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핵심 개념 요약 (10줄 이내)
- **정맥혈회귀(venous return)**는 정맥의 혈액이 심장으로 되돌아오는 것.
- 호흡 중 횡격막의 움직임은 흉강과 복강의 압력 변화를 유발함.
- 흡기(inhalation) 시:
- 횡격막 하강 → 흉강 내압 감소
- 흉강 압력 < 대기압 → 공기 유입
- 정맥혈이 흉강으로 끌려 올라가며 정맥혈 회귀 증가
- 호기(exhalation) 시:
- 횡격막 상승 → 흉강 내압 증가
- 공기 배출 + 복강 압력 증가 → 복부 정맥 압박
- 이처럼 호흡에 따른 압력변화가 정맥혈회귀에 기여하는 메커니즘을 **호흡펌프(respiratory pump)**라고 함.
🔬 비교: 근육펌프 vs 호흡펌프
항목근육펌프호흡펌프
항목 | 근육펌프 | 호흡펌프 |
기전 | 하지 근수축 시 정맥 압박 | 흉강-복강 압력 차 이용 |
대상 | 하지 정맥 → 심장 | 복부 정맥 → 심장 |
운동 시점 | 근수축 동반 시 | 주기적 호흡 시 |
특징 | 정지 시 감소 | 호흡만으로도 유지 가능 |
✍️ 기억공식
“쪼그라들면 숨 들이쉼(압력 감소), 부풀면 내쉼(압력 증가)”
“복강 압력 변화 → 정맥 돌아옴 → 이게 호흡펌프”
💡 예상문제
다음 중 호흡펌프 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흡기 시 흉강 내압이 증가한다.
② 호기 시 정맥혈 회귀가 최대화된다.
③ 복강 내압은 흡기 시 감소한다.
④ 흡기 시 흉강 내압 감소는 정맥혈을 심장으로 유도한다.
✅ 정답: ④
🔍 보기별 해설
① 흡기 시 흉강 내압이 증가한다 ❌
- 흡기 시 횡격막이 수축해서 아래로 내려감
- → 흉강의 부피는 커지고, 내부 압력은 감소함
- 따라서 "증가한다"는 말이 틀림
📌 이건 기초적인 압력-부피 관계를 묻는 함정 보기임.
② 호기 시 정맥혈 회귀가 최대화된다 ❌
- 호기 시에는 흉강 내압이 증가하고, 복강이 압박됨
- 복부 정맥이 눌리면서 정맥혈을 심장 쪽으로 밀어주는 건 사실이지만,
- **정맥혈 회귀가 '최대화'**되는 건 흡기 시임
- 왜냐하면 정맥이 흉강 쪽으로 당겨지기 때문임
📌 출제자의 함정: "호기 때도 회귀는 일어나지만, '최대화'는 아님"
③ 복강 내압은 흡기 시 감소한다 ❌
- 흡기 시에는 횡격막이 아래로 내려가며 복강을 압박함
- 그래서 복강 내압은 오히려 증가함
- 압력 차이로 인해 복부 → 흉강 방향으로 정맥혈 이동이 가능해짐
📌 이 보기에서 말한 “감소”는 정확히 반대 개념임.
④ 흡기 시 흉강 내압 감소는 정맥혈을 심장으로 유도한다 ✅
- 이게 호흡펌프의 핵심 기전임
- 흡기 시:
- 흉강 내압 ↓ →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아짐
- → 정맥 내 혈액이 압력 높은 복강에서 흉강 방향으로 이동
- → 결국 심방 쪽으로 흡입되듯 유입됨
📌 정답. 시험에서는 이 문장이 "호흡펌프"를 한 줄로 설명하는 대표 문장임.
✅ 최종 정답: ④
🧠 부가 개념 연결 정리
- 호흡펌프 = 횡격막 움직임 + 흉복강 압력 변화 이용
- 근육펌프 = 하지 근육의 수축·이완에 따라 정맥을 짜주는 기전
- 운동 중 심장박출량 증가의 주요 기전 중 하나는 정맥혈 회귀 증가이며, 이는 호흡펌프와 근육펌프가 협력하여 유도함
📢ai와 함께 작성하고, 주관적인 견해와 가미된 해설인 부분도 있습니다.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해보는 것은 AI가 추론한 것이고, 교재의 문장 재해석은 공식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운동생리학, 스포츠의학 최신판 교재를 활용, 구글 서칭을 이용한 검토와 풀이 입니다.
💌 오류사항, 누가봐도 잘못된 내용, 지적 받습니다. 댓글 남겨주세요.
💕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버튼 클릭 부탁드립니다.
🍑by. 이하나의 둔근해가 떴습니다.
반응형
'🟪건강운동관리사 개념🟪 > 🫀운동생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EPOC] 운동 후 초과산소섭취량(EPOC, Excess Post-exercise Oxygen Consumption) 개념 정리 요약 (0) | 2025.05.29 |
---|---|
[운동생리학] 📘호흡조절 중추의 신경자극 정리 (운동 생리학) (0) | 2025.05.26 |
[운동생리학] 크기 원리와 그 예외 – 운동단위 동원 요약정리 (0) | 2025.05.26 |
[운동생리학] 💜포스포프록토키나아제(PFK) 조절 요약💜 (2) | 2025.05.26 |
[운동생리학] RAA 시스템 (레닌법사 콩팥나라 암기) (0) | 2025.04.24 |
[운동생리학] 근절(sarcomere)의 구성요소와 트로포닌(칼슘접시!) (0) | 2025.04.22 |
[운동생리학] 위거 다이어그램/심장 주기/좌심실 압력-용적 곡선 (0) | 2025.04.15 |
[운동생리학] 교감신경 vs 부교감신경 개념 정리 (0) | 2025.03.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