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CSM/23년 기출문제풀이

23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처방론 11번-15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by 둔근해 2025. 3. 30.
반응형

🔍 출제 의도

  • β-차단제의 생리학적 효과에 대한 이해를 물어보는 문제야.
  • ACSM’s Guidelines 11판에 따르면, β-차단제는 심장 관련 반응(심박수, 혈압 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운동 시 처방 기준과 반응 예측이 중요해짐.

📘 β-blocker의 주요 효과 (ACSM 11판 기준)

  • **심근 수용체(β1)**를 차단하여 ⬇️ 심박수(HR), ⬇️ 수축력(contractility), ⬇️ 혈압(BP) 유도함.
  • 이로 인해:
    • 심박 반응 둔화 (심박수 상승 제한)
    • 운동 중 혈압 반응 저하
    • 최대 운동능력(V̇O₂max) 감소
    • 심박수 기반 운동강도 설정이 어렵다Borg 자각운동강도(RPE)로 대체
    • 체온 조절 관련해서는 일부 말초혈관 수축 등으로 땀이 적게 나 체온 조절에 방해될 수 있음

📌 보기 분석

보기문장맞/틀근거
보기 문장 맞/틀 근거
혈압 반응이 저하될ㅇ 수 있다 β1 차단 → 수축력 감소 → 혈압 반응 감소
심박수 반응이 둔화될 수 있다 대표적인 β-blocker 작용
최대운동능력이 감소할 수 있다 심박수 상승 제한 → 산소공급 감소
체온이 원활하게 조절되지 않을 수 있다 말초혈관 반응 이상, 땀 분비 저하 가능성

✅ 정답: ④ (㉠, ㉡, ㉢, ㉣ 모두)


🎯 예상 연계문제 포인트

  • Q. β-blocker를 복용 중인 사람에게 적절한 운동강도 설정법은?
    👉 자각운동강도(RPE) 기반 처방
  • Q. β-blocker가 운동 시 심박수 예측에 미치는 영향은?
    👉 정상인에 비해 HRmax 예측이 부정확해짐
체온조절과 베타 차단제에 관하여

**β-차단제(β-blocker)**가 체온 조절(thermoregulation)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말초혈류 조절 및 교감신경 억제 작용 때문이야. 이제 운동 생리학적 기전을 기준으로 좀 더 깊게 설명해볼게.


🔥 체온 조절(Thermoregulation)의 기본 기전

체온 조절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져:

  1. 열 발산 (Heat dissipation)
    • 피부혈관 확장 (cutaneous vasodilation) → 열을 피부로 전달
    • 땀 분비 (sweating) → 증발을 통한 열 손실
  2. 열 보존 (Heat conservation)
    • 피부혈관 수축 (vasoconstriction)
    • 골격근 떨림(shivering) -> 열생

💊 β-차단제와 체온 조절 관계

1. 교감신경 억제 → 피부혈관 반응 저하

  • β-차단제는 β1뿐 아니라 일부는 β2도 차단할 수 있어.
  • β2 수용체말초혈관의 확장에 관여하는데, 이게 차단되면
    운동 중 피부혈류량 증가가 제한됨
    → 열이 피부로 못 나가서 체내 열 축적 증가됨 🟡

2. 심박수 저하 → 혈류 순환량 감소

  • 체열을 운반하는 주요 수단은 혈액이야.
  • β-blocker는 심박수 감소 → 심박출량(CO) 감소
    → 피부로 가는 혈류량도 줄어듦 → 열 배출이 비효율적

3. 땀 분비 저하 가능성

  • 땀샘에도 교감신경이 작용하는데, 일부 β-blocker는 이 기능을 간접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
  • 결과적으로 발한량 감소증발에 의한 열 발산 저하

🧊 예시로 설명해줄게!

예를 들어 여름에 트레드밀에서 운동하는 상황을 보자:

  • 일반인은 운동 강도에 따라 심박수↑, 혈압↑, 피부혈류↑, 땀↑
    → 결과적으로 체온 유지 가능
  • 하지만 β-blocker 복용자는
    ❌ 심박수↑ 제한
    ❌ 피부혈류 증가 제한
    ❌ 땀 분비 저하
    → 결국 체온 상승을 조절 못해서 열사병 위험이 높아질 수 있어

🎯 결론 요약

항목  일반 운동 반응 β-blocker 복용 시
심박수 ⬆ 증가 🔻 제한
피부혈류 ⬆ 확장 🔻 제한
땀 분비 ⬆ 증가 🔻 감소 가능
체온 조절 ✅ 정상 ⚠️ 비효율적

📌 따라서 운동 시 온열환경 주의 필요 + 자각적인 컨디션 체크 필수!


