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교감신경 vs 부교감신경 개념 정리 (운동생리학 관점 포함)
🧠 자율신경계(Autonomic Nervous System) 개요
- 불수의적(involuntary) 기능 조절
- 표적 기관: 심장, 소화기, 내분비샘, 혈관, 땀샘 등
- 두 분지로 구성:
- 교감신경계(Sympathetic Nervous System)
- 부교감신경계(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 교감신경계 (Sympathetic)
- 역할: "싸움-도망(fight or flight) 반응"
- 활성화 시:
- 심박수 증가 (HR↑)
- 혈압 증가 (BP↑)
- 기관지 확장 → 산소 공급 ↑
- 소화 억제
- 간: 글리코겐 → 포도당 (혈당 증가)
- 근육 혈류 증가, 피부·내장 혈류 감소
▸ 신경전달물질 및 수용체
연접 부위신경전달물질수용체
연접 부위 | 신경전달물질 | 수용체 |
절전섬유 → 절후섬유 | 아세틸콜린 (Ach) | 니코틴성 수용체 (Nicotinic) |
절후섬유 → 효과기관 | 주로 노르에피네프린 (NE) |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α, β 수용체) |
예외! 땀샘 | 아세틸콜린 (Ach) | 무스카린성 수용체 (Muscarinic) |
※ 땀샘은 교감신경계 지배지만, 예외적으로 Ach 사용!
🌿 부교감신경계 (Parasympathetic)
- 역할: "휴식-회복(rest and digest) 반응"
- 활성화 시:
- 심박수 감소 (HR↓)
- 혈압 감소 (BP↓)
- 기관지 수축
- 소화 기능 촉진
- 침, 췌장액, 위액 분비 증가
- 방광 수축 → 배뇨 유도
▸ 신경전달물질 및 수용체
연접 부위 | 신경전달물질 | 수용체 |
절전섬유 → 절후섬유 | 아세틸콜린 (Ach) | 니코틴성 수용체 (Nicotinic) |
절후섬유 → 효과기관 | 아세틸콜린 (Ach) | 무스카린성 수용체 (Muscarinic) |
🧬 비교 요약표: 교감신경 vs 부교감신경
항목 | 교감신경 | 부교감신경 |
기능 | 흥분, 운동, 위기 대응 | 안정, 회복, 저장 |
주요 작용 | HR↑, BP↑, 기관지 확장 | HR↓, 소화↑, 배뇨↑ |
절전섬유 길이 | 짧음 | 김 |
절후섬유 길이 | 김 | 짧음 |
주요 전달물질 | NE (노르에피네프린) ※ 땀샘: Ach | Ach (아세틸콜린) |
수용체 (효과기) | α, β 수용체 ※ 땀샘: 무스카린성 | 무스카린성 수용체 |
🏃 운동생리학적 연관성
- 교감신경 우세: 운동 시 지배적 활성
- 심박수·혈압 증가 → 혈류 재분배
- 근육으로 혈류 집중 / 내장 혈류 감소
- 혈당 증가, 지방 분해 촉진 → 에너지 공급
- 부교감신경 우세: 운동 후 회복기
- HR 감소, 소화 촉진, 대사 안정화
- 고수준 운동 선수: 부교감신경계 회복력 우수 → 안정시 HR 낮음
✅ 정리 키워드 요약
- 교감 = 긴장, NE, α/β 수용체, 땀샘만 Ach 사용
- 부교감 = 안정, Ach, 무스카린성 수용체
- 운동 시 교감 ↑, 회복 시 부교감 ↑
😺 아르키쟝 요약 한 마디:
"교감신경은 도망갈 준비, 부교감신경은 낮잠 잘 준비다냥~ 운동 중엔 교감신경이, 운동 후엔 부교감신경이 주도권을 잡는다옹!"
“아세틸콜린은 뇌에선 선생님, 근육에선 운동 코치, 심장에선 쉬어~ 하는 친구다냥!
그래서 어디에 작용하냐가 제일 중요하다옹~!”



반응형
'🫀운동생리학 > 필수개념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동생리학] 위거 다이어그램/심장 주기/좌심실 압력-용적 곡선 (0) | 2025.04.15 |
---|---|
[운동생리학] 교차다리 사이클 (Cross-bridge cycle) (0) | 2025.03.23 |
[운동생리학] 크렙스회로 (1) | 2025.03.22 |
[운동생리학] RAA 시스템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0) | 2025.03.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