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CSM/23년 기출문제풀이

23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부하검사 6-10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by 둔근해 2025. 3. 31.
반응형

✅ 문제

**ACSM(11판)**에서 제시한 운동부하검사 시 관찰 변수와 검사 중단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보기 분석


①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최대심박수와 수축기혈압은 감소하게 된다.

틀린 설명 (정답)

  • ✔️ **최대심박수(Maximal HR)**는 연령 증가에 따라 감소함
    • 공식: Max HR = 220 - 나이 또는 208 - 0.7 × 나이
    • 고령일수록 심박수의 최대치가 낮아짐
  • ❌ 하지만 **수축기혈압(Systolic BP)**은 운동 중 감소하는 것이 아니라 증가하는 게 정상 반응임
    • 나이가 들수록 혈관의 탄성 감소로 인해 운동 중 SBP가 더 많이 상승할 수 있음

📘 ACSM 11판 원문:

“SBP should increase with increasing workloads. A failure of SBP to rise, or a drop in SBP, is abnormal.”

📌 따라서 “수축기혈압이 감소한다”는 표현은 운동생리학적으로 틀린 설명


② 폐질환자의 경우 저산소혈증의 증후와 동맥산소포화도(SpO₂)가 ≤80%인 경우 검사를 종료해야 한다.

맞는 설명

  • ACSM에 따르면 **폐질환자의 운동검사 중 SpO₂ ≤ 80%**는 검사 종료 기준에 해당함
  • 이는 산소 공급 저하로 인한 생리적 위험을 반영한 중단 기준임

📘 ACSM 원문:

“Exercise test should be terminated if SpO₂ drops to ≤80% in individuals with pulmonary disease.”


③ 심전도는 검사 전 누운 자세에서 시작하여 운동 종료 후에도 회복기 6분까지 계속 기록한다.

맞는 설명

  • 운동 전에는 안정 시 ECG누운 자세(supine) 또는 **선 자세(standing)**에서 기록 가능
  • 운동 후에는 회복기 ECG를 최소 6분간 측정하는 것이 표준

📘 ACSM 원문:

“Baseline ECGs should be obtained in the supine and, if appropriate, standing positions.”
“During recovery, monitoring should continue for at least 6 minutes.”


④ 협심증, 호흡곤란을 평가하기 위한 표준화된 4점 척도 중 ≥3점은 검사를 중단해야 한다.

맞는 설명

  • ACSM은 협심증(Angina) 또는 호흡곤란(Dyspnea) 척도에서
    점수 3 이상일 경우 운동검사 종료 기준으로 간주함
  • 3점은 “중등도 이상 증상”에 해당

📘 ACSM 원문:

“Angina rated 3 (moderately severe) or higher on a 0–4 scale is an indication for test termination.”


✅ 최종 정답: ①번


🧠 요약 정리

보기 설명  판정
HR은 감소하지만 SBP는 운동 중 상승함 → “감소”는 틀린 표현
SpO₂ ≤ 80% → 검사 중단 기준 (폐질환자)
심전도는 누운 자세 가능, 회복기 6분 측정 권장
협심증/호흡곤란 4점 척도 ≥3 → 중단 기준

📌 참고로, 더 명확한 표현 예시:

“연령이 증가하면 최대심박수는 감소하고, 운동 중 수축기혈압은 더 높은 수준에 도달할 수 있다.”

이렇게 표현하면 ACSM 기준에도 정확히 부합하고,
학생이나 실무자가 보기에도 혼동 없이 이해할 수 있음!

 


이 문제는 **AHA(미국심장협회)**와 **ACSM(미국스포츠의학회)**가 함께 제시한 운동 중단 기준(Exercise test termination criteria)상대적(relative) 중단 기준에 해당하는 증상만을 고르는 문제야.


