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성격
01) 성격의 개념과 이론
① 성격의 특성
i. 독특성 (같은 상황 개개인 다름)
ii. 일관성 (시간,상황 바껴도 잘안변함)
iii. 경향성 (반응방식)
② 성격의 구조
i. 심리적 핵
a) 내부 지향적, 자극에 변화x
b) 진정한 자신의 모습, 고유의 성격
ii. 전형적 반응
a) 외부 지향적, 자극 변화O or X
b) 환경에 적응하는 학습된 양식
c) 심리적 핵의 객관적인 척도
d) 개인이 환경과 상호작용으로 학습된 통상적인 속성
iii. 역할 행동
a) 외부 지향적, 자극 변화가 가장 쉬움.
b) 환경을 인식, 역할수행 (사원,팀장)
c) 환경에 반응, 주위환경에 민감.
③ 성격 구조의 도식적 관점
i. 외인성
ii. 내인성
iii. 역동성
iv. 일관성
02) 성격의 이론
① 정신(심리)역동이론 (프로이트)
i. 원초아,
ii. 초자아
iii. 자아
② 사회학습이론 (반듀라)
i. 관찰, 학습, 모방
③ 체격(체형)이론
i. 내배엽/외배엽/중배엽
④ 특성이론
i. 외향성/내향성
⑤ 욕구위계이론 (메슬로우)
i. 생리/안전/사랑/존중/자아실현의 욕구
03) 성격의 측정
① 질문지 측정법
i. 다면적 인성검사/카스텔 성격요인검사16PF/선수수행프로파일(강점,약점)/MBTI
② 투사법
i. 로르샤흐 잉크반점 검사/주제통각 검사
③ 면접법
04) 성격과 경기력의 관계
① 우수한 선수의 성격 빙산형. 측정도구로 기분상태 프로파일인 (POMS) 사용. - 활력(용기) 요소가 큼.
② 스포츠참가-> 바람직한 성격 특성의 형성도움O , 보장X
③ 운동선수vs일반인 다른 특정 성격 특성 X
④ 성격 파악->성격구조 이해
⑤ 규칙적인 운동->자아개념, 정서정립에 긍정적인 영향
2. 정서와 시합불안
01) 재미
① 재미 - 보상이나 목적에 기대하지 않고 활동 자체만으로 긍정적 심리상태.
i. 주관적/즉각적/즐거움/유능감/
② 재미의 요인 (3)
i. 개인 (개인의 능력과 경험),
ii. 상황 (경쟁,성취과정,인정,기회)
iii. 주요타자 (가족,친구 피드백)
02) 몰입
① 상태(칙센트미하이) 기술과 도전과제난이도의 균형이 중요.
i. 몰입(Flow Experience)/절정의 체험(Peak Experience)/무아경(Rapture)/ 황홀경(Ecstasy) 표현.
ii. 최상의 수행을 할 때 경험하는 심리적
② 몰입의 9가지 차원
i. 도전-기술 균형 (도전수준과 보유기술의 균형이 모두 높을 때 몰입을 증가시킴.)
ii. 행동-인식 일치 (나의 행동과 생각이 일치)
iii. 명확한 목표 (명확한 목표가 무엇인지 알고있음)
iv. 구체적 피드백
v. 과제집중
vi. 통제감 (나의 통제 없이도 나의 행동이 제어/통제됨.)
vii. 자의식 상실 (생각(=자의식)과 동작이 하나가 되어 자의식이 없어짐. 생각없이 동작이 통째로 나옴. )
viii. 변형된 시간 감각 (시간이 빠르게/느리게 느껴짐.)
ix. 자기목적적 경험 (행동자체가 목적이 됨.)
03) 정서
① 정서 - 기분/느낌/감정
② 정서측정방법 - 자기보고식 방법(Check List)
04) 불안
① 각성 - (흥분함/동기유발/기민함/깨어남/) / 랜더스와 보우처
② 스트레스 - 맥그래스 : 환경의 요구와 각자의 능력 간 불균형에서 초래됨.
③ 맥그래스의 스트레스 과정 1~4단계
i. 상황적 요구 (3m 높이뛰기를 해라)
ii. 개인의 상황지각 (헉 나 2.5m밖에 못하는데)
iii. 반응 (긴장되고 손이 떨림)
iv. 행동 (뛰고 난 후 성공하거나 실패)
a) 위의 과정은 반복해서 일어남.
