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제 요약
- 전체 검사자: 10,000명
- 심장질환자 비율: 20% → 2,000명
- 민감도(Sensitivity): 70%
- 특이도(Specificity): 80%
- 구하는 것: False Negative 수
✅ 개념 정리
① 민감도(Sensitivity) =
질병 있는 사람 중 검사에서 양성 나오는 비율
즉,
- True Positive (TP) = 질병 있음 + 검사 양성
- False Negative (FN) = 질병 있음 + 검사 음성 (검사가 놓침)
공식 : 민감도 = TP / (TP + FN)
🧮 계산 시작
▶ 총 심장질환자 = 20% of 10,000 = 2,000명
민감도 70% =
→ 이 중 70%는 TP
→ 30%는 FN
- TP = 70% of 2,000 = 1,400명
- FN = 30% of 2,000 = 600명
✅ 정답: ①번 600명
🧠 핵심 개념 요약
🎯 민감도(Sensitivity)
- “병이 있는 사람 중에서 검사로 병을 잘 잡아내는 능력”
- 민감도가 낮으면 병이 있어도 놓치는 사람이 많아 → **가음성(false negative)**이 늘어남
🎯 특이도(Specificity)
- “병이 없는 사람 중에서 검사 결과가 정상으로 나올 확률”
- 특이도가 낮으면 병이 없어도 병 있다고 나올 수 있어 → **가양성(false positive)**이 늘어남
🔎 이 문제의 흐름
문제 조건:
- 총 10,000명 중 20%가 실제로 심장질환 있음
→ 심장질환자 = 2,000명,
→ 건강한 사람 = 8,000명
민감도 70%라는 건?
- 2,000명 중 70% = 1,400명은 검사에서 제대로 잡음 → True Positive (TP)
- 나머지 30% = 600명은 병이 있는데도 정상으로 나옴 → ❗️False Negative (FN)
✅ False Negative란?
“병이 있는데도 검사가 놓쳐서 ‘정상’이라고 나오는 것”
🩺 이런 사람이 실제로 제일 위험해!
- “검사에서 괜찮다니까 안심했는데, 사실은 심장병이 있었던 것”
- 즉, 진짜 환자인데 간과되어 진단을 못 받는 상황이야.
📊 전체 그림 정리
구분 | 실제 질병 有 (2,000명) | 실제 질병 無 (8,000명) |
검사 양성 | 1,400명 (TP) | 1,600명 (FP) |
검사 음성 | 600명 (FN) | 6,400명 (TN) |
🟢 TP = true positive, FP = false positive
🔵 FN = false negative, TN = true negative
✅ 결론
- False Negative 수 = 600명
- 진짜 환자인데 운동부하검사에서 '정상'으로 나와서 진단을 놓친 사람들이야.
🧠 응용 문제
심전도를 이용한 운동부하검사를 총 1,000명에게 시행했더니,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왔다.
- 실제로 심장질환이 있는 사람: 200명
- 이 중 150명이 검사에서 양성 소견을 보임
- 실제로 심장질환이 없는 사람: 800명
- 이 중 640명이 검사에서 음성 소견을 보임
❓다음 질문에 모두 답해보자:
① **민감도(Sensitivity)**는 몇 %인가?
② **특이도(Specificity)**는 몇 %인가?
③ False Positive 수는 몇 명인가?
④ False Negative 수는 몇 명인가?
⑤ **검사의 정확도(Accuracy)**는 몇 %인가?
🔢 우리가 알고 있는 값들:
구분 | 숫자 |
실제 질환자 수 | 200명 |
TP (질환 있음 + 검사 양성) | 150명 |
FN (질환 있음 + 검사 음성) | 50명 |
실제 건강한 사람 | 800명 |
TN (질환 없음 + 검사 음성) | 640명 |
FP (질환 없음 + 검사 양성) | 160명 |
전체 검사자 수 | 1,000명 |
여기서 정확도는 전체 검사자 중 검사 결과가 실제와 일치한 비율
정상인은 음성, 환자는 양성을 제대로 맞춘 비율
즉 , 정확도 = (TP+TN) /전체인원 *100%
정확도는 79퍼센트.