🔍 문제 핵심 키워드:

  • 상대적인 중단기준(relative indications)
  • 최대 운동부하검사 중 즉각적인 중단은 아니지만, 상황에 따라 중단을 고려해야 하는 경우
  • ACSM’s Guidelines 11판 기준

✅ ACSM's Guidelines 11판 기준 정리 (원문 중심)

Relative indications for terminating an exercise test include the following:”

  • Marked fatigue, shortness of breath, wheezing, leg cramps, or claudication
  • Increasing chest pain
  • Hypertensive response
  • Drop in SpO₂
  • SpO₂ ≤ 80% (for pulmonary patients)
  • Mental confusion, dizziness, etc. (depending on severity)
  • Exercise-induced bundle branch block without MI signs

⬇ 보기 항목 검토

가슴통증의 증가
O — Increasing chest pain → 상대적 중단 기준 (ACSM 명시)

관류부족으로 인한 창백증
X — 이는 **절대적 중단 기준(absoute indication)**에 해당

“Signs of poor perfusion (e.g., cyanosis or pallor)” → 절대적 중단

다리경련이나 절뚝거림 증상
O — leg cramps or claudication(파행) → 상대적 중단 기준

중추신경계 이상 증상으로 인한 운동실조
X — 운동실조(ataxia), 어지러움, 혼란 등은 절대적 중단 기준


🟢 정답 정리

  • 상대적 기준에 해당하는 보기:
    ① 가슴통증의 증가, ③ 다리경련/절뚝거림

✔ 정답: ㄱ,ㄷ 2번


✅ 최종 정답: 2


📘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11th ed. 근거 문장:

"Relative indications for terminating an exercise test include:... Increasing chest pain, leg cramps or claudication."
"Absolute indications include:... Signs of poor perfusion (cyanosis or pallor), ataxia, dizziness, or near-syncope."


❚ 문제 해석

“<보기>에서 대상자별 증상-제한 운동부하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 모두 고른 것은?”
→ 즉, 각 대상군(소아·청소년, 노인, 임산부, 고혈압 환자)에 대해 운동부하검사(GXT)에 대한 설명이 올바른지를 ACSM 11판 기준으로 따져야 해.


⚙ 보기 분석 (ACSM 11판 기준)


✅ ① 어린이와 청소년

보기: "운동 중 생리적 반응은 성인과 다르므로 성인 운동검사의 표준지침을 따르지 않는다."

📘 ACSM 11판 원문:

“The adult guidelines may be used with age-appropriate modifications.”
“Standard exercise testing protocols may require modifications.”

🔴 오답 포인트:

  • 성인과 생리 반응은 다르지만, 성인 지침을 기본으로 적용하고 연령에 맞게 조정함.
  • “따르지 않는다”는 표현은 ACSM의 입장보다 과도하게 단절적인 표현임.

결론: ❌ 틀림


✅ ② 노인

보기: "최대심박수 공식(220 – 나이)은 노인의 최대심박수를 과소평가하게 되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 ACSM 11판 원문:

“Traditional age-predicted HRmax (220 − age) can substantially underestimate true HRmax in older adults and should be used with caution.”

🟢 정확한 진술:

  • 220 – 나이 공식은 노인에게 부정확할 수 있어 주의 요망.
  • 가능한 경우 실측 HRmax 사용을 권장함.

결론: ✅ 맞음


✅ ③ 임산부

보기: "금기사항에 대한 의학적 평가 후 의사 감독하에 최대운동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 ACSM 11판 원문:

“Maximal exercise testing may be performed in pregnant women only when medically necessary and with physician supervision.”

🟢 핵심 요약:

  • 반드시 의학적 필요성이 있고,
  • 의사의 감독 하에 가능함.

결론: ✅ 맞음


❌ ④ 고혈압 환자

보기: "안정 시 수축기혈압이 ≥160 mmHg이거나 이완기혈압이 ≥100 mmHg인 경우에는 의사 감독하에도 운동검사를 실시하면 안 된다."

📘 ACSM 11판 원문:

“Exercise testing should not be performed when resting SBP is ≥200 mmHg or DBP is ≥110 mmHg.”

