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CSM/23년 기출문제풀이

23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처방론 6-10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by 둔근해 2025. 3. 29.
반응형

🔹 문제 분석
6번 문제는 유연성 운동(flexibility exercise)에 대한 설명 중에서, ACSM 11판이 권장하는 내용만을 고르는 문제야.


보기 문항 분석 (ACSM 11판 기준)

동적 스트레칭은 운동 기능 향상을 위한 보조 운동으로 권장된다.맞아.ACSM은 운동 전 워밍업동적 스트레칭(dynamic stretching) 을 통해 기능적 유연성과 수행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해. 특히 운동 능력 향상이나 경기력 향상 목적일 땐 동적 스트레칭이 적절하다고 하지.

🟣 즉, 운동 기능 향상 목적에는 동적 스트레칭이 적절한 보조 수단임.


관절염 환자는 통증 없이 긴장을 느끼는 상태까지 신전한다.맞아.ACSM은 만성 질환자나 노인, 관절염 환자 등에게 유연성 운동을 처방할 때

  • "통증 없는 범위에서"
  • "가벼운 긴장감(mild tightness or slight discomfort)"을 느끼는 정도까지만 신전하라고 권장해.
    그래서 이 문장도 맞는 설명이야.

파킨슨 환자는 하지 중심의 동적 스트레칭이 권장된다.틀렸어.파킨슨병 환자는 균형, 협응, 유연성, 보행에 문제가 있지.ACSM은 파킨슨병 환자의 유연성 운동에서 정적 스트레칭(static stretching) 을 기본으로 하고, 근긴장 완화, 관절 가동범위 확보를 목표로 해.동적 스트레칭이 1차 권장 방식은 아니야. 특히 하지 중심의 동적 스트레칭만 강조한 문장은 부적절해.


60초 이상의 정적 스트레칭은 스프린팅의 수행능력을 향상시킨다.틀렸어.오히려 긴 시간(>60초) 정적 스트레칭은 폭발력, 근력, 파워 등 단기적 수행능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어.ACSM도 60초 이상의 정적 스트레칭이 고강도 파워 운동(예: 스프린트) 전에는 수행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고 주의 줘.

🟡 이 보기 문항은 오히려 잘못된 개념을 담고 있어.


최종 정답

정답은 ✅ ②번 (ㄱ,ㄴ)


요약 정리

보기번호 내용 요약 정답 여부 이유 요약
동적 스트레칭은 운동기능 향상 보조로 추천 ACSM 권장
관절염 환자는 통증 없이 긴장감까지만 신전 ACSM 권장
파킨슨병 환자에게 하지 중심 동적 스트레칭 정적 스트레칭 우선
60초 이상 정적 스트레칭 → 스프린트 향상 수행능력 감소 가능

🐾 문제 분석

7. ACSM(11판)에서 임산부의 신체활동 강도를 평가하는 지표로 권고하지 않는 것은?


🔍 ACSM 11판 기준: 임산부 운동 강도 평가법

임신 중에는 최대산소섭취량(VO₂max) 테스트를 하기 어렵기 때문에, 자각적 강도 평가법(RPE), 대화검사(Talk Test)주관적 지표를 권장한다냥.

  • RPE (Rate of Perceived Exertion)
    • 6 ~ 20 척도: 가장 널리 사용되고 검증된 자각적 운동 강도 측정법
    • 임산부에게도 사용 가능하다냥!
  • 대화 검사(Talk Test)
    • 운동 중 대화 가능 여부로 강도를 판단하는 간단하고 실용적인 방법이구
    • 임산부 운동 강도 조절 시 자주 쓰인다냥!
  • 감정 척도(Feeling Scale)
    • 이건 운동의 기분이나 정서적 반응을 평가하는 거지,
    • 운동 강도 측정 도구로는 ACSM에서 권장하지 않는다냥!
  • 0 ~ 10 척도의 RPE
    • ACSM은 임산부 대상 운동 강도 평가에서는 6 ~ 20 척도를 주로 권장하지
    • 0 ~ 10 버전은 임산부 권고안엔 포함 안 된다냥!
    • (0~10 척도는 가끔 노인이나 환자 대상으로 제한적으로 쓰일 수 있지만, 임산부 운동 평가에서는 추천하지 않아!)