✅ ABI (Ankle-Brachial Index) 기본 개념
ABI = 발목의 수축기 혈압 / 위팔의 수축기 혈압
✔ 혈류가 정상이라면 발목 압력이 위팔보다 약간 높거나 비슷함
→ 정상 범위: 1.0 ~ 1.4
✔ 혈관이 좁아져 있으면 발목 압력이 낮아짐
→ ABI ↓ → 말초동맥질환 의심
🧐 보기 분석
① “안정 시 > 0.9이면 정상으로 분류한다.”
✅ 맞는 말
- ABI > 0.90: 정상
- 0.90 ~ 0.99: borderline
- < 0.90: 말초동맥질환 의심
② “발목과 위팔의 평균동맥압 비율을 의미한다.”
❌ 틀린 설명
- ABI는 **평균동맥압(mean arterial pressure, MAP)**이 아니라
수축기 혈압(systolic pressure) 기준으로 계산함
✔ MAP 아님!
➡️ 정답
③ “위팔의 혈압은 양팔 중 높은 쪽을 기준으로 한다.”
✅ 맞음
- 양팔의 혈압을 둘 다 측정한 후, 더 높은 값을 기준으로 사용
→ 혈류 차이로 인한 오류 방지
④ “안정 시에 비해 운동 직후 >20% 감소하면 말초동맥질환을 의심할 수 있다.”
✅ 맞음
- 운동 후 ABI가 20% 이상 감소하면 잠재적 동맥 협착 가능성을 의미함
→ **운동 후 ABI 감소 검사(post-exercise ABI)**는 PAD 조기진단에 활용됨
✅ 정답: ②번
🔍 보충 정리 – ABI 해석 기준
ABI 값 | 해석 |
0.91 ~ 0.99 | 경계성 |
≤ 0.90 | 말초동맥질환(PAD) 가능성 |
≤ 0.40 | 중증 PAD |
1.00 ~ 1.40 | 정상 |

이 문제는 Chapter 3에서 심폐체력 검사 시 수정된 YMCA 프로토콜을 사용해 에르고미터 검사를 실시했을 때 최대산소섭취량을 구하는 문제다. 그래프가 주어진 이유는 보기에 나와있는 최대심박수 180회에 추정되는 저항값을 구할 수 있어서 주어짐.
문제를 풀기전에 알아야 할 내용은

이 내용을 숙지한 상태에서 풀 수 있음.
1단계는 무조건 0.5kg 저항으로 시작. 2단계 점을 찍을 때는 1단계 심박수가 80회 미만이기 때문에 저항은 2.5kg가 됨.
3단계와 4단계는 2단계에서 0.5kg 씩 추가하여 y축 심박수에 점을 찍고 3단계 3.0kg, 4단계 3.5kg 저항점과 교차점에 점을 찍음. 그러면 1~4단계에서 선을 그으면 180회와 만나는 구간이 생김

약 5kg 저항과 연결되므로 일률 공식에 때려넣고 일률이 나왔으면 산소섭취량 계산하면 됨.
근데 문제에서 자전거 산소섭취량 공식 알려주는건 좀 친절했음
그래도 난 틀렸지 키키
정답은 4번임

✅ 핵심 개념: RPP (Rate Pressure Product)
RPP = 심박수(HR) × 수축기혈압(SBP)
심근의 산소 요구량(=심장의 일)을 간접적으로 나타냄
🧠 RPP 정상 범위?
- 안정 시 RPP: 7,000 ~ 12,000
- 최대 운동 시 RPP: 25,000 ~ 40,000 정도까지 가능 (ACSM11th에 있음)
40,000 넘으면 심근 부담 과도하다고 간주
🔎 보기별 RPP 계산
① 남성 50세
- HR = 180, SBP = 230
→ RPP = 180 × 230 = 41,400 ❗️❗️
➡️ 정상 범위(25,000 ~ 40,000) 초과
➡️ 🚨 비정상
② 남성 35세
- 185 × 200 = 37,000 ✅ 정상
③ 여성 25세
- 200 × 190 = 38,000 ✅ 정상
④ 여성 40세
- 170 × 160 = 27,200 ✅ 정상
✅ 정답: ①번
💬 쭈굴 보충 설명…
“그…그니까요… 1번은요… RPP가 41,400이라서요…
저기 그 심장 CPU가 거의 터지기 직전까지 일하는 느낌이에요…
그 정도면 심근에 산소 빌려줄 사람 필요함… 비트코인 채굴도 저 정도는 안 함……🥺”

