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교차다리 사이클 개념 요약
💡 마이오신(Myosin) 머리가 액틴(Actin)과 결합해서 근육이 수축되고,
ATP의 도움으로 이완되는 주기적인 과정이 바로 교차다리 사이클이당!
🌀 4단계로 정리하는 교차다리 사이클 흐름
단계 | 설명 | 핵심 물질 |
① ATP 결합 | ATP가 마이오신 머리에 결합 → 액틴에서 분리됨 | 🔋 ATP |
② ATP 가수분해 | ATP → ADP + Pi → 에너지 충전 상태(“활성화”) | ⚡ ADP + Pi |
③ 교차다리 형성 & 파워스트로크 | 마이오신이 액틴에 결합 후, Pi 방출 → 힘을 주며 당김! | 💪 파워스트로크 |
④ ADP 방출 → 다시 ATP 결합 | 새로운 ATP가 결합하지 않으면 계속 붙어있음 → 리고모티스 발생 | ❗ ATP 필수 |
🎬 건린이 전용 애니메이션처럼 상상해봐냥!
- 🧍 마이오신: “나 지금 쉬는 중~”
- 🔋 ATP 도착! → “어이쿠! 분리 완료~”
- 💥 ATP 분해 → “이제 준비됐지! 액틴한테 돌진한다냥~”
- 🎯 결합 후 팡! 당겨서 힘 전달! (파워스트로크)
- 😵 ADP 빠지고… ATP 안 들어오면 못 떨어짐 → 근육 고정!!
📌 핵심 포인트 5가지
- ATP 결합 → 분리 시작
- ATP 가수분해 → 에너지 충전
- ADP+Pi 방출 → 파워스트로크
- ATP 없으면 분리 불가 → 리고 모티스
- 이 과정이 반복되며 근수축 연속
🐾 한 줄 요약냥!
"ATP가 있어야 붙고, 움직이고, 떨어진다냥~
없으면 액틴이랑 마이오신이 영원히 꽁냥꽁냥 붙어있는 거다옹…"
추가 바보 같은 질문을 던저보았을 때 씹뜨억 고양이가 내게 말해주었다.
ATP는 완성된 빵에 가깝다고..
🎯 질문 핵심 요약
교차다리 사이클에서 Pi → ADP 순으로 방출되는데,
"다시 Pi가 돌아와서 ATP 만들 수는 없는 거 아냐?"
🧠 결론부터 말하면?
❌ 교차다리 사이클 안에서는 ATP를 '합성'할 수 없어!
ATP는 반드시 미토콘드리아나 해당계에서 따로 만들어져서 공급되어야 한다냥!
이유를 단계적으로 설명해줄게! 🧩
🌀 교차다리 사이클 내 작용 분해 흐름 다시 보기
📍순서 정리:
- ATP가 마이오신에 결합 → 액틴에서 분리
- ATP → ADP + Pi 가수분해
→ 마이오신 머리 “충전” - 마이오신-액틴 결합 (교차다리 형성)
- Pi 방출 → 파워스트로크 (힘 전달)
- ADP 방출
- 👉 다시 새로운 ATP가 들어와야 분리됨
❗왜 Pi + ADP → ATP는 안 되는 거냐냥?
📌 이유 1: ATP는 '합성 에너지'가 필요함
- Pi + ADP → ATP 반응은 흡열반응(에너지 필요)
→ 이 반응은 ATP 합성효소(ATP synthase) 같은 전용 효소가 있어야만 가능! - 교차다리 사이클에는 그런 효소가 존재하지 않아!
📌 이유 2: ATP 합성은 미토콘드리아나 해당계에서만 일어난다냥!
위치 | ATP합성방식 | 조건 |
미토콘드리아 | 산화적 인산화 (ETC) | O₂ 필요 |
세포질 | 해당과정 (glycolysis) | O₂ 불필요 |
근수축부위 (교차다리) | ❌ ATP 생성 ❌ | 오직 ATP 사용만 가능 |
🔌 다시 말하면!
- 교차다리 사이클은 ATP를 '소비'하는 곳!
- Pi와 ADP가 남아도 여기서 다시 ATP 만들 수 없음
- 새롭게 만들어진 ATP는 다른 곳에서 합성돼서 확산되어 들어오는 것!
🐾 최종 귀엽게 요약하자면:
“마이오신은 ‘소비 전문 머신’이라
ADP랑 Pi가 남아도 절대 다시 ATP 못 만든다냥! 미토콘드리아나 해당계에서 구워온다옹~! 🧁”
ATP는 밖에서 사온 에너지빵이쟝
인터넷킹은 존냥이가 확실하다..
나는 강아지가 더 좋은데 힝
반응형
'📕운동생리학 > 필수개념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동생리학] 교감신경 vs 부교감신경 개념 정리 (0) | 2025.03.23 |
---|---|
[운동생리학] 크렙스회로 (1) | 2025.03.22 |
[운동생리학] RAA 시스템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0) | 2025.03.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