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포츠심리학

5. 운동심리학

by 둔근해 2025. 3. 20.
반응형

1.         운동의 심리적 효과

01)      운동과 성격

      성격에 따라 운동수행과 실천에 차이를 보임

      운동을 꾸준히 하면 A형행동(예민/부정적)이 감소됨.

02)      운동의 심리생리적 효과

      불안 : 유산소 운동이 효과적

      우울 : /무산소 운동 모두 효과적

      기분 : 스포츠선수와 마찬가지로 기분이 긍정적으로 바뀜.

      자기개념(자기존중감) : /무산소 관계없이 자기 자신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으로 바뀜. 단기적으로는 무산소 운동이 좋음.

      인지기능 : 인지개선의 효과가 있음.

      부정적인 영향 : 운동중독(=운동의존성:금단/지속/시간/통제상실/대인관계갈등)/과훈련 탈지/식이장애/스테로이드 남용

03)       신체활동의 심리 측정

      운동강도의 심리적 측정 : RPE

      신체활동량의 심리적 측정 : 질문지/인터뷰

      운동정서 측정 : POMS(기분상태검사지)

04)      심리적 효과의 가설

      열 발생 가설 체온상승/근육이완/불안감소

      모노아민 가설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 =>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의 분비

      뇌 변화 가설 대뇌 피질의 혈관 밀도 상승, 뇌 구조에 변화

      생리적 강인함 가설 스트레스를 받고 견뎌 대처능력이 좋아짐

      사회심리적 가설 기대를 갖고 운동을 함.

 

2.         운동심리이론

01)      합리적 행동 이론

      개인의 운동하려는 의도/의지가 행동을 유도함.

i. 의도 = 행동에 대한 태도 + 주관적 규범

ii.     내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태도와 주변 사람들의 기대와 압박을 받는 것이 주관적 규범.

      의사결정 측면에서 행동을 예측

      태도 : 특정 행동의 실천 결과에 대한 신념

i. 긍정적인 믿음이 있으면 태도가 긍정적

ii.     부정적인 믿음이 있으면 태도가 부정적

      주관적 규범 : 타인의 기대에 대한 인식을 포함

02)      계획된 행동 이론

      합리적 행동 이론에서 행동통제인식(능력대 대한 믿음)개념추가. 행동통제인식이란 운동행동을 방해하는 요인(친구/)을 통제할 수 있는 자신감.  태도와 자신감 구별하기.

03)      건강신념모형

      질병의 위험성 인식이 건강행동의 실천에 직접적인 영향.

04)      자기 효능감 이론(반두라의 자기효능감 원천)

      과거의 수행(성취경험)

      간접경험(대리경험)

      언어적 설득

      신체 및 정서 상태

05)      변화단계모형(통합이론)

     자기효능감 : 단계가 올라갈수록 자기효능감이 올라가며 4가지 효능감 이론 원천을 동원시킴.

     변화의 과정

i. 체험적 과정 : 느낌, 생각, 태도를 전환시켜 다음 단계로 가는 과정

ii.     행동적 과정 : 환경을 변화시켜 행동을 바꿈

iii.    자기효능감 : 단계가 올라갈수록 자기효능감이 올라가며 4가지 원천을 동원시킴.

      의사결정 균형 : 손실과 혜택을 비교/평가하여

      단계는 5단계

i. 계획전단계(무관심) : 6개월 이내 운동 시작 의도/의지 없음

ii.     계획단계(관심) : 6개월 이내 운동 시작 의도/의지 있음

iii.    준비단계 : 1개월 내에 운동 시작 의지/의도 있음

iv.    행동(실천)단계 : 현재 운동 하고 있으나 6개월이 안됨.

v.     유지단계 : 6개월 이상 운동상태

06)      사회생태이론

      이전의 이론은 개인적인 것을 말한다면 사회적, 환경적 요인을 강조하는 이론.

      운동 실천과 지속을 위해 개인, 지역사회,  과 책임이 모두 중요.

 

 

3.         운동실천중재전략

01)      운동실천의 영향 요인

      개인요인

      환경요인

      운동특성요인

02)      지도자, 집단, 문화의 영향

      지도자

      집단응집력(Caron)

     사회적지지

i. 도구적 지지 : 웨이트트레이닝 보조역할, 헬스장까지 태워다주기 등 실질적인 행동을 지지 제공.

ii.     정서적 지지 : 격려, 걱정

iii.    정보적 지지 : 운동방법 안내, 조언, 피드백

iv.    동반적 지지 : 같이 운동을 함. 동반자 역할

v.     비교확인 지지 : 다른 사람과 비교를 통해 나의 감정이 정상이라는게 확인시켜줌.

      문화

      청소년들의 운동실천 환경조성 방법

03)      이론에 근거한 전략

      자결성 이론 (개인의 동기와 관련)

      자기효능감 이론

      변화단계이론

i. 무관심단계 : 운동혜택 있다고 인식시켜주기.

ii.     관심단계 : 운동이 중요하다고, 혜택이 더 있다고 강조

iii.    준비단계 :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해주기

iv.    실천단계 : 계획수립해주기, 목표설정

v.     유지단계 : 다른 사람의 멘토가 되어보기.

04)      행동수정 및 인지전략

     행동수정전략

i. 안내판, 포스터 등 프롬프트 (단서) 사용하기.

     인지전략

i. 목표 설정 : 스스로 목표설정.

ii.     내적 집중외적 집중 : 트레드밀에 티비 설치되어 있음. 외적 집중.

      의사결정전략 : 혜택과 손실 표 만들기.

      내적동기전략 : 의미와 목적을 찾아 내적동기를 높임

      참여자와 지도자 사이 관계 변화 촉진전략

i. 경청, 운동계획 공유, 비밀유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