④ 불안 (각성 개념과 상호 호환)
i. 특성불안 (선천적 타고난 기질. 변하지않음.)
ii. 상태불안 (일시적 상황, 객관적인 환경적 요구로부터)
a) 인지적 상태불안 (일어날 일과 자신의 능력에 대한 상대적인 비교에서 비롯)
b) 신체적 상태불안 (맥박상승, 손에 땀 등 생리적 반응)
iii. 경쟁불안 (시합상황, 선수가 느끼는 불안정)
⑤ 불안의 측정 방법(척도)
i. 생리적 불안(심전도,근전도,뇌전도,뇌자도)
ii. 행동적 불안(특정행동,증상 기록)
iii. 심리적 불안(자기진술,자기보고식, 자기평가기입법, 상태-특성불안척도STAI , 스포츠경쟁불안척도CSAI-2)
a) Martens 척도 SCAT : 신체불안과 특성불안
b) 스필버거 척도 : 상태불안과 특성불안으로 나눔.
05) 스트레스와 탈진
① 스트레스 유형
i. 유쾌스트레스 (상쾌한 자극, 발달에 긍정적)
ii. 불쾌스트레스 (조정이 불가능, 면역체계 약화 질병 발전)
② 론 스미스의 ‘인지 스트레스 모형’
i. 개인 스스로의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ii. 인지기술 : 인지재구성 , 자기암시
iii. 이완기술 : 신체이완, 심호흡
a) 개인의 생리/심리/행동에 관련됨.
iv. 스트레스 관리기술의 기초를 제공하는 모형.
③ 탈진 – 정서 고갈/비인격화/타인과의 괴리감/성취감 저하
06) 경쟁불안과 경기력 관계 이론
① 추동(욕구)이론
i. 운동수행은 각성과 불안의 비례로 증가.
② 역U자가설(적정수준이론)
i. 종목별 (각성수준1~5) 종목별로 최상의 각성수준이 존재함.
ii. 기술의 복잡성과 보유기술의 수준에 따라 적정 각성수준이 별도로 존재함.
③ 최적 수행지역(적정기능구역:ZOF)
i. 개개인의 적정 고유 불안수준이 존재.
ii. 종목별 아닌 개개인 잘 파악 각성수준 적절하게 해주면 운동수행능력 최상
④ 다차원적 불안이론
i. 인지불안 : 반비례형 (불유쾌한 감정과 인식은 수행력에 부정적)
ii. 신체불안 : 역 U자형 (상황,조건에 따라)
⑤ 격변이론(카타르스트로피)
i. 역U자가 아닌, 불안이 과도하게 증가되면 어느 시점에서 운동수행력 크고 급진적인 감소 일어남.
⑥ 반전(전환)이론
i. 낮은 각성 : 지루함과 편안함
ii. 높은 각성 : 흥분과 불안
iii. 각성과 정서는 각성을 인지적으로 어떻게 해석하는가에 따라 수행력이 결정됨.
07) 불안 , 스트레스 관리 기법
① 바이오피드백 (신체)
② 점진적 이완훈련 (신체)
③ 호흡조절법 (신체)
④ 명상 (인지)
⑤ 자생훈련법 (인지)
⑥ 인지재구성 기법 (인지)
3. 동기
01) 동기의 이해
① 개념 : 어떤 행동을 계속 or 그만두게 하는 심리적 원동력
② 동기의 관점
i. 방향과 강도
a) 노력의 방향 : 어떤 활동을 추구 OR 회피한다
b) 노력의 강도 : 노력을 많이OR하지않는다.
