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기 분석
㉠ “당뇨병 합병증으로 인한 금기사항이 아니라면 고강도의 유산소운동을 더 많이 강조해야 한다.”
✅ 맞음
📄 ACSM 11판, p. 247
“Vigorous-intensity exercise may provide greater benefits than moderate intensity if no contraindications are present.”
- ✔ 고강도 유산소운동은 금기사항이 없다면 더 많은 효과 가능
- ✔ 특히 2형 당뇨 환자에서 인슐린 민감도 증가 효과 큼
🟢 따라서 보기 ㉠은 맞는 보기
㉡ “제2형 당뇨병 환자는 유산소운동을 2일 이상 연속해서 중단하지 않도록 한다.”
✅ 맞음
📄 ACSM 11판, p. 248
“Individuals with type 2 diabetes should avoid more than two consecutive days without aerobic exercise.”
- ✔ 이건 혈당 조절 효과의 지속성 확보를 위해 핵심적으로 언급되는 내용임!
🟢 보기 ㉡도 정답
㉢ “인슐린 또는 혈당강하제는 운동 직전에 사용하도록 해야 한다.”
❌ 틀림
📄 ACSM 11판, p. 252
“To prevent hypoglycemia, insulin injections should not be administered into exercising limbs, and timing and dosage should be carefully adjusted.”
- ❌ 운동 직전 인슐린 투여는 저혈당 위험을 증가시킴
- ✔ 따라서 운동 1시간 전 or 식사와 함께 투여 조절 필요
🔴 보기 ㉢은 틀림
㉣ “공복 시에 운동하는 것을 권장한다.”
❌ 틀림
📄 ACSM 11판, p. 252
“Exercising in a fasting state may increase the risk of hypoglycemia.”
- ❌ 공복 운동은 혈당 저하 위험 높음 → 권장하지 않음
- ✔ 식후 혈당이 안정된 시점에 운동하는 것이 기본 원칙임
🔴 보기 ㉣도 틀림
✅ 최종 정답: ②
🧠 요약 정리 (시험 대비용)
보기 | 내용 | 판단 |
㉠ | 고강도 운동 강조 | ⭕ |
㉡ | 2일 연속 운동 중단 X | ⭕ |
㉢ | 인슐린을 운동 직전에 사용 | ❌ |
㉣ | 공복 운동 권장 | ❌ |
🔍 보기 분석
㉠ “유산소운동을 ≥5일/주 실시할 것을 권고한다.”
✅ 맞음
- ACSM은 이상지질혈증 환자의 경우,
주 5일 이상 중강도 유산소 운동을 권장하고 있어. - 특히 총 운동시간 ≥150분/주 확보가 목표임.
“Aerobic exercise on ≥5 days per week to improve lipid profile and promote weight loss.”
㉡ “저항운동과 유연성 운동은 효과의 일관성이 떨어지므로 유산소운동의 보조 운동으로 고려한다.”
✅ 맞음
- 저항운동과 유연성 운동은 지질 개선 효과가 일관되게 검증되지 않았고,
✔ 혈청 지질 수치 개선보다는 기능 유지, 근육량 유지 측면에서 부가적인 효과가 있음.
“Resistance and flexibility exercises have limited effects on improving blood lipid profile and should be considered as adjuncts to aerobic training.”
㉢ “지질강하제(예: 스타틴)를 복용하는 사람은 근육약화와 통증이 수반될 수 있으므로 유의한다.”
✅ 맞음
- 스타틴(Statin) 계열 약물은 근육통(myalgia), 근육약화(weakness) 부작용이 흔함
- 운동 시 근육 손상 징후와 구별이 어렵기 때문에 관찰 및 모니터링 중요
“Statins may cause muscle soreness or weakness in some individuals. Exercise professionals should monitor symptoms.”
㉣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HDL-C) 수치가 남자는 <40 mg/dL, 여자는 <50 mg/dL를 유지하도록 한다.”
❌ 틀림
- 수치를 봐봐:
- **“유지하도록 한다”**가 아니라
👉 이 수치 '미만'이면 위험 기준이라는 뜻이야!
- **“유지하도록 한다”**가 아니라
✔ 정답은:
HDL-C 수치가 남성 <40, 여성 <50 mg/dL이면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으로 간주됨
🔴 즉, “< 40 / < 50 mg/dL를 유지하도록”은 틀린 말!