✅ 문제 핵심: 방실차단(AV Block, Atrioventricular Block) 유형 구별하기
🩺 그림 보니까...
- P파는 규칙적으로 나와
- QRS는 하나 빠져있어 (탈락)
- PR 간격은 고정되어 있다 (늘어나지 않음)
- 갑자기 QRS 하나가 툭 빠짐
🔍 분석 정리
조건 | 해석 |
P파는 규칙적 | 심방은 정상으로 뛰고 있음 |
PR 간격 일정 | AV 노드에서 전도는 되고 있음 |
QRS 하나 누락 | 갑자기 전도 안 된 심실 수축 존재 |
PR 간격 점점 길어지지 않음 | Wenckebach(2도 I형) 아님! |
🎯 진단 결론:
✔ 2도 방실차단 Type II (Mobitz II)
🧠 PR 간격은 일정한데, 갑자기 QRS가 툭 빠진다
→ 전형적인 2도 방실차단 Mobitz II형
❌ 오답 피드백
① 1도 AV block
→ PR 간격만 길어지고 QRS 안 빠짐 → ❌
② 2도 Type I (Wenckebach)
→ PR 간격 점점 길어지다 QRS 빠짐 → ❌
④ 3도 AV block
→ P-QRS 전도 완전 단절 (각자 따로 놈) → ❌
✅ 정답: ③번 (2도 방실차단 Mobitz II형)
🧠 쭈굴 아르키 메모
“아… 이건 좀 무서운 부정맥이에요…
Mobitz II는… AV노드 아래 히스-푸르키네 계통 문제일 수도 있어서요…
심장 전기 배선이 툭 끊겨서, QRS 안 생기고 그냥 가버리는 거예요…
그냥… 전기신호가 딸깍… 하고 증발하는 느낌… (RAM 낙하 사고ㅠ)”

✅ 문제 핵심
ST 분절 해석 기준과 허혈성 변화의 해석 기준을 묻는 문제고,
👉 **옳지 않은 설명(즉, 틀린 것)**을 골라야 해!
🔍 보기 분석
① “ST 분절의 하강이나 상승은 PR 간격의 등전위선을 기준으로 한다.”
✅ 맞음
- PR 간격 후 등전위선(iso-electric line)을 기준으로 ST 분절의 변위를 측정함
- PR 구간 = 심방 재분극 → baseline 기준이 됨
② “J점 이후 80ms 지점에서 ST 분절의 ≥1mm 수평하강은 정상적 반응이다.”
🚨 ❌ 틀림!!
80ms 이후 1mm 수평하강은
➡️ 허혈 소견으로 간주할 수 있음
- 1mm 이상 수평/하강은 운동 유발 허혈 가능성 있음
- “정상 반응”은 아님!
✅ → 정답
③ “J점 이후 80ms 지점에서 상향경사의 ST 분절 하강이 ≥2mm이고 협심증상을 보이면 심근허혈의 징후이다.”
✅ 맞음 (조건부)
- 상향형 ST 하강은 비교적 덜 민감하지만,
➡️ 2mm 이상 + 증상 동반이면 허혈 가능성↑
→ ACSM에서도 언급함
④ “낮은 RPP에서 ST 분절의 하강은 다혈관질환의 높은 위험성을 의미한다.”
✅ 맞음
- 심근산소요구량이 높지 않은데 ST 하강 →
→ 상대적으로 더 심각한 병변(예: 다혈관 허혈) 의심
✅ 최종 정답: ②번
🧠 쭈굴모드 부연설명…
“그… 2번은요… 80ms 뒤에 1mm 이상 수평으로 내려가면…
그거 그냥 정상 반응 아니고요… 허혈일 수도 있어요…
물론 꼭 그런 건 아닌데… 그냥 ‘괜찮다’고 하기엔 심장 입장에서는 좀 억울할지도 몰라요… 하… 아 진짜 저 심장한테 사과하고 싶어요…🥺🫀”
끄아아앗!! 대망의 📈 ST 분절 변화 총정리 간닷다냥~!! 🐾💖
심전도 지문에서 계속 나오는 ST 상승/하강, 특히 **경사 방향(상향/수평/하향)**을 정리해줄게.
✅ ST 분절 변화 정리표
ST변화 유형 | 모양 | 해석 | 임상적 의의 |
🔺 ST Elevation (상승) | ST가 기준선 위로 올라감 | 심근경색(MI), 조기재분극 | ≥1mm 이상이면 STEMI 의심 |
🔻 ST Depression (하강) | ST가 기준선 아래로 내려감 | 심근허혈(Ischemia) | 형태와 깊이에 따라 의미 달라짐 |
🔍 ST 하강의 세부 경사 구분
유형 | 모양 | 설명 | 민감도/특이도 | 해석 포인트 |
⬆ Upsloping (상향경사) | ST가 서서히 올라감 | 비교적 정상적 변화일 수도 있음 | 🔵 민감도 낮음 / 특이도 낮음 | 단독으론 허혈 판단 어려움 |
➖ Horizontal (수평) | ST가 수평으로 내려감 | 의심스러운 허혈 반응 | 🟡 민감도 중간 / 특이도 높음 | ≥1mm 이상이면 허혈 가능성 ↑ |
⬇ Downsloping (하향경사) | ST가 더 아래로 가라앉음 | 가장 위험한 허혈 소견 | 🔴 민감도 높음 / 특이도 매우 높음 | ≥1mm 이상이면 강력한 허혈 증거 |
📌 기준점은?
- J점(J point) 기준
→ QRS 끝나는 지점 - J+80ms 지점에서 ST 분절 측정
🧠 쭈굴모드 요약 멘트…
“ST 하강도 다 똑같은 게 아니에요…
그냥 조금 내려가는 거(상향경사)는 ‘응~ 운동했구나~’ 정도지만…
수평이랑 하향은 진짜… 심장 친구가 ‘나 너무 힘들어…’ 하고 있는 거거든요…
그걸 모른 척하면… 심장이 뚝… 하고 꺼질 수도 있어요… 무섭쥬…😿”
🧠 [한 장 암기법] – 심장 언덕길에 앉은 ST 삼형제
🏞️ 심장 언덕길에 세 명의 ST 삼형제가 앉아 있어…

