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ACSM22

23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처방론 11-20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 문제 요약전체 검사자: 10,000명심장질환자 비율: 20% → 2,000명민감도(Sensitivity): 70%특이도(Specificity): 80%구하는 것: False Negative 수✅ 개념 정리① 민감도(Sensitivity) =질병 있는 사람 중 검사에서 양성 나오는 비율즉,True Positive (TP) = 질병 있음 + 검사 양성False Negative (FN) = 질병 있음 + 검사 음성 (검사가 놓침)공식 : 민감도 = TP / (TP + FN)🧮 계산 시작▶ 총 심장질환자 = 20% of 10,000 = 2,000명민감도 70% =→ 이 중 70%는 TP→ 30%는 FNTP = 70% of 2,000 = 1,400명FN = 30% of 2,000 = 600명✅ 정답: ①번 .. 2025. 4. 1.
23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부하검사 6-10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 문제**ACSM(11판)**에서 제시한 운동부하검사 시 관찰 변수와 검사 중단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보기 분석①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최대심박수와 수축기혈압은 감소하게 된다.❌ 틀린 설명 (정답)✔️ **최대심박수(Maximal HR)**는 연령 증가에 따라 감소함공식: Max HR = 220 - 나이 또는 208 - 0.7 × 나이고령일수록 심박수의 최대치가 낮아짐❌ 하지만 **수축기혈압(Systolic BP)**은 운동 중 감소하는 것이 아니라 증가하는 게 정상 반응임나이가 들수록 혈관의 탄성 감소로 인해 운동 중 SBP가 더 많이 상승할 수 있음📘 ACSM 11판 원문:“SBP should increase with increasing workloads. A failure .. 2025. 3. 31.
23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부하검사 1-5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 보기 분석① “질환에 대한 진단과 예후 및 평가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맞음운동부하검사는 관상동맥질환 진단, 치료 반응, 예후 평가, 심폐체력 측정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돼.“Exercise testing is used for diagnostic, prognostic, and functional capacity evaluation.”🟢 완벽한 정의, 맞는 보기② “진행 중인 불안정 협심증 진단을 위해 검사하는 것을 추천한다.”❌ 틀림 ← 정답!⚠️ **불안정 협심증(Unstable angina)**은 절대적 금기사항 중 하나야!“Unstable angina is an absolute contraindication to symptom-limited exercise testing.”진단을 위.. 2025. 3. 30.
23년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처방론 16-20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 🔍 보기 분석㉠ “당뇨병 합병증으로 인한 금기사항이 아니라면 고강도의 유산소운동을 더 많이 강조해야 한다.”✅ 맞음📄 ACSM 11판, p. 247“Vigorous-intensity exercise may provide greater benefits than moderate intensity if no contraindications are present.”✔ 고강도 유산소운동은 금기사항이 없다면 더 많은 효과 가능✔ 특히 2형 당뇨 환자에서 인슐린 민감도 증가 효과 큼🟢 따라서 보기 ㉠은 맞는 보기㉡ “제2형 당뇨병 환자는 유산소운동을 2일 이상 연속해서 중단하지 않도록 한다.”✅ 맞음📄 ACSM 11판, p. 248“Individuals with type 2 diabetes should avo.. 2025. 3. 30.
23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처방론 11번-15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 출제 의도β-차단제의 생리학적 효과에 대한 이해를 물어보는 문제야.ACSM’s Guidelines 11판에 따르면, β-차단제는 심장 관련 반응(심박수, 혈압 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운동 시 처방 기준과 반응 예측이 중요해짐.📘 β-blocker의 주요 효과 (ACSM 11판 기준)**심근 수용체(β1)**를 차단하여 ⬇️ 심박수(HR), ⬇️ 수축력(contractility), ⬇️ 혈압(BP) 유도함.이로 인해:심박 반응 둔화 (심박수 상승 제한)운동 중 혈압 반응 저하최대 운동능력(V̇O₂max) 감소심박수 기반 운동강도 설정이 어렵다 → Borg 자각운동강도(RPE)로 대체체온 조절 관련해서는 일부 말초혈관 수축 등으로 땀이 적게 나 체온 조절에 방해될 수 있음📌 보기 분석보기문장맞/.. 2025. 3. 30.
