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심리학] 11번 문제 풀이 – 피츠와 포스너의 운동학습 단계
📘 문제 확인
**피츠와 포스너(Fitts & Posner, 1967)**가 제시한 운동학습 단계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정답: ③번
🔍 선택지별 해설
보기 | 설명 | 정오 | 해설 |
① | 운동학습은 인지 처리 수준에 따라 단계적으로 구분됨 | ✅ | Fitts & Posner는 정보처리 이론 바탕으로 3단계 구분 |
② | 인지 단계에서는 전략 개발과 시행착오 중심 | ✅ | 맞는 설명. 목표 인식 및 계획 수립 단계 |
③ | 연합 단계에서 언어와 인지능력이 중요하다고 함 | ❌ | 연합 단계는 동작 조정 중심, 언어는 중요하지 않음 |
④ | 자동화 단계는 정보처리 속도가 향상됨 | ✅ | 운동이 자동화되며, 주의 분산 없이 수행 가능해짐 |
🧠 보충 개념: Fitts & Posner의 3단계 운동학습 모델
- 인지 단계 (Cognitive Stage)
- 무슨 동작인지 이해하는 단계
- 말로 설명하며 수행, 오류 많음
- 전략 개발, 실수 반복
- 인지 단계 예시:
헬스장에서 처음 스쿼트를 배우는 사람. “허리는 펴야 하고 무릎은 나가면 안 되고...” 계속 말하면서 조심조심 함. 머릿속 계산 많고 동작은 어색함.
- 연합 단계 (Associative Stage)
- 감각 피드백을 정제하여 정확도 향상
- 동작 정교화, 오류 줄어듦
- 언어 의존도는 줄어듦, 주의 집중 유지
- 연합 단계 예시:
몇 주 후, 거울 보며 “어깨만 더 내려봐야지” 하는 수준. 실수는 줄고, 동작은 부드러워짐.
- 자동화 단계 (Autonomous Stage)
- 무의식적으로 수행 가능, 자동적 처리
- 반응 속도 빠름, 주의 자원 최소 사용
- 자동화 단계 예시:
이제는 폼롤러 위에서 스쿼트해도 자세 무너지지 않음. 누가 말을 걸어도 동작 흐트러지지 않음.
🧷 핵심 요약
- 연합 단계는 운동 조절 중심이지, 언어 활용 단계가 아님
- Fitts & Posner는 운동을 학습하는 사고 수준에 따라 3단계 구분
- 자동화 단계에서 정보처리 속도는 빨라지고, 집중은 줄어듦
📌 키워드 태그
#운동학습단계 #FittsPosner모델 #인지단계 #자동화단계 #건강운동관리사기출풀이
✅ [스포츠심리학] 12번 문제 풀이 – 다이나믹시스템이론(Dynamic Systems Theory)
📘 문제 확인
**다이나믹시스템이론(Dynamic Systems Theory)**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 정답: ③번 (①, ②, ③)
🔍 보기 해설
보기 | 설명 | 정오 | 해설 |
① | 운동은 일정하게 증가하지 않고, 급변하거나 도약적으로 변화할 수 있음 | ✅ | **비선형성(Non-linearity)**은 다이나믹시스템 핵심 개념 |
② | 운동은 외부 지시 없이도 스스로 조직됨 | ✅ | 자기조직(Self-organization) 개념. 환경·과제·개인의 상호작용으로 발생 |
③ | 운동을 부분 동작이 아닌 패턴 단위로 이해 | ✅ | 협응구조(Synergy or Coordinative Structures) 강조 |
④ | 운동 프로그램, 기억표상 등 중추 명령 기반 이론임 | ❌ | 이는 정보처리이론(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개념 |
🧠 개념 정리: 다이나믹시스템이론이란?
