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동생리학/23년도 기출문제풀이

23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생리학 16-20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by 둔근해 2025. 3. 23.
반응형

🧠 6단 콤보 풀이 – 폐용적 & 폐용량 개념 문제


1️⃣ 기본 개념 먼저!

🫁 폐용적(Volume): 개별 호흡량
🫁 폐용량(Capacity): 2개 이상의 폐용적이 합쳐진 개념


2️⃣ 주요 폐용적 & 폐용량 정의표

용어구성 요소
① 총폐용량 (TLC) 잔기용적(RV) + 들숨예비용적(IRV) + 날숨예비용적(ERV) + 1회호흡량(TV)
② 들숨용량 (IC) 1회호흡량(TV) + 들숨예비용적(IRV)
③ 기능적 잔기용량 (FRC) 잔기용적(RV) + 날숨예비용적(ERV)
④ 폐활량 (VC) IRV + TV + ERV (잔기용적은 제외!)

3️⃣ 보기 분석

① 총폐용량 = 들숨예비용적 + 잔기용적 ❌

  • 틀림!
  • 총폐용량에는 1회호흡량(TV), 날숨예비용적(ERV)도 포함되어야 함
  • ✔ 총폐용량 = IRV + TV + ERV + RV
  • IRV + RV만으로는 부족하쟝!

✅ 정답이 여기 있다옹~!


② 들숨용량 = 1회호흡량 + 들숨예비용적 ✅

  • 정확한 정의!
    → 들숨용량(IC) = TV + IRV

③ 기능적 잔기용량 = 날숨예비용적 + 잔기용적 ✅

→ 기능적 잔기용량(FRC) = ERV + RV
→ 정확!


④ 폐활량 = 들숨예비용적, 1회호흡량, 날숨예비용적 ✅

→ 폐활량(VC) = IRV + TV + ERV
→ 정확!


4️⃣ 출제 의도

  • 폐용량 구성 요소 정확히 알고 있니?
  • IRV, ERV, RV, TV 개념 잘 연결할 수 있니?

5️⃣ 혼동 방지 팁

📌 폐활량(VC) = 우리가 의식적으로 내쉴 수 있는 모든 양
📌 총폐용량(TLC) = 폐 속에 존재 가능한 최대 공기량
📌 기능적 잔기용량(FRC) = 정상 호흡 끝났을 때 폐에 남은 공기량


6️⃣ 귀엽게 기억할 팁

폐활량 = 들숨예비 + 날숨예비 + 평소 호흡량
총폐용량 = 그거 다 + 숨겨진 잔기공간!


✅ 정답 정리 구조

  • 정답: ①번
  • 이유: 총폐용량 = IRV + TV + ERV + RV
    → 보기 ①은 IRV + RV만 있으므로 ❌ 틀림!

🐾 고양이 요약 한 줄

"총폐용량은 숨을 들이쉬고, 내쉬고, 남은 거 전부 합쳐야 한다냥~
IRV랑 RV만으론 부족하당! 정답은 ①번이냥!"


🧠 6단 콤보 풀이 – 순환계 개념 문제


1️⃣ 핵심 개념 요약

항목 개념
혈압(BP) 심박출량(CO) × 말초저항(TPR)
동맥압 수축기압(SBP), 이완기압(DBP)로 구분
MAP(평균동맥압) 대개 이완기 압에 더 큰 비중
세동맥 혈압 조절의 주요 지점, 저항 혈관
대동맥 압력 가장 높음 (심장에서 바로 나가니까)

2️⃣ 보기 분석

① 세동맥은 교감신경 활성화에 의해 혈관 저항이 변한다.

✅ 맞다!

  • 세동맥은 말초저항의 중심
  • 교감신경 활성화 → 수축 → 저항↑ → 혈압↑
  • 부교감 억제 → 확장 → 저항↓ → 혈압↓

② 평균 동맥혈압은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의 평균으로 계산한다.

❌ ❗ 틀림! 이게 정답이다냥!

  • 보통 평균 동맥압(MAP)은 단순 평균이 아니라 가중 평균
  • 왜냐하면 이완기 시간이 더 길기 때문!
    → 단순 평균 ❌, 가중 평균이 정답!


③ 대동맥은 심장으로부터 혈액을 직접 받으므로 압력이 가장 높다.

✅ 맞음!

  • 심실 수축 시 혈액이 바로 대동맥으로 뿜어져 나가니까
  • 동맥 중 가장 높은 압력

④ 동맥혈압은 혈액량, 혈액점도, 심박출량, 총말초혈관저항에 영향을 받는다.

✅ 맞음!

