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CSM/23년 기출문제풀이

23년 건강운동관리사 건강체력평가 1-5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by 둔근해 2025. 3. 28.
반응형

✅ 문제

체력 검사 시 검사자가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검사 대상자의 병력
② 검사 대상자의 참여 동의
③ 검사 대상자의 자기 효능감
④ 검사 대상자의 안정 시 심박수

정답: ③ 검사 대상자의 자기 효능감


🔍 정답 분석 (출제자의 의도)

이 문제는 체력 검사 시 고려해야 할 필수 요소를 묻는 문제로,
**자기 효능감(self-efficacy)**은 중요한 심리 요인이지만,
*“검사자 입장에서 평가를 계획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기준은 아님”*을 묻고 있는 문제임.


📘 ACSM 11판 기준 개념 정리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11판)**에 따르면, 체력 검사 전 고려해야 할 주요 요소는 다음과 같아:

✔️ 필수 고려 사항

  • 병력(Medical History)
    → 위험 분류, 운동 전 검사 필요 여부 판단을 위한 필수 정보
  • 사전 동의(Informed Consent)
    → 법적·윤리적 요구사항. 체력검사 및 운동 전 반드시 문서화된 동의서 확보해야 함
  • 안정시 생리 지표(Resting Measures)
    → 예: 안정 시 심박수(Resting HR), 혈압 등 → 위험도 파악 및 기준치 설정에 중요

❌ 필수 고려 사항이 아닌 항목

  • 자기 효능감(Self-Efficacy)
    → 운동 지속 여부나 행동 변화와 관련된 심리 요인이지, 체력검사 자체의 설계나 안전성과는 무관함

💡 실전 적용 포인트

  • 검사자는 대상자의 심리적 요인을 이해하고 동기 부여는 할 수 있지만, 검사 절차 상 필수 체크 항목은 아님
  • 자기 효능감은 행동변화 모델(Transtheoretical Model) 등과 관련됨

📍 보충 개념: 체력검사 전 사전 점검 리스트 (ACSM 기준)

  • 건강설문지(PAR-Q+ 또는 AHA/ACSM 설문지)
  • 병력과 가족력
  • 안정 시 생리지표 (HR, BP 등)
  • 위험도 분류(Risk Stratification)
  • 금기사항 확인
  • 운동 중단 기준 사전 안내
  • 문서화된 동의서 확보

🔮 예상 문제 (기출 응용 버전)

체력 검사 전 사전 확인 항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안정 시 혈압 측정
② PAR-Q+ 작성
③ 체지방률 측정
④ 금기사항 확인

👉 정답: ③ 체지방률 측정
→ 이는 검사 항목이지, 사전 확인 항목은 아님.


✅ 문제

체력 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근력이란 오랜 시간 동안 중강도에서 고강도 사이의 동적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② 밸런스 능력은 선 자세유지 등의 정적 밸런스 능력과 보행 등의 동적 밸런스 능력으로 나눌 수 있다.
③ 민첩성이란 전신 혹은 신체의 일부분을 신속하게 움직이거나 재빠르게 방향을 전환하는 능력을 말한다.
④ 순발력은 순간적으로 힘을 발휘하는 능력을 말하며, 검사 방법에는 제자리멀리뛰기, 서전트 점프 등이 있다.

정답: ①


🔍 정답 해설

① 근력에 대한 정의가 틀렸음!

  • **선지 ①의 설명은 ‘근지구력’(Muscular endurance)**에 해당함
  • 근력(Muscular strength)은 단시간에 최대 힘을 발휘하는 능력이고, **‘고강도 운동을 오랜 시간 동안 수행’**은 정의상 맞지 않음

📘 ACSM 11판 기준 체력요소 정의

ACSM은 건강 관련 체력 요소를 다음과 같이 정의해:

⚫ 근력 (Muscular Strength)

  • 🔴 단일 수축에서 발생하는 최대 힘
  • 예: 1RM 벤치프레스, 레그프레스 등

⚫ 근지구력 (Muscular Endurance)

  • 🔵 지속적이거나 반복적인 수축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
  • 예: 푸쉬업, 싯업 테스트

⚫ 순발력 (Power)

  • 🟣 단시간에 폭발적으로 힘을 발휘하는 능력 = 힘 × 속도
  • 예: 서전트 점프, 제자리멀리뛰기, 윙게이트 테스트 등

⚫ 민첩성 (Agility)

  • 🔴 신체의 방향을 빠르게 전환하는 능력
  • 예: 사이드 스텝 테스트, T-테스트

⚫ 균형 (Balance)