- 운동은 신경계, 신체, 환경, 과제가 상호작용하여 나타나는 현상
- 중추 명령 X → 시스템 내에서 자발적으로 조절됨
- 3대 핵심 개념:
- 비선형성: 변화가 갑작스럽고 단계적이지 않을 수 있음
- 자기조직: 외부 명령 없이도 스스로 운동 패턴 형성
- 협응구조: 여러 관절·근육이 함께 작동하는 단위로 운동을 설명
🎯 현실 예시로 이해하기
- 비선형성 예시:
아이가 자전거 탈 때 처음에는 전혀 못하다가, 어느 순간 갑자기 균형을 잡기 시작함 (점진 X → 급변 O) - 자기조직 예시:
농구할 때 코치가 지시 안 해도, 상황에 따라 선수들이 알아서 패턴을 형성하며 움직임 - 협응구조 예시:
던질 때 어깨-팔꿈치-손목이 함께 움직임, 개별이 아닌 전체 패턴으로 작동
🧷 핵심 요약 (3줄)
- 다이나믹시스템이론은 비선형성, 자기조직, 협응구조를 강조함
- 운동 프로그램 같은 기억 중심 설명은 해당하지 않음
- 정답은 ①, ②, ③ → 보기 ③번
📌 키워드 태그
#다이나믹시스템이론 #운동학습이론 #협응구조 #자기조직 #비선형성
#스포츠심리학기출풀이 #건강운동관리사기출
✅ [스포츠심리학] 13번 문제 풀이 – 위이너의 귀인 이론
📘 문제 확인
**웨이너(Weiner, 1986)**의 귀인모형에서
①~③에 해당하는 용어를 바르게 연결한 것은?
✅ 정답: ④번 – 과제난이도 / 능력 / 노력
🧠 개념 정리: Weiner의 귀인이론 (Attribution Theory)
귀인이론은 성공과 실패의 원인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동기와 행동이 달라진다고 봄.
주로 3가지 차원으로 원인을 분류함:
차원 | 분류 | 예시 |
통제 소재 | 내부 / 외부 | 노력, 능력 / 운, 과제난이도 |
안정성 | 안정 / 불안정 | 능력, 과제난이도 / 노력, 운 |
통제 가능성 | 가능 / 불가능 | 노력 / 능력, 운 |
🔍 선택지 분석
번호 | 설명 | 정답 여부 | 해 |
① 과제난이도 | 외적, 안정적, 통제 불가 | ✅ | 문제 난이도는 고정된 외부 조건 |
② 능력 | 내적, 안정적, 통제 불가 | ✅ | 타고난 능력은 내가 통제할 수 없음 |
③ 노력 | 내적, 불안정, 통제 가능 | ✅ | 오늘은 열심히, 내일은 게을 수도 있음. 내가 조절 가능 |
🎯 현실 예시로 이해하기
- 과제난이도(①):
“문제가 너무 어려웠어” → 외부 탓, 내 잘못 아님 - 능력(②):
“나는 원래 운동신경이 없어” → 자기 탓이지만 타고난 부분, 바꾸긴 어려움 - 노력(③):
“내가 어제 좀 더 연습했으면 됐을 텐데...” → 내 통제 아래 있음, 노력하면 바뀜!
🧷 핵심 요약 (3줄)
- 웨이너의 귀인모형은 원인을 3차원(소재/안정성/통제성)으로 구분
- 과제난이도는 외적·안정·불가 / 능력은 내적·안정·불가 / 노력은 내적·불안정·가능
- 정답은 ④번: 과제난이도, 능력, 노력
📌 키워드 태그
#웨이너귀인이론 #스포츠심리학기출풀이 #내적귀인 #통제가능성 #건강운동관리사
✅ [스포츠심리학] 14번 문제 풀이 – 바스의 변혁적 리더십
문제 확인
다음 중 **바스(Bass, 1985)**가 제시한 **변혁적 리더십(transformational leadership)**의 구성요인이 아닌 것은?
- 지적 자극 (intellectual stimulation)
- 이상적 영향력 (idealized influence)
- 관계적 투명성 (relational transparency)
- 영감적 동기부여 (inspirational motivation)
✅ 정답: ③ 관계적 투명성 (relational transparency)
해설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 구성원에게 영감을 주고, 자율성과 성장욕구를 자극하며, 이상을 추구하도록 이끄는 리더십 유형이야.
바스는 이 이론을 4가지 구성요소로 제시했어.
