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개념 정리: 심폐지구력 검사 결과 해석
🔴 1. 결정계수 R^2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 정의: 독립변수가 종속변수를 얼마나 잘 설명하는지 나타내는 지표
- 범위: 0 ~ 1 사이 값
- 해석:
- R^2 = 0.81 → 독립변수가 종속변수 변동의 81%를 설명함
- ✅ 클수록 모델의 설명력↑, 즉 예측력↑
🔵 2. 상관계수 r (Correlation Coefficient)
- 정의: 두 변수 간 직선적 관계의 강도와 방향을 나타내는 지표
- 범위: -1 ~ +1
- r>0r > 0: 양의 상관관계
- r<0r < 0: 음의 상관관계
- 계산: r=R2r = \sqrt{R^2} (단, 양의 선형관계일 때만 해당)
- 예시: R^2=0.81→r=0.9
🟣 3. 단순 선형 회귀식 (Simple Linear Regression)
- 일반형: y=ax+by = ax + b
- : 기울기 (독립변수 1 증가 시 종속변수 변화량)
- : y절편 (x=0일 때 y값)
- 예:
- 2차 회귀식 y=1.08x+1.5y = 1.08x + 1.5
→ x가 1 증가하면 y는 1.08 증가
- 2차 회귀식 y=1.08x+1.5y = 1.08x + 1.5
🟡 4. 이상점 (Outlier)
- 일반적인 경향에서 멀리 떨어진 관측값
- 회귀분석에서 이상점은:
- 모델의 적합도를 떨어뜨릴 수 있음
- 결정계수 R^2 값에 영향을 줌
- 🟢 보통 이상점을 제거하면 모델의 설명력↑, R^2도 증가하는 경향
예시 정리 📝
- 1차 측정: y=x+15.5, → 설명력 낮음
- 2차 측정: y=1.08x+1.5, → 설명력 높음, 예측 적합
⚫ 문제 풀이 핵심 포인트
- 1차 측정:
회귀식: y=x+15.5y = x + 15.5
결정계수 R2=0.54R^2 = 0.54 - 2차 측정:
회귀식: y=1.08x+1.5y = 1.08x + 1.5
결정계수 R2=0.81R^2 = 0.81
보기별 검토

✅ 정답: ③

🔍 [문제 재확인]
다음은 윗몸일으키기 검사 결과 해석 문제야.
<그림>에는 다음 정보가 주어졌어:
- 총 인원수: N = 100명
- 평균: 50회
- 표준편차: 10
- Q1 (25%): 41회
- Q3 (75%): 56회
- 46% 누가백분율: 49.5회
- 누적백분율 곡선(Cumulative Percentile Graph)으로 주어진 분포임.
✅ 보기별 상세 분석
✅ 보기 ① “사분위편차는 7.5이다.” → 정답
🔹 **사분위편차(Quartile Deviation)**는 다음과 같이 정의돼:

- Q3 = 75번째 백분위수 = 56회
- Q1 = 25번째 백분위수 = 41회

✅ 정확하게 계산된 값과 일치 → 정답
❌ 보기 ② “윗몸일으키기 29회 이하인 인원수는 25명이다.”
🔹 누적 백분율 곡선을 보면, 29회는 약 17% 지점에 해당
→ 100명 중 17명 정도가 29회 이하 수행
🟡 이 보기가 맞으려면?
- 25명이 29회 이하라는 것은 25% 누가백분율에 해당해야 함
- 그럼 점수는 최소한 41회 이하여야 함 (Q1)
➡ 29회는 너무 낮은 값이므로, 25명에 해당하려면 더 높은 점수가 필요
❗정리:
- 현재 값: 29회 → 약 17명
- 맞게 되려면: 41회 이하여야 25명 해당됨
➡ 오답
❌ 보기 ③ “윗몸일으키기 57회 이상인 인원수는 35명이다.”
🔹 먼저, 57회는 그래프상 약 65% 지점에 위치
→ 65%는 57회 미만, 나머지 35%가 57회 이상
🟣 얼핏 보면 맞는 말처럼 보임!
하지만 조심해야 할 점 있음:
- 그래프에는 57회라는 수치는 없음, 정확히는 75% 지점이 56회
- 57회는 75%보다 더 높아야 하는데, 그럼 누가백분율은 75% 초과여야 함
즉, 57회가 35%에 해당하려면:
- 누가백분율이 65%여야 함
- 그에 해당하는 점수는 약 55회여야 맞음
❗정리:
- 현재 보기: 57회 이상 = 35명 → 너무 높은 기준
- 맞게 되려면: 56회 이상 = 25명, 54회 이상 = 35명 정도
➡ 오답
❌ 보기 ④ “누가백분율 46%에 해당하는 원점수의 표준점수는 -0.5이다.”
🔹 누가백분율 46%에 해당하는 원점수 = 49.5회 (그래프에 표시됨)
📘 표준점수(Z점수) 공식:

- 보기에서는 -0.5라고 과장됨
- 10배 차이! → 계산 오류로 인한 오답
🟢 이 보기를 맞게 고치려면?
→ “누가백분율 46%에 해당하는 원점수의 표준점수는 -0.05이다.”
➡ 오답
🎯 정답: ① 사분위편차는 7.5이다.
🧠 핵심 복습 정리
개념 | 정의 | 이 문제에 적용 |
사분위편차 | (Q3−Q1)/2 | (56−41)/2=7.5 |
누가백분율 | 누적된 백분율 값 | 29회 = 약 17% |
표준점수(Z) | (X−μ)/σ | (49.5−50)/10=−0.05 |

⚫ 보기별 정리
❌ 보기 ① “위앞엉덩뼈가시(ASIS)에서 바깥쪽 복사뼈까지 다리 길이를 측정한다.”
오답 (정답)
🔍 이유:
- ACSM 11판을 기준으로 할 경우, 다리 길이 측정은:
- **“ASIS에서 내측 복사뼈 (medial malleolus)까지”**가 정답이야.
⚠ 혼동 포인트:
- Y-Balance Test를 FMS 도구 기반으로 할 경우 **lateral malleolus(가측 복사뼈)**를 쓰는 매뉴얼도 있음.
- 하지만, 국가공인 자격 시험 및 ACSM 기준에선 내측 복사뼈가 원칙임.
➡ 따라서 보기 ①은 옳지 않은 설명 → 정답 처리
✅ 보기 ② “각 방향과 각 발에 대한 세 번의 시도 중 가장 좋은 기록을 평가에 사용한다.”
옳은 설명 (오답 아님)
🔍 이유:
- Y-Balance Test 공식 매뉴얼에 따르면,
- “각 방향에 대해 3회의 시도 중 가장 좋은 기록을 채택한다.”
→ 평균 아님!
✔ 출처: Plisky et al. (2009), YBT 매뉴얼, FMS Standard
➡ 따라서 보기 ②는 맞는 설명임
✅ 보기 ③ “한 발로 중앙 블록에 맨발로 서며, 체중을 지탱하는 다리가 검사되는 다리이다.”
옳은 설명
- YBT는 한쪽 발로 중심 블록에 서고, 반대발로 세 방향(전방, 후내측, 후외측)으로 뻗는 검사임.
- **서 있는 다리(체중 지탱 다리)**가 바로 검사 대상 다리(Tested limb)임.
✔ 옳은 설명 → 오답 아님
✅ 보기 ④ “앞쪽, 뒤 안쪽, 뒤 가쪽 최고 기록의 합을 다리 길이의 3배로 나누어 종합점수(다리 길이의 백분율)를 얻는다.”
옳은 설명
📘 공식:

- ANT: Anterior
- PM: Posteromedial
- PL: Posterolateral
✔ 정확한 계산 공식 → 옳은 설명
✅ 정답: ①
🧠 추가 개념 정리
항목 | 내용 |
검사 다리 | 체중을 지탱하는 다리 |
측정 방향 | 전방(Anterior), 후내측(Posteromedial), 후외측(Posterolateral) |
시도 횟수 | 각 방향당 3회 |
기록 선택 | 가장 좋은 기록 1회 사용 (평균 아님) |
종합 점수 | 세 방향 기록의 합 ÷ (다리 길이 × 3) × 100 |
다리 길이 측정 | ASIS ~ medial malleolus (ACSM 기준) |