✅ 정답 재검토: ①이 틀림

🔍 보기 ①:

“신장이식을 받은 사람은 거부반응 기간에는 운동을 금지해야 한다.”

→ ❌ 운동 ‘금지’는 ACSM 지침과 다름!

📘 ACSM 11판 정확한 내용

  • 이식 초기 거부반응 기간에는
    면역억제 치료가 진행 중이고 체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강도를 낮춘다.
    운동은 가능하나 강도, 빈도, 유형을 조절해야 한다.
  • 즉, 운동을 완전히 금지하는 것이 아니라 조심스럽게 진행하는 것이 원칙이야.

💡 다시 보기 분석

보기 내용 맞/틀 근거
거부반응 기간엔 운동 금지해야 한다 운동은 가능, 단 강도 조절 필요
혈액투석 2시간 후 운동 권장 맞음 (ACSM 권장)
혈액투석 중 하체운동 가능 조건부 가능 (의자에서 밴드/페달 등)
3 ~ 5분씩 나눠서 20 ~ 60분/일 ACSM에서도 운동능력 부족 시 짧게 쪼개는 것 허용함 (단, 이상적으론 10분 이상이 좋지만, 3 ~ 5분도 병적 상태면 예외 허용)

11판 책 내용 그대로 인용. 애매하게 드리프트해서 헷갈리게 맨들어놓음 ...


🔍 보기 분석

“유산소운동은 심리요법이나 약물요법만큼 우울 증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맞음

  • ACSM 11판에 따르면, 유산소운동은 단독치료 또는 병행 시 약물, 심리요법과 유사한 효과를 낼 수 있음.
  • 특히 경도 ~ 중등도 우울증(Mild to moderate depression) 환자에게서 효과가 입증됨.

“운동은 강도와 상관없이 우울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맞음

  • 운동 강도와 상관없이 규칙적인 활동 자체가 긍정적 심리 효과를 가짐.
  • 저강도 운동(걷기 등)도 효과 있으며, **“움직이기 시작하는 것 자체”**가 매우 중요함.

“운동은 즉각적으로 감정 상태에 영향을 미쳐서 우울 증상을 일시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

맞음

  • 운동 후 즉시 긍정적 감정 향상(elevated mood), 일시적이지만 뇌 내 엔돌핀, 세로토닌 분비로 acute effect 있음.
  • 지속적 운동은 장기적 완화 효과도 있음.

“운동이 공황장애가 있는 환자에게 공황발작과 유사한 생리적 변화를 유발할 수 있지만, 정상적인 반응이므로 이를 충분히 설명해야 한다.”

맞음

  • 운동 시 심박수 증가, 호흡수 증가, 흉부 압박감 등은 공황발작 증상과 비슷할 수 있음.
  • 따라서 인지행동적 설명을 통해 ‘이건 정상적 생리 반응’임을 충분히 설명해야 함.
  • 이걸 해주면 오히려 운동 회피를 줄이고 심리적 자신감 회복 가능

✅ 정답: ④ (㉠, ㉡, ㉢, ㉣ 모두 맞음)



✅ 문제: 관절염 환자의 운동처방 시 고려사항 (ACSM 11판 기준)


📌 각 보기 분석


㉠ “특별한 통증과 기능적 제한이 없으면 일반적으로 건강한 성인의 운동처방과 유사하다.”

맞음

  • ACSM 11판에서는 다음과 같이 명시함:

“In the absence of acute symptoms or functional limitations, exercise prescription can follow the general adult guidelines.”

  • 즉, 염증 flare-up이 없고 기능에 문제가 없다면 일반 성인 지침을 그대로 적용 가능!

㉡ “유연성 운동은 환부 관절에 집중하면서 모든 주요 관절에 적용한다.”

맞음

  • 원문에서는 이렇게 설명돼:

“Flexibility exercises should include all major muscle–tendon units.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joints that are affected by arthritis.”

  • 핵심은 ✅ 전신 관절을 모두 포함하면서도,
    🟣 환부 관절도 무시하지 말고 적절히 조절해서 포함시키라는 뜻이야.
  • “집중”이라는 표현이 너무 무리하거나 잘못된 건 아니고,
    주의를 기울이되 전체 관절도 함께 다루는 방식이니까 옳은 보기로 판단할 수 있음.