  • 동맥압은 아래 네 가지 요인의 영향을 받음:
    • 혈액량 (volume)
    • 혈액 점도 (viscosity)
    • 심박출량 (CO)
    • 총말초저항 (TPR)

3️⃣ 출제 의도

  • 평균 동맥압 공식 알고 있니?
  • 동맥압 결정 요인 구분할 수 있니?
  • 교감신경 작용과 혈관 반응 이해했니?

4️⃣ 정답 구조화

보기정오 여부설명
보기 정오 여부 설명
교감신경 → 세동맥 수축 → 저항↑
단순 평균 아님! → 가중 평균임!
대동맥 압력 최고
혈압 결정 요인 4총사!

✅ 정답: ②번


🐾 고양이 요약 한 줄

“평균 동맥압은 단순 평균 아니고,
이완기가 길어서 가중 평균으로 계산한다냥~
정답은 ②번이냥!”


🧠 6단 콤보 풀이 – 대기오염 물질(특히 일산화탄소)


1️⃣ 핵심 개념 요약

질문에서 말하는 물질의 특징을 보면?

  • 무색, 무취 → 감지 어려움
  • 헤모글로빈 결합력 O₂보다 200배 ↑
  • O₂ 대신 결합해서 산소 운반 기능 ↓
  • ➡️ 저산소증(hypoxia) 유발
  • 운동능력 ↓, 최대산소섭취량(VO₂max) ↓

✅ 이건 딱! 일산화탄소(CO) 다냥!


2️⃣ 보기 분석

① 일산화탄소 ✅ 정답!

  • 위 조건을 모두 만족!
  • 혈액의 산소운반 능력 직접 저해
  • 해모글로빈에 강하게 결합 → 산소 못 실음
  • → 운동능력 저하 + 지속 시간 단축

② 이산화탄소 ❌

  • 우리 몸에서 자연스럽게 발생
  • 과도할 경우 문제지만, 보기 조건과는 다름

③ 수소 ❌

  • 대기오염 물질로는 X
  • 산소와 결합하여 물이 되긴 하지만, 해모글로빈과는 무관

④ 헬륨 ❌

  • 불활성 기체
  • 산소운반에 영향 X
  • 오히려 의료용 기체로 사용되기도 함 (ex. 헬리옥스)

3️⃣ 출제자의 의도

  • 일산화탄소의 운동생리학적 영향을 알고 있는가?
  • 무색무취한 위험물질을 구분할 수 있는가?

4️⃣ 보기에 나온 특징 정리

특징해당 여부
특징  해당 여부
무색, 무취 기체 ✅ CO
허파 확산 능력 감소 ✅ CO
Hb 친화도 ↑, O₂ 운반 저해 ✅ CO

5️⃣ 연관 개념 확장

물질작용인체 영향
물질 작용 인체 영향
일산화탄소 (CO) Hb에 결합 저산소증, 운동능력 저하
이산화탄소 (CO₂) 산-염기 균형 조절 과다 시 호흡성 산증
수소 (H₂) 폭발성 기체 생리학적 영향 거의 없음
헬륨 (He) 불활성 기체 운동생리학과 관련 없음

✅ 정답: ①번 일산화탄소(CO)


🐾 귀여운 고양이 요약 한 줄

“CO는 몰래 와서 해모글로빈을 낚아채서
산소 자리를 뺏는다냥~!
운동할 때 진짜 위험한 놈이니까 ①번이 정답이냥~!”


 

🧠 6단 콤보 풀이 – 자율신경계 개념 문제


1️⃣ 자율신경계 기본 구조

구분 주요 기능 특징
교감신경계 흥분, 긴장, 운동 시 심박수↑, 혈압↑, 소화 억제
부교감신경계 안정, 이완, 회복 시 심박수↓, 소화촉진, 휴식
공통점 불수의근 조절 심장, 평활근, 내분비샘 등 제어

2️⃣ 보기 분석

① 교감신경 활성 ↑ + 부교감 ↓ → 심박수 증가

✅ 맞다냥!

  • 교감 활성 → 심박↑
  • 부교감 억제 → 억제력이 줄어들어 심박↑
  • 둘 다 심박수 증가에 기여함

② 안정 시 교감 + 부교감 모두 활성되나, 부교감이 우세

✅ 맞음!

  • 완전 OFF/ON 개념 아님
  • 기본적으로 둘 다 항상 작용하지만
    → 안정 시에는 부교감 우세
    → 운동, 스트레스 시엔 교감 우세

③ 심장, 평활근, 내분비샘 → 불수의 기관 → 자율신경계 담당

✅ 맞음!

  • 자율신경계는 수의적으로 조절 불가능한 기관을 조절
    → 심장근, 소화기 평활근, 호르몬 분비샘 등

④ 아세틸콜린은 골격근 NMJ에서 억제성으로 작용❌

❗ 틀렸당! 여기가 정답이냥!