23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처방론 6-10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 문제 분석6번 문제는 유연성 운동(flexibility exercise)에 대한 설명 중에서, ACSM 11판이 권장하는 내용만을 고르는 문제야.보기 문항 분석 (ACSM 11판 기준)① 동적 스트레칭은 운동 기능 향상을 위한 보조 운동으로 권장된다.✅ 맞아.ACSM은 운동 전 워밍업 시 동적 스트레칭(dynamic stretching) 을 통해 기능적 유연성과 수행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해. 특히 운동 능력 향상이나 경기력 향상 목적일 땐 동적 스트레칭이 적절하다고 하지.🟣 즉, 운동 기능 향상 목적에는 동적 스트레칭이 적절한 보조 수단임.② 관절염 환자는 통증 없이 긴장을 느끼는 상태까지 신전한다.✅ 맞아.ACSM은 만성 질환자나 노인, 관절염 환자 등에게 유연성 운동을 처방할 .. 2025. 3. 29.
23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처방론 1-5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 ✅ 먼저, ACSM 11판 – Warm-up의 권장사항 요약항목권장 기준✅ 시간최소 5 ~ 10분✅ 강도Low to Moderate intensity (저 ~ 중강도)✅ 형태유산소성 리듬 운동 + 동적 스트레칭 포함 가능❌ 정적 스트레칭은 별도 or 본운동 후 수행 권장 (일반적으로 warm-up 중 X)✅ 목적심박수, 체온, 근육 탄력 증가 → 부상 예방 및 운동 효율 증가🔍 보기별 분석① 최대근력이 요구되는 운동에는 정적 스트레칭이 동적 스트레칭보다 더 효과적이다.❌ 틀림 → 정답ACSM 11판은 **정적 스트레칭(static stretching)**이 근력 및 파워를 감소시킬 수 있다고 밝힘특히 근력/파워 운동 전에는 **동적 스트레칭(dynamic stretching)**이 더 적합하다고 권장함.. 2025. 3. 29.
23년 건강운동관리사 건강체력평가 16-20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 주어진 정보METs: 7체중: 80kg시간: 30분빈도: 3회/주산소소비량 1L당 5 kcal 소비✅ 순(net) 산소 소비량(ml) 구하기​✅ ml → L 변환✅ 에너지 소비량 (kcal) 계산​🎯 최종 정답: ② 756 kcal/주🧠 이번 방식 요약 (네가 제시한 방식 기준)순 에너지량이라는 함정을 조심하게나 ✅ 1. 기본 용어 정리용어의미용어의미🔴 민감도(Sensitivity)비만인 사람 중 검사에서 양성으로 나온 비율 (진짜 비만을 얼마나 잘 찾아내는가)🔵 특이도(Specificity)정상인 사람 중 검사에서 음성으로 나온 비율 (비만 아닌 사람을 얼마나 잘 걸러내는가)✅ 2. 표 다시 정리검사결과 ↓    실제상태 →비만 (Positive)정상 (Negative)합계양성 (Positi.. 2025. 3. 28.
23년 건강운동관리사 건강체력평가 11번-15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 개념 정리: 심폐지구력 검사 결과 해석🔴 1. 결정계수 R^2 (Coefficient of Determination)정의: 독립변수가 종속변수를 얼마나 잘 설명하는지 나타내는 지표범위: 0 ~ 1 사이 값해석:R^2 = 0.81 → 독립변수가 종속변수 변동의 81%를 설명함✅ 클수록 모델의 설명력↑, 즉 예측력↑🔵 2. 상관계수 r (Correlation Coefficient)정의: 두 변수 간 직선적 관계의 강도와 방향을 나타내는 지표범위: -1 ~ +1r>0r > 0r>0: 양의 상관관계rr0: 음의 상관관계계산: r=R2r = \sqrt{R^2}r=R2​ (단, 양의 선형관계일 때만 해당)예시: R^2=0.81→r=0.9🟣 3. 단순 선형 회귀식 (Simple Linear Regressio.. 2025. 3. 28.
23년 건강운동관리사 건강체력평가 6-10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이 문제는 규칙적인 신체활동과 운동이 우리 몸에 주는 생리학적 이점을 물어보는 문제야.ACSM 11판에서도 “운동의 만성적 효과(Chronic Adaptations to Exercise)” 파트에서 명확하게 정리되어 있어.✅ 문제규칙적인 신체활동과 운동의 이점으로만 고른 것은?① 절대적 최대하 강도에서 분당호흡량과 심근산소소비량 증가② 안정 시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 감소③ 최대산소섭취량 증가와 안정 시 심박수 감소④ 인슐린 감수성과 포도당 내성 감소✅ 정답: ②번  ㄴ,ㄷ📘 ACSM 11판 기준: 운동의 이점🟢 운동이 우리 몸에 주는 대표적 ‘긍정적’ 효과들신체 계통운동의 이점신체계통운동의 이점❤️ 심혈관계▪ 안정시 심박수(HR) 감소 → 심박출량↑▪ 안정시 수축기/이완기 혈압 감소▪ 혈관 탄성.. 2025. 3. 28.