- ① 지적 자극: 구성원들이 기존의 방식에 도전하고 창의적 사고를 하게끔 유도함
- ② 이상적 영향력: 리더가 모범이 되어 신뢰와 존경을 받으며, 행동으로 영향력을 행사함
- ④ 영감적 동기부여: 구성원에게 비전과 의미, 열정을 부여하여 동기 향상에 기여함
→ 위 셋은 모두 변혁적 리더십의 정식 구성요소야.
반면 ③ 관계적 투명성은 진성 리더십(authentic leadership) 이론에서 등장하는 개념이야.
자기 감정이나 의도, 가치 등을 구성원과 솔직하게 공유하는 것이 핵심이지.
즉, 변혁적 리더십과는 다른 리더십 이론에 해당되기 때문에 정답은 ③번이 맞아.
📊 표: 변혁적 리더십 4요소 요약
구성요소 | 설명 |
이상적 영향력 (Idealized Influence) | 리더가 모범이 되어 신뢰와 존경을 받음 |
영감적 동기부여 (Inspirational Motivation) | 구성원에게 비전과 열정을 부여 |
지적 자극 (Intellectual Stimulation) | 창의적 사고를 자극하고 기존 관행에 도전하게 함 |
개별적 배려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 구성원의 필요를 이해하고 개별적으로 배려함 |
🧠 현실 예시
- 이상적 영향력: 선수들이 "우리 감독님처럼 되고 싶어요"라고 말할 정도로 리더가 존경받는 상황
- 영감적 동기부여: “우리는 해낼 수 있다”는 팀의 비전을 제시해 모두가 하나 되는 분위기
- 지적 자극: “이번엔 새로운 전술로 실험해보자”라고 말하며 고정관념에 도전하게 유도
- 개별적 배려: 컨디션이 떨어진 선수를 따로 불러서 조용히 챙겨주는 섬세한 리더십
🧷 핵심 요약 (3줄)
- 바스의 변혁적 리더십은 이상적 영향력, 영감적 동기부여, 지적 자극, 개별적 배려로 구성됨
- 관계적 투명성은 진성 리더십 요소이므로 본 이론과 무관
- 정답은 ③번
📌 키워드 태그
#변혁적리더십 #바스리더십이론 #스포츠심리학기출풀이 #지적자극 #영감적동기부여 #건운사심리학
TMI For Meeee
“진성 리더십(authentic leadership)”과 관계지향적 리더십(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은 완전히 동일한 개념은 아님.
하지만 겹치는 부분은 있다고 볼 수 있어. 아래에 개념 차이를 명확히 정리해줄게!
✅ 진성 리더십 (Authentic Leadership)
- **진정성(authenticity)**에 초점
- 리더가 자신의 가치, 감정, 신념, 행동을 일관되게 드러내고
구성원들과 솔직하게 소통함 - 4대 구성요소:
- 자기인식 (Self-awareness)
- 내적 도덕관 (Internalized moral perspective)
- 균형적 정보처리 (Balanced processing)
- 관계적 투명성 (Relational transparency) ← 여기에 '관계' 강조 있음!
👉 즉, “나는 이런 가치관을 가진 사람이야. 그걸 숨기지 않고 드러낼게”라는 방식
✅ 관계지향적 리더십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 구성원과의 관계, 배려, 정서적 교류에 초점
- 구성원의 만족, 복지, 인간관계를 중시하는 리더십 방식
- 피들러의 상황적 리더십 이론 등에서 등장하는 행동유형 분류 중 하나
- 반대말: 과업지향적 리더십(task-oriented leadership)
👉 “사람이 먼저야. 내가 팀원들을 잘 돌보는 게 중요해”라는 접근
🎯 둘의 관계는?
- 진성 리더십은 관계지향적 리더십을 포함할 수 있지만, 그보다 더 깊이 있는 자기 인식과 도덕성에 초점
- 반면, 관계지향적 리더십은 행동 스타일의 분류 중 하나로서, 도덕성이나 자아 정체감은 필수가 아님
🧷 한 줄 요약
진성 리더십은 "관계 + 자기 진정성" 중심,
관계지향적 리더십은 "관계 관리 스타일" 중심
✅ [스포츠심리학] 15번 문제 풀이 – 운동학습의 특징
문제 확인
운동학습의 특징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 일시적인 변화이다.