ii. 개인/환경/개인+환경
a) 특성지향관점 (관심있는 종목)
b) 상황지향관점 (2군에서 1군)
c) 상호작용관점 (개인:흥미,목표,성격/상황:리더스타일,감독,선배,시설,팀의성적)
02) 동기유발의 기능과 종류
① 동기유발의 기능
i. 활성적
ii. 지향적
iii. 조절적
iv. 강화적
② 동기유발의 종류
i. 외적 동기유발 (외적인 보상)
a) 외적규제
b) 의무감규제
c) 확인규제
ii. 내적 동기유발 (스스로 활동 참여)
a) 내적규제
b) 지식습득
c) 과제성취
d) 감각체혐
③ 동기유발의 전략 (TARGET 전략)
i. Task : 도전감
ii. Authority : 의사결정에 참여
iii. Recongnition : 개인 노력을 인정
iv. Grouping : 모둠을 형성
v. Evaluation : 과제의 숙달정도,향상도 평가
vi. Time : 학습에 필요한 충분한 시간 부여
03) 동기 이론
① 성취목표 성향 이론 : 성취목표를 이분화 시켜 설명. 수행와 과제를 ‘접근vs회피’ 방식으로 봄. 2*2
i. 성취동기이론(애킨스) 성취하고자하는 마음
a) 성공성취 => 자신감/내적욕구, 성취동기↑
b) 실패회피 => 실패/불안, 성취동기↓
ii. 성취목표 이원 분류법 (앨리엇과 맥그리거)
a) 접근동기 =>유능감이 들면 접근
b) 회피동기 =>무능감이 들면 회피
iii. 과제(나)지향성 vs 자아(타인)지향성
a) 비교 준거가 자기자신: 과제성향 목표(숙달목표성향)를 세워 도전을 좋아하고 도전적인 상대나 과제를 선택함. (목표/성공률)
숙달성향(과제) | 수행성향(자아) | |
유능감 접근 | 숙달접근 | 수행접근 |
무능감 회피 | 숙달회피 | 수행회피 |
b) 비교 준거가 타인: 자기성향 목표(수행목표성향)를 세워 도전을 회피하기 위해 매우 어렵거나 완전 쉬운 과제를 선택.(메달/순위/경쟁선수)
사건 | 통제적 측면 | 내적 | 자결성 증가 | 내적동기 증가 |
외적 | 자결성감소 | 내적동기 감소 | ||
정보적 측면 | 긍정적 | 유능성 증가 | 내적동기 증가 | |
부정적 | 유능성 감소 | 내적동기 감소 |
② 인지평가 이론 : 유능성과 자결성을 높여주는 활동이나 요인은 내적동기에 의해 결정된다.
③ *내적동기수준의 변화 과정* 사건>정보적측면>긍정적>유능성증가>내적동기 증가
④ 자기결정성 이론 (밸러랜드와 로지어) : 자기결정의 연속선상에서 외적동기와 내적동기를 설명.
i. 자기결정성 이론의 기본적 심리욕구 전제요소
a) 자율성 (내가 자유롭게 선택할수있으냐)
b) 유능성 (본인의 유능감 지각하고싶어함)
c) 관계성 (타인과 관계를 맺고싶어함)
무동기 | 외적동기(보상,체벌) | 내적동기 | ||||
외적규제 | 의무감 규제 |
확인 규제 |
지식 습득 |
과제 성취 |
감각 체험 |
|
↼ 자기결정성이 낮음 | 자기결정성이 높음⇀ |
ii. 무동기에서 외적동기화를 거쳐 내적동기화에 이르기까지 연속적인 범위에 걸쳐 일어남.
iii. 외적동기
a) 외적규제 : 보상과 처벌이 있음.
b) 의무감규제 : 부정적인 감정/결과의 죄책감을 회피하고싶음
c) 확인규제 : 긍정적인 가치를 얻고싶어 동기를 가짐 (운동을 하면 건강도 좋아지고 외모도 좋아짐.)
iv. 내적동기=내적규제
a) 지식습득
b) 과제성취
c) 감각체험
⑤ 동기 분위기 이론 : 개인이 처한 환경을 어떻게 인식하냐에 따라 동기 영향 미침.
i. 숙달적 분위기에서는 개인적 기준이나 노력 향상도에 관심. (과제성향/숙달목표성향)
ii. 수행적 동기분위기에서는 타인과의 비교를 강조, 남들보다 잘하거나 못하는 것에 관심. (자아성향/수행목표성향)
iii. 단체의 동기분위기를 어떻게 조성하냐는 개인이 가지고 있는 성취목표성향 못지 않게 중요함.
04) 귀인과 귀인훈련
① 귀인 개념 : 성공과 실패의 원인이 무엇이라 생각하는가에 따라 미래의 나의 감정, 수행, 기대결과가 달라짐. 어떤 사건의 원인을 알게 된다는 것은 미래를 위한 효율적인 단서가 될 수 있다. 이유를 다른 것으로 돌린다. 오늘 경기가 무엇 때문에 졌는지 이겼는지 그 이유의 원인을 찾는 것.
