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foMemo🟣/💡정보글

[검량사] 용적톤수와 중량톤수

by 둔근해 2022. 1. 16.
반응형

 

1.용적톤수:Space Tonnage

1)총톤수(Gross Tonnage)

선박 내부의 총용적으로 선박 갑판 아래의 적량과 갑판위의 밀폐된 장소의 적량을 합친것으로 선박의 안전과 위생에 사용되는 부분의 적량을 제외한 부분을 말한다. 총톤수는 관세, 등록세, 도선료 등 과제와 수수료, 각종 통계의 산출기준이 된다.

2)순톤수(Net Tonnage)

여객이나 화물의 수송에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용적으로, 총톤수에서 선박의 운항에 직접 이용되는 기관실, 선원실, 해도실, 밸러스트 탱크 등의 적량을 공제한 부분을 말한다. 순톤수는 선주나 용선자의 상행위와 연관되므로 항만세, 톤세, 운하통과료, 항만시설이용료등의 모든 세금과 수수료의 산출기준이 된다.

3)재화용적톤수(MT:Measurement Tonnage)

선박의 화물적재능력을 용적톤으로 환산한것으로, 선박의 각 창(Hold)의 용적과 특수화물창고 등의 적량을 말한다.

 

2.중량톤수:Weight Tonnage

1)배수톤수(Displacement Tonnage)

선박의 중량은 선체의 수면하 부분의 배수용적에 상당하는 물의 중량과 같은데, 이물의 중량을 배수톤수라고 한다. 화물의 적재상태에 따라서 배수량이 달라지므로 보통 만재상태에 있어서의 선체의 중량을 배수톤수라고 말한다.

2)적화중량톤수(DWT:Dead Weight Tonnage):재화중량톤수

화물선의 최대적재능력을 표시하는 기준으로 만선시의 배수톤수에서 경하배수톤수를 공제한것을 의미한다. 주로 롱톤을 많이 사용한다.

3)운하톤수(Canal Tonnage)

운하톤수는 수에즈운하나 파나마운하에서 통항료 산정의 위한 측정규정을 말한다.

 

이러한들 선박의 크기를 이야기할 때는 선박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사용되는 톤수를 서로 비교해야한다. 일반적으로 화물선은 재화중량톤수(DWT), 여객선은 총톤수(G/T), 군함은 배수톤수(Disp)로 표현하는데 만약 선종에 관계없이 단순히 톤수로만 비교하면 큰 오류를 범할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