- 직접적으로 관찰할 수 없다.
- 연습이나 경험의 결과가 아니다.
- 성공 수행을 위한 주의요구를 증가시킨다.
✅ 정답: ② 직접적으로 관찰할 수 없다.
해설
운동학습은 단순한 “운동 수행 능력의 향상”이 아니라,
경험에 의해 비교적 영구적인 수행 능력의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의미해.
즉, 단순히 오늘 컨디션 좋아서 잘한 건 운동학습이 아님!
운동학습은 시간이 지나도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변화를 의미하고,
이 변화는 **행동(수행)**으로만 간접적으로 추론할 수 있음.
① 일시적인 변화이다 → ❌
→ 학습은 지속적인 변화여야지, 일시적 변화는 수행(performance)의 특징임
③ 연습이나 경험의 결과가 아니다 → ❌
→ 학습은 반드시 경험이나 연습을 통해서만 일어남
④ 주의 요구를 증가시킨다 → ❌
→ 학습이 진행되면 오히려 주의 요구는 줄어듦
→ 자동화되면서 주의 자원을 덜 소모하게 됨
📊 표: 운동학습 vs 수행의 차이 정리
구분 | 운동학습 | 운동수행 |
정의 | 비교적 영구적 변화 | 일시적인 수행 능력 |
원인 | 연습, 경험 | 동기, 피로, 긴장 등 |
관찰 가능성 | 직접 관찰 불가, 간접 추론 | 직접 관찰 가능 |
예시 | 서브 자세가 꾸준히 향상됨 | 오늘따라 서브가 잘 됨 |
🧠 현실 예시
- 운동학습 예시:
테니스에서 서브 폼을 계속 연습해 오랜 기간 동안 정확도가 점점 올라감. 연습의 결과로 유지되는 변화. - 운동수행 예시:
오늘만 서브가 잘 들어감. 내일 다시 안 될 수도 있음. 컨디션 탓일 수 있음.
🧷 핵심 요약 (3줄)
- 운동학습은 직접 관찰할 수 없고, 행동 변화를 통해 간접적으로 추론함
- 일시적 변화나 주의 증가 등은 운동수행의 특징
- 정답은 ②번
📌 키워드 태그
#운동학습특징 #운동수행vs학습 #스포츠심리학기출풀이 #건강운동관리사
✅ [스포츠심리학] 16번 문제 풀이 – 운동학습에서 전이의 특징
문제 확인
운동학습에서 **전이(transfer)**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 인지 혼란은 정적 전이의 원인이다.
- 연습 상황과 전이 상황이 유사할수록 부정전이가 많이 발생한다.
- 비대칭적 전이인 경우 어느 쪽 사지를 먼저 연습하든 전이량의 차이는 없다.
- 맥락간섭을 많이 받은 집단의 전이량은 높게 나타난다.
✅ 정답: ④번
해설
운동학습에서 **전이(transfer)**는 한 과제의 학습이 다른 과제의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말해.
이때 맥락간섭(Contextual Interference) 이론은 전이와 밀접하게 연관돼.
맥락간섭이란 다양한 과제를 무작위로 연습하거나, 과제 간 간섭이 발생하도록 구성된 연습 환경을 말함.
간섭이 심할수록 연습 중 성과는 낮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학습 효과와 전이 효과는 더 높다는 게 핵심.
④번 문장은 이 이론의 결과를 설명한 문장으로, 옳은 설명이야.
나머지 선택지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오답이야:
- ① 인지 혼란은 **부정전이(negative transfer)**의 원인이지, 정적 전이의 원인이 아님.
- ② 연습 상황과 전이 상황이 유사할수록 정적 전이가 증가함. 오히려 유사하지 않을 때 부정전이가 발생.
- ③ 비대칭 전이에서는 어느 쪽을 먼저 연습하느냐에 따라 효과 차이가 있음. 예: 오른손잡이가 왼손보다 먼저 배울 때 더 유리함.
