해설

보기내용전략 유형설명
보기 내용 전략 유형 설명
운동일지 작성 인지 전략 자신의 행동을 점검하고 계획하는 내적 인식 기반 전략
출석 보상 제공 행동수정 전략 강화 전략으로, 보상을 통해 행동 지속 유도
출석부 공개 게시 행동수정 전략 피드백 제공 + 사회적 비교로 실천 유도
계단 사용 포스터 행동수정 전략 **시각적 자극(visual cue)**을 통한 행동 유도

👉 따라서, ①번은 제외하고 ②, ③, ④는 행동수정 전략으로 분류됨.


🧩 개념 확장: 운동실천 전략 5대 분류

전략 유형핵심 개념대표 예시
전략 유형 핵심 개념   대표 예시
행동수정 전략 외부 자극과 행동 통제 보상, 출석부 공개, 포스터, 시각적 큐
인지 전략 인식과 자기 점검 운동일지, 사고 재구성, 자기대화
의사결정 전략 주체적 판단과 선택 장단점 목록 작성, 선택지 비교
내적동기 전략 즐거움과 의미 중심 재미 강조, 성취감 유도
사회관계 전략 사회적 지지 활용 운동파트너, 가족 격려, SNS 인증

🧠 핵심 요약

  • 운동일지 작성 = 인지 전략, 나머지는 행동수정 전략
  • 행동수정 전략은 직접적인 행동 유도 방식으로 출석 보상, 피드백, 포스터 등이 대표적
  • 기출에서는 전략 구분 문제 자주 출제되므로 분류별 예시 암기 필수

📌 키워드 태그

#운동실천전략 #행동수정전략 #건강운동관리사기출풀이 #스포츠심리학기출 #인지전략 #출석보상 #운동일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