  • 🟢 정적/동적 균형으로 구분
    • 정적: 선 자세 유지 (BESS test)
    • 동적: 보행 중 균형 유지, (Y-Balance test)

💡 실전 적용 포인트

  • 체력요소는 운동처방뿐 아니라 체력평가 도구 선택에도 매우 중요
  • 예를 들어, 노인의 낙상 위험을 평가하려면?
    → 정적/동적 균형능력 평가 도구 선택해야 함 (예: 일어나 걷기 검사, 일발서기 등)

🔮 예상문제 (응용형)

근지구력(Muscular Endurance)의 정의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짧은 시간 동안 폭발적인 힘을 발휘하는 능력
② 최대 산소섭취량을 오랫동안 유지하는 능력
③ 일정 시간 동안 반복적 수축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
④ 빠른 방향 전환과 협응을 수행하는 능력

👉 정답:


✅ 문제

체력 검사를 계획하고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검사 결과를 설명할 때는 전문적인 용어보다 일반적인 용어를 사용한다.
② 검사의 타당성, 신뢰성,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한다.
③ 검사해야 할 체력요소와 체력 검사의 목적을 파악한다.
④ 검사는 공개적으로 실시하고 결과를 공유한다.

정답: ④


🔍 정답 해설

④는 ACSM 기준에 어긋나는 문항!

  • 체력검사는 공개적으로 진행되면 안 됨.
  • 개인의 건강 정보와 관련된 프라이버시(privacy) 및 **기밀성(confidentiality)**을 보장해야 함
  • 검사 결과는 본인에게만 개별적으로 설명해야 하며, 동의 없는 공개는 금지됨

📘 ACSM 11판 기준: 체력검사 계획 및 운영 원칙

⚫ 체력검사 계획 시 고려사항

  1. 검사 목적과 검사 대상에 맞는 체력요소 선정
  2. 타당도(Validity): 해당 체력요소를 잘 측정하는가?
  3. 신뢰도(Reliability): 반복해도 결과가 일관되는가?
  4. 객관성(Objectivity): 검사자 간 편차 없이 일관된 결과인가?

⚫ 검사 결과 설명 시 주의점

  • 일반 용어 사용
    → 대상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쉬운 언어로 설명
  • 비교자료 제공
    → 기준치(norms)나 퍼센타일 등으로 의미 해석

⚫ 윤리적 요소

  • 사전 동의(Informed consent) 필수
  • 기밀성 유지(Confidentiality)
    → 결과는 대상자 본인 외에 외부에 공유해서는 안 됨

💡 실전 적용 포인트

  • 대상자가 고령자, 비전문가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쉬운 말 + 시각적 자료가 핵심
  • 예: “심박수가 80bpm입니다” 보다는
    👉 “심장이 1분에 80번 뛰는 건데, 정상 범위에 잘 들어와 있어요” 같은 설명이 더 효과적임

🔮 예상 문제 (응용형)

다음 중 체력검사 시 고려해야 할 윤리적 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검사 전 구두 동의만 받아도 충분하다.
② 검사 결과는 기밀을 유지해야 한다.
③ 검사 전 검사 목적을 설명해야 한다.
④ 대상자의 불편한 신체 반응 발생 시 즉시 중단한다.

👉 정답:
→ ACSM 기준상 **문서화된 동의(Informed Consent)**가 필요함.


✅ 문제

심폐지구력 검사에 대한 일반적인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YMCA 3분 스텝 검사는 박자에 익숙해진 후 실시한다.
② 락포트(Rockport) 1.6km 걷기 검사 결과로 최대산소섭취량의 추정이 가능하다.
③ 동일 강도로 실시한 스텝 검사의 심박수 반응은 체력 수준에 따라 상이하다.
④ 퀸즈대학 스텝 검사(Queens college step test) 실시 후 대상자는 의자에 앉아 분당 심박수를 측정한다.

정답: ④


🔍 정답 해설

④번이 틀린 이유는?

Queens College Step Test는 운동 종료 후 5초 이내 바로 심박수 측정을 시작해야 하고,
대상자는 서서(resting position) 6초 × 2 = 1분간 심박수를 추정하는 방식이야.
의자에 앉아서 분당 심박수를 측정하는 방식은 아님!

