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핵심 개념
👉 **RAA 시스템(Renin-Angiotensin-Aldosterone System)**은
혈압이 떨어졌을 때 혈압을 상승시키고 수분과 염분을 보존하기 위한 호르몬계 조절 시스템임.
- 저혈압, 저나트륨혈증, 혈액량 감소 시 활성화됨
- 결과적으로 혈관 수축 + Na⁺ 재흡수 + 수분 보존 → 혈압 상승
2️⃣ 작용 기전 (Mechanism)
✔ 작용 순서:
① **간(liver)**에서 안지오텐시노겐(angiotensinogen) 생성
② **신장(juxtaglomerular cell)**에서 레닌(renin) 분비 → 안지오텐시노겐을 안지오텐신 I으로 전환
③ **폐의 AC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가 안지오텐신 I을 안지오텐신 II로 전환
④ 안지오텐신 II:
- 혈관 수축 → 혈압 상승
- 부신 피질(adrenal cortex) 자극 → 알도스테론(aldosterone) 분비
⑤ 알도스테론 → 신장에서 Na⁺ 재흡수 증가 → 수분 보유 → 혈압 증가
3️⃣ 관련 생리학적 요인
-
- 혈압 유지 메커니즘 중 하나
- 체액량 감소, 출혈, 탈수, 염분 소실 등에서 중요
- 운동 시 혈류 재분배, 탈수 예방, 혈압 유지에 관여함
- Na⁺ 재흡수는 K⁺ 배출과 연결되어 전해질 균형에도 영향
🔐 RAA 시스템 암기 핵심 포인트 요약
순서 | 호르몬/물질 | 생성기관 | 기능 |
1 | 레닌 (Renin) | 신장 | 안지오텐시노겐 활성화 |
2 | 안지오텐신 I | 간 + 레닌 작용 | 전환 전 중간물질 |
3 | 안지오텐신 II | 폐 (ACE 작용) | 혈관 수축, BP ↑, 알도스테론 자극 |
4 | 알도스테론 | 부신 피질 | Na⁺ 재흡수, 수분 유지 → 혈압 ↑ |
반응형
'📕운동생리학 > 필수개념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동생리학] 교감신경 vs 부교감신경 개념 정리 (0) | 2025.03.23 |
---|---|
[운동생리학] 교차다리 사이클 (Cross-bridge cycle) (0) | 2025.03.23 |
[운동생리학] 크렙스회로 (1) | 2025.03.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