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핵심 개념 요약 (10줄 이내)
- **크기 원리(size principle)**란, 작은 운동뉴런부터 큰 뉴런 순서로 동원되는 원리.
- 작은 운동단위는 **지근섬유(slow-twitch fiber)**를 포함하며, 가벼운 부하나 지속 운동에 적합함.
- 큰 운동단위는 **속근섬유(fast-twitch fiber)**를 포함하며, 무거운 부하, 고강도 운동에서 동원됨.
- 이는 점진적 힘 생산에 효과적이고 운동 단위 통합 조절에 유리함.
- 하지만 고강도·고속 파워 운동에서는 예외적으로 큰 뉴런이 먼저 동원되기도 함.
- 이는 느린 운동단위를 건너뛰고, **빠른 섬유(FG)**를 먼저 활성화함으로써, 즉각적 폭발력을 가능하게 함.
- 즉, 크기 원리의 예외는 고속, 고강도, 폭발적 움직임에서 발생함.
- 반면, 일반적인 상황(걷기, 일상활동 등)에서는 항상 소 → 대 뉴런 순서로 동원됨.
- 운동 단위 동원은 신경계의 효율성과 힘 조절 능력의 핵심 전략.
- 결론: 조건에 따라 크기 원리가 무시되기도 하며, 이는 훈련 전략과도 깊이 연결됨.
🧠 필기용 구조 정리
🔷 크기 원리 (Size Principle)
운동 단위 동원 순서: 작은 뉴런 (Type I, 지근) → 큰 뉴런 (Type II, 백근)
특징:
✔ 순차적, 점진적 동원
✔ 에너지 절약
✔ 정밀한 힘 조절
✔ 저강도 → 고강도로 진행
❗ 크기 원리의 예외 조건
발생 상황:
❶ 고강도 운동 (ex. 역도, 스프린트)
❷ 고속·폭발성 운동
❸ 파워 운동 시 전략적 지근 억제
결과:
→ 느린 운동단위를 건너뛰고
→ 빠른 섬유 (Type IIx 등) 우선 동원
→ 높은 힘과 빠른 속도 달성
🧩 기억 공식
"조용히 시작, 크게 끝낸다" → 크기 원리
"빵! 하고 시작하면, 바로 백근" → 예외 조건
📢ai와 함께 작성하고, 주관적인 견해와 가미된 해설인 부분도 있습니다.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해보는 것은 AI가 추론한 것이고, 교재의 문장 재해석은 공식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운동생리학, 스포츠의학 최신판 교재를 활용, 구글 서칭을 이용한 검토와 풀이 입니다.
💌 오류사항, 누가봐도 잘못된 내용, 지적 받습니다. 댓글 남겨주세요.
💕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버튼 클릭 부탁드립니다.
🍑by. 이하나의 둔근해가 떴습니다.
반응형
'🟪건강운동관리사 개념🟪 > 🫀운동생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EPOC] 운동 후 초과산소섭취량(EPOC, Excess Post-exercise Oxygen Consumption) 개념 정리 요약 (0) | 2025.05.29 |
---|---|
[운동생리학] 📘 정맥혈 회귀와 호흡펌프 기전 요약정리 (0) | 2025.05.26 |
[운동생리학] 📘호흡조절 중추의 신경자극 정리 (운동 생리학) (0) | 2025.05.26 |
[운동생리학] 💜포스포프록토키나아제(PFK) 조절 요약💜 (2) | 2025.05.26 |
[운동생리학] RAA 시스템 (레닌법사 콩팥나라 암기) (0) | 2025.04.24 |
[운동생리학] 근절(sarcomere)의 구성요소와 트로포닌(칼슘접시!) (0) | 2025.04.22 |
[운동생리학] 위거 다이어그램/심장 주기/좌심실 압력-용적 곡선 (0) | 2025.04.15 |
[운동생리학] 교감신경 vs 부교감신경 개념 정리 (0) | 2025.03.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