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복원성:Stability :선박의 복원성 또는 복원력이란, 선박이 물 위에 떠 있는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힘을 받아서 경사하려고 할 때의 저항 또는 경사한 상태에서 그 외력을 제거하였을 때 원래의 상태로 돌아오려는 힘을 말한다.
2.배수량:Displacement: W :선박이 물 위에 떠 있을 때 그 선박이 배제한 물의 무게만큼 부력을 갖는다. 선박이 수면하의 잠겨잇는 부분의 용적이 그 물의 밀도와 곱한 것을 배수량이라고 한다.
3.무게중심:center of Gravity:G : 선체의 전체 중량이 한 점에 모여 있다고 생각할 수 있는 점.
4.부심:center of buoyancy:B:L.C.B : 부심은 수면하의 선체 용적의 기하학적 중심점을 말한다.
5.부력과 중력 : 물에 떠있는 선체에서는 중력이 하방으로 작용하고, 부력이 상방으로 작용하는데 두 힘의 크기는 같다.
6.부면심:Longitudinal center of Floation:LCF:F : 배가 똑바로 떠 있을때 부력의 작용선과 경사된 때 부력의 작용선이 만나는 점.선체가 등흘수로 떠 있다가 외력이나 자체의 중량이동으로 트림이 발생하면 원래의 수선면의 교차선은 반드시 어떠한 점을 통과하는데 이 점을 부면심이라한다. 부면심의 위치는 기하학적으로 수선 면적의 중심이며 선박의 종경사에 있어서 시소의 축과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에 경사의 중심 tripping center라고도 한다.
7.종메타센타:Longitudianl metacenter :M:경심 : 선박이 외력의 작용으로 경사했을 때 이동한 부심 B‵에서 세운 수직선과 선박의 중심선이 만나는 점을 말한다.
경심의 이해 순서 :선박의 중량이 중력방향, 즉, 가라앉는 방향으로 작용할 때 그 합력점을 선박의 무게중심이라하고 선체의 구조 및 화물의 배치에 따라 결정되고 중량의 이동이 없는 한 주어진 적하 상태에서는 한점에 고정된다. 중력은 가라앉으려는 힘을 말하며 반대로 부력은 뜨려는 힘을 말한다. 하지만 선박이 외력에 의하여 어떤 각 만큼 경사지게 된다면 여기서 수선하 면적이 달라지게 되므로 부심이 변경된다. 변경된 부심에서 수면에 수직방향선으로 선체의 중심선과의 교점을 경심이라 부른다.
8.매 cm트림 모멘트 : Moment to change Trim 1cm : MCT, Mcm : 선박이 트림 1cm를 생기게 하는데 필요한 화물의 이동 모멘트이다. 적화 척도나 배수량 등곡선도에서 구할 수 있다.
9.매 cm 배수톤수 : Tons per 1cm immersion : TPC, Tcm : 선박의 평균 흘수 1cm를 변화시키는데 필요한 중량 톤수
1)해수밀도 차이에 대한 흘수의 변화
일정한 배수량의 선박이 비중이 다른곳에 가면 흘수에 변화가 생긴다.
부심이 달라 이러한 변화가 일어남.
'🟣InfoMemo🟣 > 💡정보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검량사] 배수량 등곡선도의 활용 (0) | 2022.01.18 |
---|---|
[검량사] 흘수 드래프트 서베이 (Draft survey) (0) | 2022.01.16 |
[검량사] 용적톤수와 중량톤수 (0) | 2022.01.16 |
[검량사] 복원력의 요소 (0) | 2022.01.16 |
[검량사] 선박선체 용어 (0) | 2022.01.16 |
[검량사] 선박의 종류와 구조 (0) | 2022.01.16 |
[검량사] IMDG code : 국제해상위험물규칙 (0) | 2022.01.16 |
[검량사] 컨테이너 규격 (0) | 2022.01.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