📊 표: 전이의 유형 정리
전이 유형 | 설명 | 예시 |
정적 전이 | 한 기술이 다른 기술에 긍정적 영향 | 테니스와 배드민턴의 서브 |
부정 전이 | 한 기술이 다른 기술에 방해 | 농구 슛과 야구 투구 혼합 시 |
무 전이 | 영향 없음 | 수영과 체스 |
비대칭 전이 | 양측 기술 학습 시, 한쪽 방향이 더 효과적 | 오른손 연습이 왼손에 더 도움 됨 |
🧠 현실 예시
- 맥락간섭이 높은 경우:
농구 연습에서 슛, 패스, 드리블을 섞어서 연습
→ 연습 성과는 떨어질 수 있지만, 실제 경기에서의 전이력은 뛰어남 - 맥락간섭이 낮은 경우:
하루 종일 드리블만 반복
→ 연습 때는 잘하지만, 실제 게임 전이는 떨어질 수 있음
🧷 핵심 요약 (3줄)
- 맥락간섭이 높은 연습은 전이 효과를 증가시킴
- 전이란 한 과제가 다른 과제에 주는 영향을 의미함
- 정답은 ④번
📌 키워드 태그
#운동학습전이 #맥락간섭이론 #스포츠심리학기출풀이 #부정전이 #비대칭전이 #건강운동관리사
✅ [스포츠심리학] 17번 문제 풀이 – 운동선수의 정서 프로파일
문제 확인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모형은 무엇인가?
✅ 정답: ② 정신건강 모형 (Mental Health Model)
해설
이 문제는 운동선수의 정서 상태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비교하는 모델을 묻고 있어.
여기서 제시된 긴장, 우울, 분노, 피로, 혼동, 활력은 바로 **POMS(Profile of Mood States)**에서 측정하는 대표 항목들이야.
바로 이 POMS의 결과를 바탕으로 만든 이론이 **Morgan의 정신건강 모형(Mental Health Model)**이야.
- 우수 선수일수록 활력이 높고, 나머지 부정적 기분 상태는 낮음
- 이 정서 그래프는 얼핏 보면 활력만 튀어나와서 빙산처럼 생겼다 해서 **"빙산형 프로파일"**이라고 부름
즉, 보기에서 말한 모든 설명은 정신건강 모형에 해당함.
반면, 나머지 보기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오답이야:
- ① 빅5 모형: 성격 5요인 이론 (개방성, 성실성, 외향성, 친화성, 신경성) → 정서 상태와는 다름
- ③ 정서의 원형 모형: 감정을 축 기준으로 분류한 모형 (예: 각성/쾌감 축)
- ④ 적정기능 모형(ZOF): 운동 수행과 관련된 최적의 각성 범위를 찾는 모형 → 이건 경기 중 컨디션 조절과 관련
📊 표: Morgan의 정신건강 모형(POMS 기반)
정서 요인 | 우수선의 특성 | 하위선수 또는 비운동자의 특성 |
긴장 | 낮음 | 높음 |
우울 | 낮음 | 높음 |
분노 | 낮음 | 높음 |
피로 | 낮음 | 높음 |
혼동 | 낮음 | 높음 |
활력 | 높음 | 낮음 |
👉 활력만 봉긋 솟아 있는 모습 = 빙산형(iceberg) 프로파일
🧠 현실 예시
- 시합 전, 우수선수는 평온한 표정에 활력은 넘치고, 짜증이나 분노는 거의 없음
- 반대로 비선수나 심리적 준비가 안 된 선수는 짜증, 피로, 초조함이 표정과 말에서 느껴짐
→ POMS 설문으로 측정하면 딱 드러남
🧷 핵심 요약 (3줄)
- 정신건강 모형은 POMS 설문을 기반으로 정서 상태를 평가함
- 우수선수는 빙산형 정서 프로파일을 보이며 활력이 높고 부정 정서는 낮음
- 정답은 ② 정신건강 모형
📌 키워드 태그
#정신건강모형 #빙산형프로파일 #POMS설문 #스포츠심리학기출풀이 #건강운동관리사
TMI For meeeee
✅ 빅5 모형 (Big Five Model)