🔴 오답 포인트:

  • 160/100mmHg는 운동검사 금지 기준 아님
  • 200/110mmHg 이상일 때만 상대적 금기

결론: ❌ 틀림


✅ 최종 정답: 3번 (ㄱ,ㄷ)


📌 정리 요약

보기 판단 근거 요약
성인 지침을 '따르지 않는다'는 표현은 과도함. 실제로는 조정하여 적용함.
HRmax 공식은 노인에게 과소평가 우려 있어 사용 자제 권고.
의학적 평가 + 의사 감독 하에 최대운동검사 가능.
160/100mmHg는 운동검사 금기 아님. 기준은 200/110mmHg 이상.

🔍 문제 핵심 다시 보기

“운동부하검사의 심전도 중 허혈성 심장질환 평가를 위해 보조적 영상(adjunctive imaging)이 필요한 심전도 파형은?”

즉,

  • 허혈성 심장질환 평가가 필요한데
  • 심전도만으로는 해석이 불가능한 파형이 답이야
    → 그래서 보조적 영상이 필요한 거지.

⚠ ACSM 11판 기준에서 보조적 영상이 필요한 대표적인 경우

  1. 좌각지차단 (LBBB, Left Bundle Branch Block)
  2. 심박 조율기(pacemaker rhythm)
  3. 기저 ST-T 이상 (디지탈리스 영향, LVH 등)
  4. **심방세동 (AF)**은 경우에 따라 판단 → baseline이 너무 흐리면 필요
  5. 운동 중 ST 해석이 불가능할 정도의 기본 이상

🔎 보기별 심전도 재판독


①번

  • 넓은 QRS, 특히 QRS가 0.12초 이상,
  • V1처럼 보이는 파형에서 깊은 S파,
  • V6처럼 보이는 파형에서 뭉툭한 R파
    → 이건 전형적인 좌각지차단 (LBBB)

📌 LBBB는 ST분절 해석이 불가능
→ 허혈이 있어도 ST 하강을 구분 못함
ACSM에서 “운동 중 보조 영상 반드시 필요”하다고 명시

정답


②번

  • 심박수 빠름 (tachycardia)
  • ST 하강 있음 → 해석 가능
    → 운동성 허혈의심 소견이지만
    ST 해석이 가능한 정상 리듬

보조 영상 불필요


③번

  • P-QRS-T 완벽
    정상 동율동, ST-T 이탈 없음
    보조 영상 불필요

④번

  • P파 없음, 불규칙한 R-R
    심방세동(AF)
    하지만 baseline이 그리 불안정하지 않음
    해석 가능성 있는 정도
    조건부 보조 영상 필요일 수 있음, 하지만 LBBB보다는 덜 명확

정답 가능성 낮음


✅ 최종 결론

번호 진단ST ST 해석 가능? 보조영상 필요 비고
좌각지차단 (LBBB) ❌ 불가능 ✅ 필요 정답
ST 하강 허혈성 소견 ✅ 가능 ❌ 불필요  
정상 동율동 ✅ 가능 ❌ 불필요  
심방세동(AF) ⚠ 가능 ⚠ 조건부 baseline 안정적

🎯 정답: ①번


심방세동도 흔히 보조 영상 대상이지만, LBBB는 ACSM에서 명시적으로 'ST 해석 불가'라 반드시 영상 필요라고 돼 있어.

다음에 이런 유형 나오면 "LBBB = 무조건 영상 필요" 요걸 기억하면 돼 😼💡


이 문제는 최대 운동부하검사 중 '허혈성 심장질환' 진단의 위음성(false negative) 원인을 묻고 있어.


✅ 핵심 개념: False Negative란?

  • **검사 결과는 정상(음성)**인데
  • 실제로는 질환이 있는 경우
    병이 있는데도 놓치는 상황

💡 즉, 환자가 실제로 허혈성 심질환이 있음에도
운동부하검사에서 이상 소견이 나타나지 않아 진단에 실패한 경우야.