→ “이 수치를 넘도록 유지해야 함”이 맞는 표현이야
✅ 최종 정답: ③ (㉠, ㉡, ㉢)
🧠 시험용 요약정리
보기 | 정오 | 이유 |
㉠ | ⭕ | 주 5일 이상 유산소 운동 권장 |
㉡ | ⭕ | 저항/유연성은 보조 운동으로 |
㉢ | ⭕ | 스타틴 복용 시 근육 통증 유의 |
㉣ | ❌ | HDL 수치는 그 미만이면 위험, 그 이상을 유지해야 함 |
🔍 보기 분석
① “발열 또는 극심한 피로감이 있으면 운동하지 말아야 한다.”
✅ 맞음
“Exercise should be avoided when patients experience acute illness, fever, or extreme fatigue.”
- 발열(fever), 극심한 피로(extreme fatigue)는 일시적 금기사항(temporary contraindications)
- 이때는 운동을 중단하고 회복에 집중해야 함
② “암 수술 후에는 운동프로그램 시작 전까지 최소 3개월 이상 회복이 필요하다.”
❌ 틀림 ← 정답
“Exercise may begin as soon as medically stable after surgery, often within a few days to weeks.”
- ACSM에서는 수술 후 가능한 한 빠르게 저강도 운동을 시작할 수 있다고 함
- 특히 입원 중이라도 가벼운 움직임부터 유도하는 게 원칙!
🔴 “3개월 이상 회복 필요”라는 말은 과도한 제한 → 틀린 보기!
③ “뼈 전이가 있는 환자는 골절의 위험이 있는 운동을 피해야 한다.”
✅ 맞음
“Bone metastases increase the risk of fractures. High-impact and torsional activities should be avoided.”
- 뼈에 암이 전이된 경우, 낙상·충격·비틀림 동작은 골절 위험이 큼
- 저충격 운동으로 대체해야 함
④ “화학요법 및 방사선 치료를 받는 환자는 감염의 위험이 커지므로 운동 시 주의가 필요하다.”
✅ 맞음
“Chemotherapy and radiation can result in immunosuppression, increasing risk of infection.”
“Precautions should be taken, especially in public gym settings.”
- 면역저하 상태에서는 공공시설 이용, 감염 접촉 등에 주의 필요
- 환기 잘 되는 장소, 개인 위생 철저, 보호자 동행 등 필수
✅ 최종 정답: ②
🧠 핵심 요약 (시험용 정리)
보기 | 정오 | 이유 |
① | ⭕ | 발열·극심한 피로 시 운동 금지 |
② | ❌ | 수술 후 3개월 대기 X, 조기 운동 시작 가능 |
③ | ⭕ | 뼈 전이 → 충격 운동 피함 |
④ | ⭕ | 항암치료 중 면역저하 → 감염 주의 필요 |
🔍 보기 분석
① “고강도의 유산소운동은 금기사항이다.”
❌ 틀림
- 고강도 유산소운동이 절대 금기사항은 아님
- 다만 고혈압 환자에게는 중강도 운동부터 시작하고 점진적 강도 증가가 권장됨
“Moderate intensity aerobic exercise is recommended most days, with progression to vigorous intensity as tolerated.”
🔴 고강도 운동 = 무조건 금기❌ → 따라서 틀림
② “저항운동은 과도한 혈압 상승을 유발하므로 권고하지 않는다.”
❌ 틀림
- ACSM은 저항운동도 고혈압 환자에게 권장함
- 다만 무게/호흡법/반복수 조절을 통해 안전하게 수행해야 함
“Resistance training is safe and effective when properly prescribed and monitored.”
🔴 "권고하지 않는다"는 틀림!
③ “30분 미만의 유산소운동은 혈압 강화 효과가 없으므로 권고하지 않는다.”
❌ 틀림
- 유산소운동은 10분 단위로 나눠서 누적해도 효과 있음
- 특히 초기 환자에게는 짧은 시간의 빈번한 세션도 효과적
“Bouts of ≥10 minutes accumulated throughout the day are effective in reducing blood pressure.”