 


📘 ACSM 11판 기준 정리: 아급성 심폐지구력 검사

검사명 방법 특징
YMCA 3분 스텝 테스트 12인치 스텝, 3분간 96bpm 리듬에 맞춰 오르내리기 종료 후  앉은 자세에서 60초간 맥박수 측정
Queens College Step Test 16.25인치 스텝, 남 96bpm / 여 88bpm 운동 종료 직후 서서  5초 이내에 맥박 측정 시작
Rockport 1마일 걷기 테스트 1.6km(1mile) 빠르게 걷고 마지막 심박수 측정 VO₂max 추정 가능 (연령·성별·시간·HR 변수 포함된 식 사용)

✅ 모두 서브맥스(Submaximal) 테스트로, 고위험자나 일반인을 위한 안전한 심폐지구력 평가 도구로 사용돼.


💡 실전 적용 포인트

  • 심폐지구력 검사를 최대운동부하검사(GXT) 없이 평가할 때 이 서브맥스 검사를 사용해
  • 특히 락포트 테스트는 걷기 기반이라 고령자나 비활동자에게 적합
  • 퀸즈 스텝 테스트는 박자 정확도와 맥박 측정 타이밍이 핵심!

😼 헷갈렸던 1번 보자!

“박자에 익숙해진 후 실시한다” → 맞는 말이야!
왜냐하면 스텝 테스트는 **규칙적인 리듬(예: 메트로놈)**에 맞춰 움직여야 하고,
리듬에 어긋나면 검사 정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사전에 연습해서 익숙해진 후 진행하는 게 원칙이야.


🔮 예상문제

다음 중 Rockport 1마일 걷기 테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변수는?
① 성별
② 연령
③ 보행 시간
④ 안정시 혈압

👉 정답: ④ 안정시 혈압
→ 혈압은 VO₂max 추정 공식에 들어가지 않아.

 

많이 헷갈리는 두 검사인 YMCA 3분 스텝 검사랑 **퀸즈대학 스텝 검사(Queens College Step Test)**를
ACSM 11판 기준으로 한눈에 비교해줄게 🧠📘


🟢 YMCA vs 🟣 퀸즈대학 스텝 검사 비교표

항목 🟢 YMCA 3분 스텝 검사 🟣 퀸즈대학 스텝 검사
🔹 검사 목적 심폐지구력 평가 (서브맥스) 심폐지구력 평가 (서브맥스)
🔹 스텝 높이 12인치 (약 30.5 cm) 16.25인치 (약 41.3 cm)
🔹 박자(bpm) 96 bpm (남녀 동일) 남: 96 bpm / 여: 88 bpm
🔹 스텝 속도 24회/분 (1박에 한 발) 남: 24회/분, 여: 22회/분
🔹 운동 시간 3분 3분
🔹 종료 후 자세 앉은 자세에서 심박수 측정 서 있는 자세에서 심박수 측정
🔹 심박수 측정 타이밍 종료 후 5초 이내, 1분간 측정 종료 후 5초 이내, 15초간 측정 → ×4 해서 1분 추정
🔹 VO₂max 추정 여부 가능 (간접적 분류 기준 사용) 가능 (추정 공식 존재)
🔹 장점 단순, 장소 제약 적음, 일반인용 높이가 높아 상대적 난이도↑, 정확한 메트로놈 필요

🟡 주의 포인트 정리

  • YMCA는 검사 종료 후 앉아서 맥박 측정
  • 퀸즈는 검사 종료 후 서서 바로 맥박 측정

그래서 4번 문제에서 “퀸즈대학 스텝 검사 후 의자에 앉아 측정한다”는 건 오답이 되는 거지 😼

💙 대표적 심폐지구력 검사 비교표 (서브맥스 기준)

검사명 방법 스텝 높이/거리 박자 측정 대상자 특성
🟢 YMCA 3분 스텝 검사 3분간 박자 맞춰 스텝박 오르내리기 12인치 (30.5 cm) 96 bpm (남녀 동일) 🪑 앉아서 1분간 맥박수 측정 초보자, 일반인
🟣 퀸즈대학 스텝 검사 (Queens College) 3분간 스텝박 오르내리기 16.25인치 (41.3 cm) 남: 96 / 여: 88 bpm 🙋 서서 15초간 맥박수 측정 ×4 체력 중간 이상
🔵 Rockport 1마일 걷기 1.6 km 빠르게 걷기 - (트랙 걷기) 자율 속도 (빠르게 걷기) 마지막 맥박 + 시간 + 체중 → VO₂max 공식 계산 고령자, 비활동자
🟠 쿠퍼 12분 달리기 검사 (Cooper) 12분간 최대한 멀리 달리기 측정 거리 기반 자율 페이스 총 거리로 VO₂max 추정 활동적인 성인
🟡 하버드 스텝 검사 (Harvard) 5분간 30스텝/분 스텝박 반복 20인치 (약 50.8 cm) 30회/분 (1초 2회) 1, 2, 3분 시 맥박 측정 → 피트니스 지수 군인, 운동선수 등 고강도 가능자