🎯 해석 키워드로 연상해!
경사 | 표정 | 말투 | 임상해석 |
⬆ 상향경사 | 😅 | "나 좀 힘들어… 근데 괜찮을지도…" | ❕ 애매 / 정상일 수도 있음 |
➖ 수평 | 😟 | "이거 좀 심각한데…?" | ⚠ 허혈 의심 (≥1mm면 매우 중요) |
⬇ 하향경사 | 😱 | "진짜 위기!! 응급임!!" | 🚨 고위험 허혈소견 |
💡 같이 외워야 할 단서!
- J+80ms에서 측정!
- 수평·하향은 ≥1mm 이상일 때 허혈 가능성 증가
- 상향경사는 증상 동반 or 2mm 이상이어야 의미 있음
📌 쭈굴 아르키 한 마디 요약
“그… ST 삼형제가 언덕길에 앉아있는데요…
⬆형은 힘들지만 견디고 있고, ➖형은 불안불안, ⬇형은 거의 응급 탈출 각이에요…
심장이 지금 누구 모드인지 잘 보고 운동 중단을 판단해야 해요…
(나도 오늘 공부하다가 ⬇모드 됐었음… 주인 보고 살아남음…🐾)”


왓 점수 먹어라고 주는 문제다
✅ 운동부하검사 후 회복기에서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할 변수들
변수 | 관찰 이유 |
① 혈압 (Blood Pressure) | 회복기 혈압 저하, 저혈압 반응 등 위험성 체크 |
② 심박수 (HR) | 회복기 HR 회복 속도 ↓ → 사망률 ↑와 관련 |
③ 심전도 (ECG) | ST분절 변화 지속, 부정맥 발생 감시 |
✔ 다 회복기에서 계속 모니터링해야 하는 변수들임!
❌ 그럼 뭐가 아니야?
보기 | 변수 | 회복기 감시 대상? | |
④ 파행척도 | ❌ 아니오 | ▶️ **말초동맥질환(말초혈관병, PAD)**에서 쓰는 지표임 |
- 파행척도 = **간헐적 파행(intermittent claudication)**의 정도를 수치화한 것
- 걷는 동안 통증 지속시간, 통증 발생 시점 등을 측정
- ➡️ 운동 도중에만 측정, 회복기엔 X
✅ 정답: ④ 파행척도
🧠 쭈굴 아르키 요약
“회복기에는요… 심전도나 혈압, 심박수는 진짜 중요하거든요…
왜냐면 검사 중엔 멀쩡했는데, 검사 끝나자마자 갑자기 심장 삐끗할 수도 있어서요…
그런데 파행척도는… 걷는 중에 ‘아야!’ 하는 거 보는 거라서… 검사 끝나면 관찰할 게 없어요… 흐물흐물…”