🔴 "30분 미만은 효과 없음"은 틀린 말
④ “운동 시 수축기 혈압이 220mmHg 이하 그리고/또는 이완기 혈압이 105mmHg 이하를 유지하도록 한다.”
✅ 맞음
“Exercise should be terminated if systolic BP exceeds 220 mmHg or diastolic exceeds 105 mmHg.”
- 운동 중 혈압 기준:
- 수축기(SBP): 220mmHg 이하
- 이완기(DBP): 105mmHg 이하
🟢 이 기준은 운동 지속 가능 범위로 정확함
✅ 최종 정답: ④
🧠 고혈압 환자 운동 요약정리
항목 | 설명 |
권장 강도 | 중강도 우선, 고강도는 상태에 따라 진행 |
빈도 | 유산소 운동 주 5일 이상 |
운동 중단 기준 | SBP > 220mmHg, DBP > 105mmHg |
저항운동 | 적절한 부하와 호흡법으로 시행 가능 |
누적운동 | 10분 단위 운동도 혈압 감소 효과 있음 |
🔍 보기 분석
① “저항운동은 체중감소 효과가 없으므로 권고하지 않는다.”
❌ 틀림
“Resistance training alone does not typically result in significant weight loss; however, it is recommended to improve muscular strength and preserve fat-free mass during weight loss.”
- ✔ 저항운동은 체중 감량 목적 자체로는 비효율적일 수 있지만
- ✔ 근육량 유지, 기초대사량 보존, 체형 개선 등의 이유로 반드시 포함되어야 함
🔴 “권고하지 않는다”는 표현은 ACSM과 반대되는 주장 → 틀림
② “체중감량은 1-2개월 동안 초기체중의 3-10%를 목표로 한다.”
❌ 틀림
“A reduction of 5–10% of body weight over a period of 3–6 months is recommended.”
- 📌 ACSM은 체중 감량의 기간과 목표치 모두 중요하게 설정함
- **3-6개월에 5-10%**가 표준 목표임
- “1-2개월 동안 3-10%”는 기간이 너무 짧음 → 현실성, 안전성 모두 떨어짐
🔴 보기는 기간 설정이 틀렸음 → 틀린 보기
③ “유산소운동은 주당 150분부터 주당 300분 이상으로 점진적으로 증가시킨다.”
✅ 맞음
“Progression to ≥250–300 minutes per week of moderate-intensity aerobic exercise is recommended for weight loss and prevention of weight regain.”
- 150분/주는 기본 건강 유지 수준,
- 300분/주 이상은 체중 감량 및 재증가 방지에 효과적
🟢 보기는 ACSM 기준과 완벽히 일치 → 맞음!
④ “고강도 유산소운동은 지방 대사율이 낮으므로 권고하지 않는다.”
❌ 틀림
“Both moderate- and vigorous-intensity exercise are effective for weight loss when combined with dietary changes.”
- ✔ 고강도 운동은 지방 대사율 자체는 낮을 수 있지만
- ✔ 총 칼로리 소모량이 커서 감량에 효과적
- ✔ 시간 대비 효율도 높고, 운동 후 산소 소비량(EPOC) 증가 효과도 있음
🔴 고강도 유산소운동을 권고하지 않는다는 말은 틀림
✅ 최종 정답: ③
🧠 핵심 요약표 (시험 대비용)
보기 | 정오 | 해설요약 |
① | ❌ | 저항운동은 체중감량 보조 수단으로 권장됨 |
② | ❌ | 3-6개월에 5-10%가 정확한 기간 및 목표임 |
③ | ⭕ | 150분 → 300분 이상 점진적 증가 권장 |
④ | ❌ | 고강도 유산소운동도 감량에 효과적이며 권장됨 |
'📕ACSM > 23년 기출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처방론 11-20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4) | 2025.04.01 |
---|---|
23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부하검사 6-10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0) | 2025.03.31 |
23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부하검사 1-5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1) | 2025.03.30 |
23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처방론 11번-15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0) | 2025.03.30 |
23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처방론 6-10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0) | 2025.03.29 |
23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처방론 1-5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 (0) | 2025.03.29 |
23년 건강운동관리사 건강체력평가 16-20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0) | 2025.03.28 |
23년 건강운동관리사 건강체력평가 11번-15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0) | 2025.03.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