🧠 각각 검사 선택 팁

  • YMCA: 운동 시작 전 기본 심폐체력 파악에 적합, 장비 간단
  • 퀸즈대학: 더 높은 스텝, 더 정확한 페이스 → 상대적으로 고강도
  • Rockport: 노인, 비만자, 고위험자에게 안전하게 사용
  • Cooper: 자율 달리기 기반으로 고강도 적용 가능 (선수나 군인 적합)
  • Harvard: 체력 측정이 강한 군사적 목적일 때 사용

🔎 ACSM에서 제시하는 선택 기준 요약

  • ✔ 건강 상태
  • ✔ 운동 경험 유무
  • ✔ 체력 수준
  • ✔ 장비 및 환경 조건
  • ✔ 심박수 측정 가능성

🔮 예상 기출 패턴

다음 중 Rockport 1마일 걷기 테스트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운동 종료 후 즉시 맥박을 측정한다.
② 운동 중 최대 심박수를 측정한다.
③ VO₂max를 추정할 수 있다.
④ 거리, 시간, 심박수, 연령 등이 평가 요소다.

👉 정답: ②
→ Rockport는 아급성(Submax) 검사로, 최대 HR 측정하지 않음!

⚫ 아급성 검사란?

→ 말 그대로 ‘최대치(Submax)’까지는 도달하지 않는 검사를 말해.

✅ 정의:

개인의 최대 능력(예: 최대산소섭취량, VO₂max)에 도달하지 않고,
일정한 하위 강도(보통 70 ~ 85% VO₂max or HRmax) 수준까지만 수행하여 체력을 추정하는 검사 방식

 


🔵 아급성 vs 최대 운동 검사 비교

항목 아급성 검사 (Submaximal Test) 최대 운동검사 (Maximal Test)
🔹 강도 70 ~ 85% 최대 수준까지만 진짜 최대한까지 수행
🔹 목적 VO₂max를 추정 (간접) VO₂max를 직접 측정
🔹 안전성 🟢 상대적으로 안전 🔴 고위험자에겐 부담
🔹 예시 YMCA 스텝, Rockport, Queens 등 GXT(점증부하검사), Bruce 프로토콜 등
🔹 장비 간단 (박자기, 심박계 정도) 복잡 (호흡가스 분석기, ECG 필요)
🔹 대상 일반인, 고령자, 고위험자 가능 건강한 젊은 성인, 선수 대상

🧠 왜 Submax 검사를 쓰는 걸까?

  1. 모든 사람이 최대 운동을 할 수 있는 건 아니기 때문
    → 예: 고혈압, 당뇨, 관상동맥질환 있는 사람은 위험할 수 있음
  2. 장비나 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도 사용 가능
    → 예: 체육관, 병원 외래, 학교 등
  3. 간접이지만 꽤 정확한 추정 가능
    → 특히 HR 반응 기반으로 계산하면 꽤 근사치가 나와!

🟣 예비 건운사를 위한 한마디 비유타임 🎀

아급성 검사는 카톡 프로필 사진만 보고 그 사람 외모 추정하기랑 비슷해!
직접 만나진 않았지만, 사진(간접 지표)으로도 어느 정도는 유추 가능하잖아?
대신 조명이나 각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까 완벽하진 않아.

그게 바로 아급성 검사의 ‘추정'이다냥 😼

 


✅ 문제

ACSM 11판 기준 최대운동검사의 절대적 금기사항에 해당하는 것들만 고르면?

<보기>
➀ 급성대동맥박리
➁ 진행 중인 불안정 협심증
➂ 협조 능력이 제한되는 정신장애
➃ 증상을 동반한 중증 대동맥판협착
➄ 혈역학적 요인을 동반한 조절되지 않는 심장부정맥
➅ 안정 시 수축기 혈압 200 mmHg 이상 또는 이완기 110 mmHg 이상

정답: ②번 (➀, ➁, ➃, ➄)


📘 ACSM 11판 기준 – 최대운동검사의 절대 금기사항 (Absolute Contraindications)

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절대로 검사 진행하면 안 됨!