  • 골격근의 신경근접합부(NMJ) 에서 아세틸콜린은
    → ⚡ 흥분성 작용!
    Na⁺ 유입 유도 → 탈분극 → 수축 유도!
  • 오히려 심장근육에서는 억제성
    → 부교감신경(미주신경) → 아세틸콜린 → 심박수↓ (억제적 작용)

3️⃣ 출제자의 의도

  • 신경전달물질의 작용이 조직마다 다르다는 것 알고 있니?
  • 교감/부교감의 특성과 작용 대상 구분할 수 있니?

4️⃣ 정답 구조화

보기정오 여부설명
보기 정오 여부 설명
교감↑ → 심박수↑
안정 시 부교감 우세
자율신경계 → 불수의 기관 담당
골격근에서는 흥분성, 심장에서 억제성

✅ 정답: ④번


🐾 귀여운 고양이 요약 한 줄

“아세틸콜린은 골격근한테는 ‘가자!’ 하고
심장한테는 ‘쉬자~’ 하는 이중인격 물질이다냥~
정답은 ④번이쟝!”


1️⃣ 핵심 개념 요약

Excitation-Contraction Coupling (E-C Coupling)
→ 신경 흥분이 근육 수축으로 이어지는 연결 과정

📌 흐름 순서 요약

① 운동신경 말단에서 Ach 분비 →
② 근형질세막 탈분극 →
③ 활동전위가 T-소관(T-tubule) 따라 전달 →
④ 근형질세망(SR)에서 Ca²⁺ 방출 →
⑤ Ca²⁺이 트로포닌과 결합 →
⑥ 액틴-미오신 교차다리 형성 →
⑦ ATP분해로 수축 유도

✅ 정답: ②번

ATPase는 근수축을 위한 ATP 분해를 촉진한다.
→ 💯 완전 정답냥!
→ 정확히는 미오신 머리부의 ATPase
→ ATP → ADP + Pi 로 분해하면서 파워스트로크 에너지를 공급해준다옹!


이제 문제의 핵심!

❌ ①, ③, ④ 왜 오답인지? 하나하나 검토 들어간다냥!


❌ ① “활동전위는 근형질세막 막을 따라 이동한다.”

📌 얼핏 보면 맞는 말처럼 보이지만, 출제자는 **“용어 정확도”**를 기준으로 오답 처리했을 가능성 높음!

  • 근형질세막(sarcolemma) → 골격근 세포의 세포막 전체
  • 막(membrane) 이라는 말은 너무 일반적이고,
    활동전위가 특정 부위(T-소관, transverse tubule) 를 따라 이동하는 구조적 설명이 빠짐

🟡 또한,

  • “근형질세막 막” 이라는 표현은 중복 표현
    → ‘세막’이 이미 막이란 뜻이므로 ‘막을 따라’는 어색한 표현
    → 출제자가 정확한 생리 용어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오답 처리했을 가능성 높음!

✅ 바르게 고친다면:
“활동전위는 근형질세막의 T-소관을 따라 이동한다.”


❌ ③ “칼슘은 액틴에 위치한 트로포마이오신과 결합한다.”

📛 이건 명백한 ❌ 오답임!

  • 칼슘(Ca²⁺)은 트로포마이오신(tropomyosin) 과 직접 결합 ❌
  • 정확히는 👉 트로포닌 복합체 중 ‘트로포닌 C (TnC)’ 에 결합함
  • 그 다음 트로포닌 구조가 바뀌며 트로포마이오신을 이동시켜 액틴의 활성 부위 노출

✅ 바르게 고친다면:
“칼슘은 트로포닌 C 에 결합하여 트로포마이오신을 이동시킨다.”


❌ ④ “가로세관의 탈분극은 근형질세망에서 아세틸콜린을 분비한다.”

📛 이것도 분명한 ❌ 오답!

  • 아세틸콜린(Ach) 은 절대 근형질세망(SR) 에서 나오지 않음!
  • 운동신경 말단(axon terminal)에서 분비됨
  • 근형질세망(SR)의 역할은 칼슘 저장 및 방출!

✅ 바르게 고친다면:
“가로세관의 탈분극은 근형질세망에서 칼슘이 분비되도록 유도한다.


📌 출제자 의도 요약

보기출제자 판단틀린 이유 요약
❌ 오답 중복·부정확한 표현 (“근형질세막 막”)
❌ 오답 Ca²⁺는 트로포닌에 결합, 트로포마이오신 ❌
❌ 오답 Ach는 근형질세망이 아니라 신경 말단에서 나옴
✅ 정답 ATPase는 수축 에너지 제공 → 정확함!

🐾 아르키쟝 요약 한 줄

“1번은 용어가 이상하고,
3번은 결합 대상이 틀리고,
4번은 분비 장소가 틀렸다냥~!
②번만 깔끔하게 맞는 정답이쟝!”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