개요: 성격을 다섯 가지 주요 요인으로 설명하는 성격심리학의 대표적 이론
요인 | 설명 | 특징 |
개방성 (Openness) | 창의성, 호기심, 새로운 경험에 대한 수용 | 예술성, 상상력 |
성실성 (Conscientiousness) | 책임감, 조직력, 자기 통제 | 계획형 인간 |
외향성 (Extraversion) | 사교성, 활기, 긍정적 정서 | 리더십과 관련 |
우호성 (Agreeableness) | 친절함, 협력, 타인에 대한 신뢰 | 협동적 태도 |
신경성 (Neuroticism) | 정서적 불안정성, 스트레스 민감도 | 불안, 우울 경향 |
✔ 운동 분야에서는 선수 성향 분석, 팀 빌딩, 멘탈 트레이닝에 활용
✖ POMS처럼 정서 상태를 시간 단위로 측정하지 않음 → "상태(state)"가 아니라 "성격(trait)"
✅ 정서의 원형 모형 (Circumplex Model of Affect)
개요: 정서(감정)를 두 가지 축으로 정리한 이원적 감정 분류 이론
→ Russell(1980)에 의해 제안
- 축1: 각성 수준 (arousal) → 졸림 ↔ 각성
- 축2: 쾌/불쾌 감정 (valence) → 불쾌 ↔ 쾌적
이 두 축의 조합으로 다양한 감정이 위치함:
감정 위치 | 예시 |
고각성 + 쾌감 | 기쁨, 흥분 |
고각성 + 불쾌 | 분노, 불안 |
저각성 + 쾌감 | 평온, 이완 |
저각성 + 불쾌 | 우울, 무기력 |
✔ 감정 상태를 시각적으로 분류할 수 있어 직관적
✔ 운동 중 감정 변화 분석이나 경기 전 컨디션 평가 등에 응용 가능
✖ POMS처럼 구체적인 항목 제공은 없음
✅ 적정기능 모형 (Zone of Optimal Functioning Model, ZOF)
개요: 개인마다 최적의 정서 상태에서 최고 수행이 나온다는 이론
→ Hanin(1980년대 제안)
- 핵심: 모든 선수가 같은 감정 상태에서 최고 수행을 보이는 건 아님!
- 예를 들어 A선수는 “차분한 상태”에서, B선수는 “흥분된 상태”에서 더 잘할 수 있음
- 개인 맞춤형 심리 상태 조절이 핵심 포인트
✔ 실전 적용도 높고, 심리 트레이닝에 많이 쓰임
✔ 나의 ZOF를 찾기 위해 심리 프로파일링(POMS 등)을 활용할 수 있음
✖ “일반적 패턴”이 아니라 개인차 강조
🎯 세 모형 핵심 비교 요약
항목 | 빅5 모형 | 정서의 원형 모형 | 적정 기능 모형 |
목적 | 성격 특성 분류 | 정서 상태 분류 | 개인 최적 수행 상태 제시 |
적용 범위 | 전반적 성향 분석 | 감정 변화 시각화 | 경기 전 컨디션 조절 |
측정 방식 | 질문지(자기보고) | 감정 축 시각화 | 개인별 최적 감정 영역 추정 |
관련 이론 | 성격심리학 | 감정이론 | 수행심리학 |
실전 응용 | 팀 빌딩, 리더십 | 심리 컨디션 체크 | 경기 루틴 세팅, 심리 트레이닝 |
✅ 정답: ④ 체계적 둔감화 (Systematic Desensitization)
해설
이 설명은 불안을 단계적으로 줄이는 대표적 행동치료 기법인
**체계적 둔감화(systematic desensitization)**를 말하는 전형적인 절차야.
핵심은 다음과 같아:
- 먼저 신체 이완을 충분히 훈련한다.
- 다음으로 **불안을 유발하는 자극 목록(불안 위계)**을 작성한다.
- 가장 약한 불안 유발 자극부터 상상하며 이완 상태를 유지한다.
- 불안이 느껴지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고,
- 가장 강한 자극까지 점진적으로 적응한다.
이 과정을 반복하며 불안 자극에 대한 민감도를 줄이는 게 목표야.