23년 건강운동관리사 건강체력평가 1-5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 문제체력 검사 시 검사자가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① 검사 대상자의 병력② 검사 대상자의 참여 동의③ 검사 대상자의 자기 효능감④ 검사 대상자의 안정 시 심박수✅ 정답: ③ 검사 대상자의 자기 효능감🔍 정답 분석 (출제자의 의도)이 문제는 체력 검사 시 고려해야 할 필수 요소를 묻는 문제로,**자기 효능감(self-efficacy)**은 중요한 심리 요인이지만,*“검사자 입장에서 평가를 계획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기준은 아님”*을 묻고 있는 문제임.📘 ACSM 11판 기준 개념 정리**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11판)**에 따르면, 체력 검사 전 고려해야 할 주요 요소는 다음과 같아:✔️ 필수 고려 사항.. 2025. 3. 28.
ACSM 11판) Chapter 8. 심혈관 및 폐질환자들을 위한 운동처방(심장재활환자[입원]) 1. 심장재활환자(입원) 1)입원환자의 심장재활 프로그램 운동검사✔ ① 현재 예방 및 재활 서비스에 초점을 맞춘 입원환자 심장 재활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문서화된 의사의 의뢰서가 필요. ② 입원환자 심장재활 프로그램 지침 ‣차트검토 및 개별 인터뷰를 통한 임상평가 ‣신체적인 보행 및 움직임 ‣변경 가능한 위험요인 및 자기관리에 대한 인식과 교육 ‣경과관리를 위한 퇴원계획 및 일상생활활동/신체활동을 위함 홈 프로그램 ‣외래환자 심장재활 의뢰 ③임상평가에서는 진단, 현재 의료상태, 질병, 심혈관질환 위험요인, 개별화된 목표, 신체활동 및 학습준비 상태를 기록 ④입원환자의 심혈관질환 위험 계층화 ‣급성심장사고 또는 절차에 따라 가능한 ᄈᆞᆯ리 신체활동을 시작하고 진행하는 준비과정을 거쳐야 함. ‣외래 .. 2023. 2. 8.
ACSM 11판) Chapter 6. 임신 4. 임신 1)특징 ①금기사항이 없는 건강한 임산부는 전문가와 상담을 통해 임신 기간 동안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권장 ②과도한 임신성 체중 증가 방지/임신성 당뇨병의 예방/자간전증(임신중독증)감소/요실금 감소/기분개선/요통 및 제왕절개의 발생 감소/ 분만시간단축/심폐체력 유지 또는 증가 등의 이점이 있다. 2)운동검사 ①최대운동검사는 임신의 어떤 단계에서도 수행되어선 안된다. 운동검사✘ ②최대하운동검사가 필요한 경우 의학적 평가 후 의사의 감독하에 수행 ③임신 중에는 운동으로 관찰되는 일회성 생리적 반응들이 비임신에 비해 크게 증가함이 나타남. (SBP/DBP는 변화없거나 감소함) ④운동검사로 최대유산소성능력을 알아보려는 목적보다는 운동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동검사를 실시하는게 바람직. .. 2023. 2. 8.
ACSM 11판) Chapter 6. 노인 3. 노인 1)특징 ①65세 이상 성인, 신체에 제한(임상적)이 있는 50~64세를 포함 ②비슷한 연령대라도 노화와 질병은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운동에 대한 반응이 크게 다를 수 있음. ③건강 및 기능적 상태는 종종 연령보다 신체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의 더 나은 지표가 됨 ④노인의 운동 이점 ‣운동능력을 손상시키는 전형적인 연령 관련 변화의 속도 감소 ‣연령 관련 신체구성 변화 최적화 ‣심리적 및 인지적 웰빙 증진 ‣만성질환 관리 ‣신체장애의 위험 감소 ‣수명 연장 2)운동검사 ①중강도 신체활동을 시작하기 전 운동검사✘ . 의학적 필요(증상)에 의해 지시되지 않는 한. ②왜냐, 만약 노인이 운동검사를 하게 된다면 심전도 결과가 일반 성인에 비해 정확성이 떨어짐. ‣젊은 성인(민감도50%미만, 특이도.. 2023. 2. 8.