㉢ “저항운동은 국소적·전신적 개선을 통해 만성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맞음

  • 저강도 저항운동은 근육 기능뿐 아니라 **통증 감각의 감소(중추 감작 완화)**에도 긍정적 영향이 있음.

“Resistance training may reduce pain and improve physical function in persons with arthritis.”
“Both local and systemic benefits are observed.”

  • 특히 **등척성(isometric) → 등속성(isokinetic) → 등장성(isotonic)**으로 단계적으로 진행하는 게 권장됨.

㉣ “체중부하 운동은 관절의 손상과 통증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권고하지 않는다.”

틀림

  • 이 보기에는 두 가지 오류가 있어:

모든 체중부하 운동이 금기인 것처럼 서술
→ 실제로는 **낮은 강도의 체중부하 운동(예: 걷기)**은 오히려 기능 유지와 골밀도 개선에 유익함

'권고하지 않는다'는 표현은 ACSM 지침에 어긋남
→ 원문에선 "High-impact weight-bearing exercises may need to be avoided"
👉 고강도, 고충격 운동은 피하되 적절한 체중부하는 권장됨

✔ 즉, 부분적으로 맞는 말이지만 전체적으로 과도한 일반화가 돼서 틀린 보기!


✅ 최종 정답: ③ (㉠, ㉡, ㉢)


🧠 총정리! (시험 대비용 요약 정리)

운동 유형 적용 원칙
유산소 운동 저충격 운동 권장 (걷기, 수중 운동), 기능 회복에 초점
저항운동 근력, 통증 개선 효과, 등척성 → 등장성 순으로 진행
유연성 운동 전신 적용 + 환부 관절도 포함, 다만 주의 깊게
체중부하 운동 고강도/고충격 ❌, 저충격 걷기 등은 권장
flare-up 시 휴식 or 강도 ↓, 통증이 없는 범위에서 수행 (운동검사는 발적이 사라질 때까지 연기해야함)

🧠 암기 꿀팁 문장

“관절염 운동은 통증 없으면 일반 성인처럼,
전신 관절 스트레칭하며, 걷기 정도는 OK,
저항운동은 등척부터 천천히! 무리만 안 하면 약 된다.”


❗ 문제: "옳지 않은 것"을 고르는 역선택형 문제!


📘 ACSM’s Guidelines 11판 원(p. 269 ~ 270) 기준


① “안전을 위해 프리웨이트 이용은 피한다.”

옳음

📄 ACSM 11판, p. 270
“Due to safety concerns, machine weights may be preferable to free weights for individuals with cognitive impairment.”

  • 알츠하이머병 환자는 균형 능력, 인지 조절 능력 저하가 있기 때문에
    자유 중량(Free weights)은 낙상 위험이 높고
    👉 **머신 웨이트(machines)**를 선호함

② “운동처방은 일반적으로 건강한 성인과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한다.”

틀림정답!

📄 ACSM 11판, p. 269
“Exercise prescription should be individualized, and caregivers may need to be involved. Simpler instructions, visual cues, and familiar environments are recommended.”

  • 건강한 성인과 동일한 방식이 아니라
    👉 인지기능 저하에 맞춰
    • 단순한 설명
    • 익숙한 환경
    • 시각적 지시
    • 보호자 참여 등 특수 조정이 필요함

🟡 “동일한 방식”이라는 문구가 명백히 틀린 표현


③ “능력이 허용하는 수준에서 다양한 신체활동에 참여하도록 한다.”

옳음

📄 ACSM 11판, p. 269
“Encouraging physical activity within the capacity of the individual can improve function and delay cognitive decline.”

  • 가능 범위 내에서 다양한 활동 참여가 기능 유지 + 인지 유지에 도움됨

④ “말기 단계에는 장시간의 지속적인 운동프로그램이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옳음

📄 ACSM 11판, p. 270
“In the later stages of Alzheimer’s disease, long sessions of continuous exercise may not be tolerated. Short bouts of activity may be more appropriate.”

  • 말기엔 피로, 집중력 저하로 짧고 반복적인 세션이 더 적절

✅ 최종 정답:


🧠 핵심 요약 (시험용 정리)

항목알츠하이머병 환자 운동처방 시 고려사항
항목 알츠하이머병 환자 운동처방 시 고려사항
운동 형태 단순하고 구조화된 활동, 반복적 동작
지도 방식 시각적 단서, 짧은 명령어, 보호자 동행
환경 익숙하고 조용한 장소에서 진행
장비 머신 선호, 프리웨이트는 ❌
말기 짧고 자주 하는 활동이 더 적합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