✅ 보기 ①
유소년기(만 11~12세) 협응력 검사는 벽패스 검사(회/30초)를 실시한다.
✔ 정답 맞음!
- 유소년기 체력검사 항목 중 하나가 협응력
- 검사 방법: 벽에 공을 던졌다 받기 (벽패스)
- 측정단위: 30초 동안 성공한 횟수(회)
✅ 옳은 설명
✅ 보기 ②
어르신기(만 65세 이상) 근지구력 검사는 6분 걷기(m)를 실시한다.
❌ 오답! → 정답
🔍 이유:
- 어르신 체력검사에서 **6분 걷기(6-minute walk test)**는
▶ 심폐지구력(Cardiopulmonary endurance) 항목이야. - **근지구력(Muscular endurance)**은 따로 있음:
✅ 어르신기의 근지구력 검사 = 30초 의자에 앉았다 일어서기(Chair stand test)
→ 횟수(회) 측정
✅ 보기 ③
청소년기(만 13~18세) 민첩성 검사는 일리노이 민첩성 검사(초)를 실시한다.
✔ 맞는 설명!
- 청소년기 검사에서 민첩성 항목으로 일리노이 테스트 사용함.
- 복잡한 방향 전환과 빠른 움직임 평가
- **초 단위(소요 시간)**로 측정
✅ 옳은 설명
✅ 보기 ④
성인기(만 19~64세) 유연성 검사는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cm)를 실시한다.
✔ 정답 맞음!
- 성인기 유연성 항목 =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Sit and reach test)
- 단위: 센티미터(cm)
✅ 옳은 설명
✅ 최종 정답: ②

✅ 보기별 최종 정리
✅ ① “고지혈증을 동반한 고혈압 환자로 의심된다.”
✔ 옳은 설명 (정답)
- 혈압 142/84 → SBP ≥ 130, SBP도 80을 초과함. → 고혈압 진단 기준 충족 (ACSM 11판)
- 총콜 240, LDL 160 → 고지혈증 진단 기준 충족
➡ ✅ 정확한 해석
❌ ② “비만도는 BMI 25, 체지방률 25%로 정상이다.”
- BMI 약 27 → 과체중 기준 (정상 아님)
- 체지방률 24.5% → 여성(36세) 기준으로 경계선상. 정상은 아님.
➡ ✅ 오답
❌ ③ “40% HRR은 132 bpm이며, 심혈관계 위험요인의 수는 1개이다.”
- HRmax = 220 - 36 = 184
- HRrest = 70
- HRR = 114
- 40%HRR = 70 + 0.4×114 = 115.6 ≒ 116 bpm
➡ 132 bpm은 계산 오류
또한, ACSM 11판에서는 위험요인 수는 신체활동부족, 혈압, 지질로 총 3개
➡ ✅ 오답
❌ ④ “HDL-C는 심혈관계 위험요인 중 음성위험요인에 해당된다.”
- 이 여성의 HDL-C는 45 mg/dL (여성) → 50 미만 → 위험요인임!
- 음성위험요인(X)
➡ 보기 자체가 틀림 → 오답
✅ 최종 정답: ①
🔁 최종 요약표
보기 | 정오 | 이유 |
① | ✅ | 고혈압 + 고지혈증 기준 충족 |
② | ❌ | BMI 25는 과체중, 정상은 아님 |
③ | ❌ | HRR 계산 오류 + 위험요인 3개 |
④ | ❌ | HDL 45는 여성 기준 위험요인, 음성요인 아님 |


'📕ACSM > 23년 기출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부하검사 1-5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1) | 2025.03.30 |
---|---|
23년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처방론 16-20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 (0) | 2025.03.30 |
23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처방론 11번-15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0) | 2025.03.30 |
23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처방론 6-10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0) | 2025.03.29 |
23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처방론 1-5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 (0) | 2025.03.29 |
23년 건강운동관리사 건강체력평가 16-20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0) | 2025.03.28 |
23년 건강운동관리사 건강체력평가 6-10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1) | 2025.03.28 |
23년 건강운동관리사 건강체력평가 1-5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0) | 2025.03.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