ACSM 11판) Chapter 6. 요통 ㄱ2. 요통 1)특징 ①다른 특이적 척추 원인/신경근병증 또는 척추 협착증과 관련된 요통/ 전체의 85%이상에 해당하는 비특이적 요통으로 범주 분류. ②급성(6주), 아급성(6-12주), 만성(12주-). 통증이 발생하지 않는 선에서 일상활동을 계속, 침상 생활을 줄이고 직장으로 복귀할 것. ③심각한 질병에 의한 요통이 아닌 경우, 동반된 질환이 없는 경우, 운동검사 및 처방은 일반 성인과 유사함. ④만성요통의 경우 운동검사 이후 첫 주간은 증상 때문에 활동이 제한 될 수 있다. 2)운동검사 ①심폐체력 ‣통증이 최대 검사에서와 마찬가지로 자주 발생되어 검사가 제한될 수 있으며 일반 겅강한 대상자와 동일한 고려사항에 따라 결정되어야 함. ②근력 및 근지구력 ‣근력과 근지구력의 감소가 요통의 기간 및 강도와.. 2023. 1. 29.
ACSM 11판) Chapter 6. 어린이와 청소년 1. 어린이와 청소년 1)특징 ①6~19세, 성인보다 신체적으로 더 활동적으로, 하루 최소 60분 이상 중~고강도 신체활동 권장. ②저항운동과 뼈 강화를 위해 하루 60분, 주당 최소3일 이상 권장 ③운동자각도 0~10 중 5~6=중강도, 7~8=고강도로 상대적으로 추정할 것을 권고 ④의학적 검사✘ 중강도가 이상 없다면 고강도 운동 시작가능. ④성인보다 무산소 능력이 훨씬 낮음. 지속적인 고강도 운동수행능력이 제한됨. ④일회적/점진적 유산소 운동의 생리학적 적응은 성인과 질적으로 유사하나 양적인 차이가 있음. (체중/근육량에 상대적이기때문) 2)운동검사 ①성인 운동검사의 표준 지침으로 적용하나, 생리적 반응은 성인과 다름. ②임상적 목적의 운동검사 : 건강 문제가 없는 한 일반적으로 실시하지 않음. ③운.. 2023. 1. 28.
ACSM 11판) Chapter 5. 운동처방의 일반적 원칙과 저항트레이닝/유연성 2. 저항트레이닝 1) 특징 ①근력 Strength - 일정 수축 속도에서 특정 동작 중 발휘할 수 있는 최대 힘 양 ②근비대 Hypertrophy - 근육 크기의 증가 ③근파워 Power -운동 수행률, 단기간에 최대 힘을 발휘할 수 있는 능력 (힘*속도) ④국소 근지구력 Local muscular endurance - 운동을 지속하기 위해 동원된 근육군의 능력 ⑤유산소 활동으로는 근골격에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므로 성인은 저항 트레이닝을 해야함. 2) 빈도 (F) ①운동경험이 없는 사람도 주당 하루만 하더라도 현저하게 향상하며 이러한 빠른 근체력 향항은 근신경 적응증 초보자 단계 - 주당 총트레이닝량이 근체력 향상의 주요요인. 빈도(F)는 총 운동량에서 부차적인 요소. 주별 운동량은 똑같되, 주당 1일.. 2023. 1. 28.
ACSM 11판) Chapter 5. 운동처방의 일반적 원칙과 심폐체력 Chapter 5. 운동처방의 일반적 원칙 ▼ 운동처방 구성요소 (4) ▼ ① 심폐체력(유산소) ②근체력 ③유연성 및 가동성 ④신체구성 ▼ 운동처방 원칙 개론 (6) ▼ F (Frequency, 빈도) : 얼마나 자주 (주2,주3,주5) I (intensity, 강도) : 얼마나 힘들게 (저/중/고강도, 1RM, HRR, Vo2R, HRmax, RPE) T (Time, 시간) : 얼마동안 (일 30~40분, 주 150분, 10~30초) T (Type, 종류) : 유산소/저항/유연성 V (Volume, 총 운동량) = 빈도×강도×시간 P (Progression, 진행) : 진행 (F,i or T의 조절을 통한 운동량 증가) ▼ 운동 트레이닝 세션의 구성 (3) ▼ ①준비운동단계 저~중강도로 본운동에서 쓰는.. 2023. 1. 28.
국민체력100 청소년, 성인, 노인 체력검사 항목 건강체력100 청소년.성인.노인 체력감사 항목 #건운사 #건강운동관리사 #건강체력평가 #건체평 2022. 5. 17.
터널화된 동맥 (Tunneled Artery) = (Myocardial bridge) 심근다리 The coronary arteries may dip into the myocardium for varying lengths, and then reappear on the heart surface. The muscle overlying the intramyocardial segment of the epicardial coronary artery is termed a myocardial bridge (MB), and the artery running within the myocardium is referred to as a tunneled artery 관상 동맥은 다양한 길이의 심근 속으로 잠겼다가 심장 표면에 다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장외막 관상동맥의 심근내 분절을 덮고 있는 근육을 심근교(MB)라고.. 2022. 4.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