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운동관리사 개념🟪/🫀운동생리학

[운동생리학] 💜포스포프록토키나아제(PFK) 조절 요약💜

by 둔근해 2025. 5. 26.
반응형

📚 출처: 파운생 10판 p.60 + 이하나의 티스토리 서사 해설


⚫ PFK란?

  • 해당과정(glycolysis)의 속도제한효소(rate-limiting enzyme)
  • 포도당 → 피루브산으로 가는 대사에서 속도를 조절
  • 효소 활동은 부적 피드백(negative feedback) 시스템으로 조절됨

✅ PFK 활동을 촉진(↑) 하는 조건

항목의미설명
항목 의미  설명
🔹 AMP, ADP, Pi 에너지 고갈 신호 ATP 재료들이 많다 = 에너지 부족 → 더 만들어야 함
🔹 높은 pH 염기성 환경 산성물질 적다 → 해당과정 덜 진행된 상태 → 더 진행 필요
 

→ 👉 결론: 몸에 ATP가 부족하면, PFK가 작동해서 해당과정을 빠르게 진행시킴


❌ PFK 활동을 억제(↓) 하는 조건

항목의미설명
항목 의미 설명
🔻 ATP 에너지 충분 신호 이미 많다 → 굳이 더 만들 필요 없음
🔻 시트르산염 (Citrate) TCA 회로 과포화 산화적 인산화 활발 → 해당과정 억제 필요
🔻 낮은 pH (수소이온 ↑) 산성화 상태 젖산 생성 증가 → 더 진행 시 근세포 손상 위험
 

→ 👉 결론: 이미 ATP가 많거나, 환경이 산성화되면 PFK는 브레이크 걸림


🧠 기억공식

“AMP 나오면 GO, ATP 많으면 STOP”
(AMP가 오면 가자! ATP 많으면 멈춰!)

또는,

"에너지가 없으면 PFK는 바빠지고,
에너지가 많거나 산성화되면 PFK는 쉬어간다"


✍️ 필기용 암기 정리

  • PFK↑: AMP, ADP, Pi, pH↑ (에너지 부족 + 산성 X)
  • PFK↓: ATP, Citrate, pH↓ (에너지 과잉 + 산성 O)

📢ai와 함께 작성하고, 주관적인 견해와 가미된 해설인 부분도 있습니다.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해보는 것은 AI가 추론한 것이고, 교재의 문장 재해석은 공식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운동생리학, 스포츠의학 최신판 교재를 활용, 구글 서칭을 이용한 검토와 풀이 입니다.  
💌 오류사항, 누가봐도 잘못된 내용, 지적 받습니다. 댓글 남겨주세요.  
💕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버튼 클릭 부탁드립니다.  
  
🍑by. 이하나의 둔근해가 떴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