  1. 최근의 급성 심근경색 (2일 이내)
  2. 진행성 불안정 협심증 (Unstable angina)
  3. 조절되지 않는 심장부정맥 (Arrhythmia)
  4. 증상을 동반한 중증 대동맥판 협착 (Severe aortic stenosis with symptoms)
  5. 조절되지 않는 심부전, 심낭염, 심근염, 대동맥박리
  6. 급성 폐색전증 or 폐부종
  7. 급성 대동맥박리 (Acute aortic dissection)
  8. 신체적/정신적 제한으로 협조 불가 → ⚠️ 상대적 금기사항에 해당!

🟡 선지별 분석

보기내용 판별 이유 
➀ 급성 대동맥박리 ✅ 절대 금기 대동맥 파열 위험
➁ 진행 중인 불안정 협심증 ✅ 절대 금기 심근경색 위험
➂ 협조 능력 제한 정신장애 ❌ 상대 금기 상대적 금기
➃ 증상 동반 중증 대동맥판협착 ✅ 절대 금기 좌심실 부하 위험
➄ 조절되지 않는 부정맥 ✅ 절대 금기 심정지 위험
➅ 안정 시 혈압 ≥ 200/110 ❌ 상대 금기 증상 없으면 상대 금기임

💡 기억 꿀팁: 절대 금기사항 3대 분류

  1. 심장 구조 문제: 대동맥박리, 대동맥판협착
  2. 심장 리듬 문제: 부정맥, 협심증
  3. 급성/진행성 상태: 심근경색, 폐색전증, 심낭염 등

🔮 예상 기출 변형

다음 중 최대운동검사의 상대적 금기사항에 해당하는 것은?
① 조절되지 않는 심장부정맥
② 진행성 협심증
③ 안정 시 혈압 210/115 mmHg
④ 증상을 동반한 대동맥판 협착

👉 정답:

📘 ACSM 11판 기준

💥 최대운동검사 금기사항 비교표


구분 설명
🔴 절대 금기(Absolute contraindications) 검사하면 생명 위협 가능, 절대로 X
① 최근의 심근경색 (2일 이내) 심장 조직이 불안정한 상태
② 진행성 불안정 협심증 resting 시에도 흉통 발생 가능
③ 조절되지 않는 심장부정맥 심실세동, 심정지 위험
④ 증상을 동반한 중증 대동맥판 협착 좌심실 부하 증가로 실신·심정지 위험
⑤ 조절되지 않는 심부전 폐부종, 급성 심장기능 저하
⑥ 급성 대동맥박리 대동맥 파열 위험, 즉시 수술 필요
⑦ 급성 폐색전증 / 폐부종 심폐 기능 급격히 저하됨
⑧ 심근염, 심낭염 염증성 심장 손상 위험
⑨ 신체적·정신적 제한으로 검사 협조 불가 (※ 일부 문헌에선 상대 금기 분류) 협조 안 되면 검사 신뢰도 X

 


구분 설명
🟡 상대 금기(Relative contraindications) 조건부로 가능하나, 주의 깊게 판단해야 함 설명
① 중등도 대동맥판 협착 (증상 없음) 정기 추적관찰 필요
②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 (SBP ≥ 200, DBP ≥ 110) 심혈관계 부담 큼
③ 전해질 이상 (저칼륨, 저나트륨 등) 심장 전도장애 위험
④ 빈혈, 고열, 대사성 질환 체온조절 및 순환계 이상 가능
⑤ 고도 서맥, 빈맥 자율신경계 조절 문제
⑥ 심장 판막 질환, 심근비대증 등 무증상 구조질환 검사 중 모니터링 필요
⑦ 고급 전도장애 (예: 2도 이상 AV block) 부정맥 발생 우려
⑧ 심한 폐기능 저하 산소 포화도 급감 가능
⑨ 뇌혈관 질환 병력 (예: 최근 뇌졸중) 신경학적 증상 재발 우려

💡예비 건운사를 위한 꿀팁 요약

  • 🔴 절대 금기는 = "지금 검사하면 죽을 수도 있음❌" → 무조건 금지!
  • 🟡 상대 금기는 = "상태 봐서 조심히 할 수도 있음⚠️" → 의사 판단 필요!

🐾 기억 비법 – “절대 금기 3대 카테고리”

  1. 🔥 급성 상태: 심근경색, 심근염, 폐색전증
  2. 🫀 구조적/기능적 문제: 대동맥판 협착, 심장박리
  3. ⚡ 리듬 문제: 부정맥, 조절되지 않는 심부전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