오답 해설
- ① 자기암시 (self-talk):
스스로에게 긍정적인 말을 반복하며 불안을 줄이는 방법.
예: “나는 침착할 수 있어.” → 인지적 전략 - ② 자생훈련 (autogenic training):
자기 암시를 활용한 심신 이완법.
“팔이 따뜻해진다…” 같은 문장을 반복하며 이완 유도.
이완 중심이지만 단계적 노출은 없음 - ③ 인지재구성 (cognitive restructuring):
부정적 자동 사고를 인식하고 긍정적 사고로 바꾸는 전략.
사고 교정 중심, 노출이나 이완과는 다름
📊 불안 감소 기법 4종 비교 요약
기법명 | 핵심 전략 | 특징 |
자기암시 | 긍정적 자기 언어 | 불안 완화 + 자신감 고취 |
자생훈련 | 자기 암시 + 이완 | 체온·무게감 암시 사용 |
인지재구성 | 사고 교정 | 부정 사고 → 긍정 사고 전환 |
체계적 둔감화 | 이완 + 단계적 자극 노출 | 점진적 노출 통해 불안 감소 |
🧠 현실 예시
- 무대 공포증이 있는 운동선수에게 체계적 둔감화를 적용한다면:
1단계: 근육 이완법 훈련
2단계: “관중 한 명 보기” → “관중 100명 앞에서 말하기”까지 목록 작성
3~5단계: 한 단계씩 상상 노출 + 이완 적용 반복
→ 실제 경기장 긴장도 훨씬 감소함
🧷 핵심 요약 (3줄)
- 보기의 설명은 체계적 둔감화의 단계적 절차를 그대로 따름
- 불안 유발 자극에 대해 점진적 노출 + 이완으로 민감도를 낮춤
- 정답은 ④번
📌 키워드 태그
#체계적둔감화 #불안감소기법 #스포츠심리학기출풀이 #점진적이완 #건강운동관리사
✅ [스포츠심리학] 19번 문제 풀이 – 운동학습의 피드백 개념
문제 확인
운동학습에서 피드백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 내재 피드백은 정보 유형에 따라 결과지식과 수행지식으로 나뉜다.
- 보강 피드백은 학습자 내부의 감각체계에서 제공된다.
- 내재 피드백은 학습자의 외부에서 제공된다.
- 보강 피드백은 운동지속 동기를 증가시킨다.
✅ 정답: ④ 보강 피드백은 운동지속 동기를 증가시킨다.
해설
운동학습에서 피드백은 수행자의 운동 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정보다.
크게 내재 피드백과 보강 피드백으로 나뉘는데,
정답인 ④번은 보강 피드백의 긍정적 효과 중 하나를 정확하게 설명하고 있어.
보강 피드백(augmented feedback)은 외부에서 제공되는 정보로,
→ 운동 수행을 명확히 이해하게 해주고
→ **동기 유발(motivation)**에도 크게 작용함.
예: “지금 자세 아주 좋아요!” 같은 코치의 말은 피로해도 계속 하게 만드는 힘이 있어.
오답 해설
- ❌ **결과지식(KR)**과 **수행지식(KP)**은 보강 피드백의 하위 유형임.
내재 피드백은 **감각기관(눈, 귀, 근감각)**을 통한 피드백이지, 정보 유형 분류 아님. - ❌ 보강 피드백은 외부 제공 정보임. 내부 감각은 내재 피드백의 영역.
- ❌ 내재 피드백은 운동자 자신의 감각체계를 통해 자동으로 수용하는 정보임.
외부에서 제공되지 않음.
📊 표: 내재 피드백 vs 보강 피드백
구분 | 내재 피드백 | 보강 피드백 |
정보 출처 | 학습자 내부 감각 | 외부 제공자(코치, 장비) |
예시 | 눈으로 폼 확인, 근육 감각 | 코치의 말, 영상 분석 |
하위 유형 | 없음 | 결과지식(KR), 수행지식(KP) |
동기 유발 | 낮음 또는 간접적 | 높음 (즉각적 효과) |
🧠 현실 예시
- 내재 피드백:
체조 선수가 착지하면서 발바닥으로 균형 흐트러짐을 느끼는 것
→ 시각 + 고유수용감각 기반 - 보강 피드백:
트레이너가 “엉덩이 더 조여줘요”라고 말해주는 것
→ 외부에서 전달된 정보이자 동기 자극
🧷 핵심 요약 (3줄)
- 보강 피드백은 외부에서 제공되며, 운동 지속 의욕을 증가시킨다.