② 귀인모형
i. 와이너의 3차원 귀인모형
귀인의 기본 범주 | 결과 | ||
안정성 (시간에 따라 변하는가?) |
안정 | 미래의 성공기대 | 증가 |
불안정 | 감소 | ||
인과성 | 내적이유 (사건의 원인을 행위자 스스로 통제 할 수있다는 믿음) |
정서반응 | 긍지or창피함 증대 |
외적이유 (외적인 힘에 의해 통제되었다는 믿음) |
긍지or창피함 감소 | ||
통제성 | 자신 통제 | 동기 증대 | |
타인 통제 | 동기 감소 |
a) 경쟁적인 스포츠나 규칙적인 운동에 참가하는 사람들은 성공과 실패에 대한 책임이 모두 자신에게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자기 발전에 도움이 됨.
ii. 성공과 실패의 요인
a) 노력 (유일한 통제가능 요소)
b) 능력
c) 운
d) 과제 난이도
iii. 안정성 – 원인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면 불안정적, 변화하지 않으면 안정적.
iv. 통제성 – 원인이 개인이나 타인의 의해 통제할 수 있거나 없는 것.
v. 인과성 – 내적/원인이 행위의 주체자에게 있느냐, 외적/외부(환경)에 있느냐
통제의 소재(인과성) | |||
내적 요인 | 외적 요인 | ||
안정성 | 안정적 요인 | 능력 | 과제 난이도 |
불안정적요인 | 노력 | 운 |
통제가능 | 통제불가능 | |||
안정 | 불안정 | 안정 | 불안정 | |
내적 | 자신의 안정된 노력 | 자신의 불안정한 노력 | 자신의 능력 | 피로, 기분, 자신의 기술변화 |
외적 | 타인의 안정된 노력 | 타인의 불안정한 노력 | 타인의 능력, 과제 난이도 | 피로,기분 , 타인의 기술변화 |
③ 귀인의 재훈련
i. 원인을 좋게 바꾼다.
ii. 성공의 원인을 자신의 능력과 노력에서 찾는다.
iii. 실패의 원인은 노오력의 부족이나 전략 미흡 때문이라 생각한다.
iv. [학습된 무기력]은 실패 할 수 밖에 없다고 믿는 것인데 슬럼프를 겪을 때 이를 함께 체험하기도 함.
v. 실패의 이유를 불안정적이며 통제 가능한 것에서 찾도록 해야함
4. 목표설정
01) 목표의 개념과 유형
① 개인이 달성하고자 하는 내용을 특정 행동을 통해 달성하려는 것.
② 주관적 목표 – 보이지 않고 스스로 으쌰으쌰(흥미)
③ 객관적 목표
i. 결과목표 : ~위 . 경쟁적 결과에 초점
ii. 수행목표 : ~%~이내. 수행과정이나 향상에 초점
④ 목표설정의 원리
i. 목표 구체성 :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
ii. 목표 난이도 : 어려우면서도 실현 가능한.
iii. 목표 근접성 : 단기목표와 장기목표를 병행
02) 목표 설정 원리방법
① 구체적 목표는 일반적 목표보다 행동을 더욱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② 구체적 목표일 경우, 목표가 높으면 높을수록 수행은 향상된다.
③ 구체적이고 어려운 목표가 최선을 다해라는 추상적인 목표보다 수행을 더욱 향상시킨다.
④ 장기목표를 세운 뒤 단기목표를 세운다.
5. 자신감
01) 개념 : 자신이 원하는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 할 수 있다는 신념
① 유사개념 : 자기효능감/유능성/스포츠 자신감
②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요인(4) (자기효능감 이론 - 반두라)
i. 성취경험
ii. 대리경험
iii. 언어적 설득(피드백)
iv. 신체적/정서적 상태
③ 지각된 유능감 : 자신의 능력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 (Harter
i. 성공적 수행
ii. 자기효능감 긍정적 정서, 유능성 느낌
iii. 높은 유능성 동기
iv. 스포츠 유능성 동기 숙달시도
v. 계속시도.
02) 자신감의 이론 및 구성요소
① 자기효능감 이론
i. 실제적인 수행성취 경험
ii. 대리경험(Self Modeling)
iii. 언어적 설득
iv. 개인의 정서적 각성(자기평가)
② 스포츠 자신감의 구성요소
i. 경쟁 지향성 (경쟁심)
ii. 특성 스포츠자신감(선천적)
iii. 상태 스포츠자신감(상황적)
03) 자신감 향상법
① 혼잣말
② 부정적인 혼잣말을 긍정적인 혼잣말로 바꾸기
6. 심상
01) 개념 : 모든 감각을 활용. 마음속에서 경험을 재현하고 창조. 외부자극이 필요없음.