✅ 정답: ① 감정 척도, ③ 0~10 척도

→ 보기 중에서 "권고하지 않는 것"을 묻고 있으니까,
정답은 ①, ③ 포함된 ①번이다냥~!! 🐾

❗ 실제로는 ④번 "6~20 척도"만이 ACSM이 임산부에게 공식적으로 권장하는 RPE 스케일이라서,
나머지 선택지는 다 비권장 항목이라 문제 오류 가능성도 있긴 한데,
보기를 봤을 때 가장 명백하게 틀린 건 ① 감정 척도라서 그걸 정답으로 본다

 최종정답은 1번으로 처리 되었음.



🐾 보기 분석

번호 보기 내용 요약 맞는지? 근거 ACSM 11th 기준
과체중 어린이 유산소 운동 강도는 RPE로 설정 가능하다냥 맞다냥! ACSM은 RPE 사용이 가능하다고 인정했지만, 연령에 따라 이해도에 한계가 있으니 보조적 도구로 활용 권장이다냥
건강 이상 없으면 운동 전 검사 안 해도 된다냥 맞다냥! 정상 건강 상태의 소아청소년은 운동 전 심전도나 의학적 검사 없이도 운동 참여 가능하다고 한다냥
심폐체력 평가는 VO₂보단 PACER가 실용적이다냥 맞다냥! VO₂max 측정은 현실적으로 어렵고, PACER test(왕복달리기)는 학교나 프로그램 현장에서 유용한 대체 평가로 쓰인다냥
과훈련은 저항운동의 원인이 아니다냥 틀렸다냥! 🐾 **과훈련(overtraining)**은 저항운동에서도 충분히 발생 가능하다냥! 특히 지나치게 무거운 중량, 휴식 부족 등은 청소년에게 더 위험할 수 있다구 했지롱!

✅ 정답: ③번 (①, ②, ③)

→ ④번만 틀렸고 나머지 ①②③은 다 맞는 ACSM 기준이다냥~!


🌟 정리 요약

  • ✔️ ① RPE 사용 가능: 다만 이해도 문제로 보조적 활용
  • ✔️ ② 특별한 질병 없으면 검사 생략 OK
  • ✔️ ③ PACER가 VO₂max보다 실용적이다냥!
  • ④ 과훈련은 저항운동 원인 맞다냥!!

우리가 알고 있는 에너지 소비량 식은

몸무게kg * METs * 주당 운동 일수 * 운동시간(분) * 3.5ml 인데

여기서 1주일에 1000 MET-min을 알려줬기 때문에 이는 사실상 활동량=1000 MET-min/week이 되므로 운동 일수, 시간을 제외시키고 1000MET을 곱하면 됨.

나머지는 똑같음 ㅎ 


🧠 ACSM 11판 기준 요약

✅ 운동 전 (Pre-exercise hydration)

  • 운동 4시간 전:
    체중 1 kg당 5 ~ 7 mL 섭취 권장
  • 운동 2시간 전(소변 진한 경우):
    → 추가로 3 ~ 5 mL/kg 섭취 가능

✅ 운동 중 (During exercise)

  • 수분 손실은 체중의 2% 이하로 유지해야 함
    → 탈수로 인한 수행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다냥!

✅ 운동 후 (Post-exercise hydration)

  • 운동 후 체중 감소가 있는 경우,
    감소한 체중 1 kg당 약 1.25 ~ 1.5 L 섭취 권장
    → 땀으로 손실된 수분 + 소변으로 빠져나갈 양까지 보충해야 하니까 그렇게 많이 마시는 거다냥!

🐾 보기 분석

번호내용 요약정오 판단설명
번호 내용 요약 정오 판단 설명
운동 중 수분 손실 ≤ 2% 유지 맞다냥! 탈수 방지를 위한 기준!
운동 전 4시간 전, 1kg당 5~7mL 맞다냥! 교과서 그대로!
운동 후 체중 감소 1kg당 1.5L 보충 맞다냥! 1.25 ~ 1.5L가 권장 기준이다냥!

✅ 정답: ④번 (①, ②, ③ 모두 옳음)

완벽한 보기가 나왔구냥~!! 💯
이건 ACSM 11판에 충실하게 맞춘 보기들이라 기출로 외우기 딱 좋다냥!!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