- 내재 피드백은 학습자 자신의 감각기관으로부터 수용되는 정보
- 정답은 ④번
📌 키워드 태그
#보강피드백 #내재피드백 #운동학습기출풀이 #결과지식 #수행지식 #스포츠심리학
✅ [스포츠심리학] 20번 문제 풀이 – 반응시간 개념 이해
문제 확인
운동수행에서 **반응시간(reaction time)**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 심리적 불응기는 이중 자극에 대한 반응시간 지연현상을 의미한다.
- 자극–반응 대안수가 증가하면 선택반응시간은 감소한다.
- 자극–반응 적합성이 증가하면 선택반응시간은 증가한다.
- 단순반응시간은 두 개 이상의 자극에 대한 반응시간을 측정한 것이다.
✅ 정답: ①번
해설
①번은 심리적 불응기(Psychological Refractory Period, PRP) 개념을 설명하고 있어.
PRP는 이중 자극 상황에서 첫 자극에 반응하고 있는 동안, 두 번째 자극에 대한 반응이 지연되는 현상이야.
즉, 하나의 반응이 끝나야 다음 반응을 처리할 수 있다는 인지적 병목 현상을 설명하는 개념이지.
예를 들어, 축구 경기에서 수비수가 오른쪽으로 속였는데 그 후 왼쪽으로 진짜 방향을 바꾸면,
→ 수비는 첫 자극에 반응한 상태라 두 번째 자극에 즉시 반응 못하고 반 박자 늦음
→ 이게 PRP 현상임.
나머지 보기 해설은 다음과 같아:
② 자극–반응 대안수가 많아지면 선택반응시간은 증가함 → ❌
→ 히크(Hick)의 법칙에 따르면 선택지가 많아질수록 반응시간은 느려짐
③ 자극–반응 적합성이 높을수록 반응시간은 짧아짐 → ❌
→ 예: 좌측 자극 → 왼손 반응처럼 자연스러운 매칭일수록 빠름
④ 단순반응시간은 하나의 자극에 하나의 반응만 있는 상황 → ❌
→ 둘 이상의 자극과 반응이 있으면 선택반응시간임
📊 반응시간 개념 정리표
구분 | 설명 | 예시 |
단순반응시간 | 하나의 자극, 하나의 반응 | 불빛 켜지면 버튼 누르기 |
선택반응시간 | 여러 자극, 각기 다른 반응 | 초록불 → 앞으로 / 빨간불 → 멈춤 |
심리적 불응기(PRP) | 두 자극 연속 시, 2번째 반응 지연 | 농구 페인트 페이크 후 진짜 방향 전환 |
🧠 현실 예시
- PRP 예시:
탁구에서 상대가 회전을 주는 척하다가 방향을 급히 바꾸면,
→ 내 뇌는 첫 자극 반응 처리 중이라 두 번째 진짜 방향에 반응이 늦어짐
→ 뒷북 대응하게 되는 원인이 됨
🧷 핵심 요약 (3줄)
- 심리적 불응기(PRP)는 두 자극 연속 상황에서 두 번째 자극 반응 지연을 말함
- 자극-반응 적합성 높을수록 반응 빠름, 대안 많을수록 느림
- 정답은 ①번
📌 키워드 태그
#심리적불응기 #반응시간 #PRP #Hick의법칙 #스포츠심리학기출풀이 #건강운동관리사
'🔴건강운동관리사🔴 > 💯22년도 기출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건강운동관리사 스포츠심리학 1-10번 문제풀이 및 개념정리 (0) | 2025.04.24 |
---|---|
2022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생리학A 11~20번 기출문제풀이 (feat.둔근해) (3) | 2023.01.15 |
2022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생리학A 1~10번 기출문제풀이 (feat.둔근해) (1) | 2023.01.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