⚙ 보기 분석 (ACSM 11판 기준 포함)


① 관상동맥 연축(coronary spasm)이 발생한 경우

관상동맥이 일시적으로 수축하면서 허혈 발생

  • 이건 오히려 운동 중 증상이 강하게 나타날 수 있어 ‘양성’ 또는 ‘위양성(false positive)’ 가능성이 큼
    False negative 원인이 아님

② 디지탈리스 약물 치료 중인 경우

→ 디지탈리스는 심전도에 ST 분절 변화 유발 가능

  • ST-T 파형에 혼동을 줘서 허혈 진단 방해 가능
  • 하지만 보통은 ST 변화가 과도하게 나타나 false positive와 연관False negative보단 false positive 위험이 더 큼

③ 심근허혈 역치 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 심근에 허혈이 생기기 전에 검사를 멈춘 것
= 허혈 반응이 나오기 전에 중단됨 → 위음성 유발

False negative 대표 원인


④ 심전도 이상을 발견하기에 불충분한 유도(lead)를 사용한 경우

→ 예를 들어, 리드 II만 사용하거나 전벽/측벽 리드를 생략하면
ST 하강이 있어도 관찰이 안 될 수 있음

False negative 가능성 있음


⑤ 심장 이상이 나타나기 전 근골격계 문제로 중단하게 된 경우

→ 관절 통증, 다리 근육 피로 등으로 검사 조기 종료
= 심장이 충분히 부담되지 않아 허혈 반응이 안 나옴

False negative 가능성 있음


🧠 정답 정리

보기 가음성의 원인 여부 이유 요약
연축은 오히려 양성(또는 위양성) 유발 가능
ST 왜곡은 보통 false positive 원인
허혈 역치 도달 실패 → 증상 안 나타남
lead 부족 → ST 변화 놓침
심장 도달 전 조기 중단 → 이상 소견 놓침

✅ 최종 정답: ④번 (ㄷ,ㄹ,)

✅ 증상-제한 최대운동검사에서

❶ 위음성(false negative) vs ❷ 위양성(false positive) 비교

구분 🟢 False Negative (가음성) 🔴 False Positive (가양성)
🔍 정의 실제 허혈성 심장질환 있음에도 검사에서 정상으로 나옴 실제 질환 없음에도 검사에서 이상 소견 나옴
🧠 의미 질병을 놓침 (missed diagnosis) 질병이 없는데 오진함 (과잉 진단)
📉 민감도(↓) 관련 민감도 낮을수록 증가 X
📈 특이도(↓) 관련 X 특이도 낮을수록 증가
📌 주요 원인 – 허혈 역치에 도달 못함
– 운동 강도 부족
– 조기 중단 (근골격계 문제 등)
– 부적절한 리드 사용
– 약물로 심전도 변화 억제 (β-차단제 등)
– ST-T 변화 유발하는 약물 (디지탈리스)
– 전해질 이상 (고칼륨혈증 등)
– 여성의 유방 조직 간섭
– 좌심실 비대 (LVH)
– 조절되지 않은 고혈압
– 조율기(pacemaker) 착용 중
– LBBB(좌각지차단) 등 기본 이상
🎯 대표 예시 – 너무 일찍 멈춰서 ST 하강 전에 중단됨
– 리드 II만 사용해서 측벽 허혈 못 봄
– 디지탈리스 복용 중 ST-T 변화
– LBBB로 인한 ST 왜곡
– 고혈압성 ST 변화
📷 보조 영상 필요성 놓치기 때문에 필요할 수 있음 과잉 진단 방지 위해 필요할 수 있음
📚 대처 방법 – 부하 도달 충분히 하게 유도
– 적절한 리드 사용
– 최대 HR 도달 여부 확인
– 기저 심전도 확인
– 약물 복용력 체크
– 보조적 영상(심초음파, MPI 등) 병행

🎯 외우는 포인트

  • 🟢 가음성은 "증상은 있는데 검사가 놓침" → 너무 약하거나 중단이 빠름
  • 🔴 가양성은 "실제로는 이상 없는데 이상처럼 나옴" → 기저 질환 or 약물 영향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