02) 유형
① 내적 심상 : 자신의 관점
② 외적 심상 : 관찰자의 관점
③ 시각화, 정신리허설, 정신연습 등
03) 효과와 목적
① 스포츠 기술 연습
② 전략 연습
③ 자신감 향상
④ 집중력 높임
⑤ 감정조절
⑥ 부상회복 도움
⑦ 스트레스 해소
04) 이론
① 심리신경근 이론 : 근육의 기억 훈련. 움직이지 않아도 그 동작에 필요한 근육이 미세하게 움직임.
② 상징학습 이론 : 머릿속으로 동작등을 상징화 시켜 잘 이해하게 자동화 시킴.
③ 생체정보이론 : 이미지 상상하여 자극의 전제를 만들고 반응의 전제를 활성화 함. 공을 들고 있는 상상을 하니 땀이 나도 심박수가 빨라진다.
05) 측정과 활용
① 측정
i. 심상 질문지
② 활용
i. 선명성 : 모든 감각 동원
ii. 조절성 : 이미지를 조절
iii. 기상/훈련 시작하기 직전/경기 영상 시청 후 / 경기 시작 전/
iv. 운동감각을 느끼고
v. 심상 자체를 연습한다.
7. 주의집중
01) 개념 : 일에 관심을 집중하여 기울이는 노력.
02) 유형
① 니드퍼의 주의집중 유형
i. 광의 외적 주의
ii. 광의 내적 주의
iii. 협의 내적 주의
iv. 협의 외적 주의
03) 주의의 초점 (Nideffer : 폭과 방향)
① 주의의 폭
i. 넓음 (축구장 전체)
i. 좁음 (골대)
② 주의의 방향
i. 외적 (환경요소)
ii. 내적 (나의 생각, 신체감각)
③ 주의초점의 방향 개념
i. 내적 주의초점 : 스스로 통제 가능한 용인을 통해 주의초점 (나 스스로)
ii. 외적 주의초점 : 외부에서 주어진 자극 및 정보를 통해 주의 초점 (다른 지표)
02) 주의집중의 이론적 근거
① 정보 처리 모형
② 주의집중역량이론
i. 단일통로(병목)이론
ii. 제한역량이론
a) 중추자원역량(고정/가변/다중자원이론)
③ 주의집중의 기민성
i. 고각성 상태 : 주의 폭이 넓어져 집중 하강. 부적절한 단서를 포함하기 때문에 수행이 저하됨.
ii. 저각성 상태 : 주의 폭이 좁아짐. 주변 팀과 동료에 대한 주의가 감소. 시야 하강. 적절한 단서를 배제하기에 수행력저하.
④ 주의집중 향상 방법
i. 모의훈련
ii. 격자판 연습
iii. 과제지향 목표설정
iv. 초점 마추기(깔때기)
v. 신뢰훈련
vi. 시계바늘 움직이기
2. 루틴
01) 개념 : 최상의 운동수행 발휘에 필요한 고유한 동작이나 절차. 습관화된 절차.
02) 효과
① 경기의 준비
② 조절 가능한 요인에 집중
③ 예상치 못한 경기 상황 변화에 적응
④ 자기 자각
⑤ 통합
03) 유형
① 경기 전 루틴 (할일 목록 만들기)
② 수행 간 루틴 (휴식 시 스트레칭, 긴장풀기)
③ 경기 후 루틴 (노트 쓰기)
④ 미니루틴 (수행루틴)
i. 인지전략 (마음속 심상)
ii. 행동전략 (프리샷)

내 정리본 긁어온건데 가독성 똥망이라 ㅈㅅ
필요한 분은 따로 방명록 남겨주세요

'📕스포츠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스포츠 심리 상담 (0) | 2025.03.20 |
---|---|
5. 운동심리학 (0) | 2025.03.20 |
4. 스포츠수행의 사회/심리적요인 (4) (1) | 2025.03.20 |
2. 운동기술의 원리와 학습의 이해 (7) (0) | 2023.04.16 |
1. 스포츠심리학의 개관 (0) | 2023.04.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