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운동관리사 개념🟪/🫀운동생리학

[운동생리학] 📘호흡조절 중추의 신경자극 정리 (운동 생리학)

by 둔근해 2025. 5. 26.
반응형

✅ 핵심 개념 요약 (10줄 이내)

  1. **호흡조절 중추(control center)**는 대뇌, 연수 등에서 호흡을 통제함.
  2. 조절 메커니즘은 ① 신경자극② 체액성 자극으로 나뉨.
  3. 운동 중에는 주로 신경성 자극이 호흡중추를 활성화시킴.
  4. 말초감각수용체(관절, 근방추, 골지힘줄기관)는 운동 상태를 대뇌에 전달함.
  5. 근육 내 화학수용체는 K⁺, H⁺ 농도 증가에 반응하여 중추에 자극을 보냄.
  6. 심장의 기계적 수용체도 심박출량 증가에 관여하면서 호흡중추에 정보 제공.
  7. 동맥소체(carotid body)는 O₂↓ 또는 CO₂↑ 상황에서 호흡을 자극함.
  8. **하지만 산소분압 증가(O₂↑)**는 호흡자극을 유발하지 않음 → ❌ 오답포인트
  9. 특히 인간의 대동맥소체와 중추 화학수용체는 O₂↑에 반응하지 않음
  10. 결론: 운동 중 호흡조절은 CO₂↑, H⁺↑, K⁺↑ 등으로 자극되며, O₂↑는 억제 요인이 아님.

🧠 필기용 구조 정리

🔷 운동 중 호흡조절의 신경자극 경로

 
① 관절/근육/힘줄의 말초기계적수용기 구심성 신경 호흡중추 자극
② 근육 내 화학수용체 (K⁺, H⁺) 대사 부산물 감지 호흡 자극
③ 심장의 우심방/심실 기계수용체 심장 부피 변화 감지 호흡중추 자극

🔷 체액성 자극 경로 요약

 
[말초 화학수용체] 경동맥소체 → O₂↓, CO₂↑, H⁺↑에 반응 → 호흡중추 자극 → 환기 증가
[중추 화학수용체] 연수 부근의 수용체 → CO₂↑ 감지 → 빠르고 강한 호흡 유도

❗ 오답포인트 요약

 
⛔ “산소 분압 ↑ → 환기 증가” → X
→ 실제로는 O₂↓ 또는 CO₂↑가 호흡을 자극함
→ 인간의 중추/대동맥소체는 O₂↑에 반응하지 않음

💡 기억공식

“숨은 CO₂ 때문에 쉰다. O₂ 때문에 쉬는 게 아니다.”


✍️ 예상문제

다음 중 운동 중 호흡조절중추의 자극 요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칼륨 증가
② 수소이온 증가
③ 산소 분압 증가
④ 관절 수용기의 활성화

정답: ③

 


📢ai와 함께 작성하고, 주관적인 견해와 가미된 해설인 부분도 있습니다.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해보는 것은 AI가 추론한 것이고, 교재의 문장 재해석은 공식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운동생리학, 스포츠의학 최신판 교재를 활용, 구글 서칭을 이용한 검토와 풀이 입니다.  
💌 오류사항, 누가봐도 잘못된 내용, 지적 받습니다. 댓글 남겨주세요.  
💕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버튼 클릭 부탁드립니다.  
  
🍑by. 이하나의 둔근해가 떴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