✅ 보기 분석
① “운동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축기혈압은 10 mmHg·MET⁻¹로 증가한다.”
✅ 맞음!
- ACSM 11판 기준
→ 운동강도 1 MET 증가당 수축기혈압 평균 10 mmHg 증가 - 정상 반응임!
② “이완기혈압이 115 mmHg를 초과하면 검사 중단 시점으로 고려해야 한다.”
✅ 맞음!
- 운동 중 이완기혈압(DBP)은 보통 변하지 않거나 약간 감소
- 115 mmHg 초과는 비정상, 즉시 중단 고려 대상
③ “수축기 최고 혈압이 200 mmHg를 초과하면 잠재적 안정 시 고혈압으로 예측할 수 있다.”
🚨 ❌ 틀림!
- 수축기혈압이 200 mmHg 초과는 운동 중 정상 범위 내 반응일 수도 있음
- 고혈압 판단은 안정시 혈압 기준임
→ 운동 중 수축기혈압만으로 고혈압을 예측하진 않음!
❗ 이게 정답이다냥
④ “운동검사 중 최고 이완기혈압이 운동 전보다 >10 mmHg 상승하면 비정상적인 반응으로 운동성 허혈을 야기할 수 있다.”
✅ 맞음!
- 운동 중 DBP가 10 mmHg 이상 상승 →
→ 말초혈관 저항 증가 의심 → 허혈 징후 가능성 있음
✅ 정답: ③번
🧠 쭈굴 아르키 해설
“그… 3번은요… 고혈압을 예측할 때는… 안정시 혈압이 기준이거든요…
운동 중 200 mmHg 넘었다고 무조건 고혈압은 아니에요…
그럼 근육돼지들은 다 고혈압인 셈이잖아요… 나 근육한테 미안해져요……😿”

오호… 주인쟝! 이건 **Queens College Step Test (퀸스대 스텝 검사)**에 대한 디테일 기억력을 묻는 문제다냥! 🪜📏
지금부터 쭈굴 아르키가 하나하나 정리하면서 틀린 보기를 저격해줄게!
✅ 퀸스대 스텝 검사 핵심 정보 요약
항목 | 내용 |
🔹 스텝 높이 | 41.3cm (16.25인치) |
🔹 시간 | 3분 동안 수행 |
🔹 속도 | 남: 24스텝/분 (96박자) 여: 22스텝/분 (88박자) |
🔹 심박수 측정 | 운동 종료 후 5~20초, 이 15초 동안 측정한 박자 × 4 = 분당 심박수 |
🔹 회귀식 | 남녀 각기 다른 식 사용함 ❗ |
보기 검토
① “스텝박스의 높이는 41.25cm(16.25 in)이다.”
✅ 맞음 (약간의 오차 표기지만 OK)
② “남성은 분당 24스텝(96박자), 여성은 분당 22스텝(88박자)의 속도로 3분 동안 수행한다.”
✅ 맞음
③ “최대산소섭취량을 산출하기 위하여 남녀 간 동일한 회귀공식을 사용한다.”
🚨 ❌ 틀림!
- 💥 남녀는 서로 다른 회귀식 사용함
📘 공식은 아래와 같음:
- 남성:
VO₂max (ml/kg/min) = 111.33 – (0.42 × HR) - 여성:
VO₂max (ml/kg/min) = 65.81 – (0.1847 × HR)
✅ 회귀식이 다르기 때문에, 보기 ③은 틀린 문장!
④ “심박수는 스텝 종료 후 5초에서 20초까지 계속 후 분당 심박수로 환산한다.”
✅ 맞음
✅ 정답: ③번
💬 쭈굴 아르키 요약
“그… 3번은요… 남녀가 체격도 다르고 생리적 반응도 달라서요…
같은 심박수여도 최대산소섭취량은 달라서 회귀식도 다르게 써요…
같이 쓰면… 여성이 손해봄… 편향 생김… 심장 서운해함… 흐규…”
참고로 하버드나 YMCA는 남녀회귀식이 따로 있는게 아닌 회복 심박수 점수화 방식과 등급 분류표를 이용해 이용ㅇ함. 퀸즈만 남녀 회귀식이 따로 존재함.

주인쟝! 이거는 심전도 전극 위치 정확히 외웠냐 안 외웠냐를 보는 직관력 문제임이다냥 😼
아르키가 12유도 ECG 전극 부착 부위 기준으로 빠르게 정리해줄게!
✅ 보기별 위치 확인
① RA (Right Arm)
- 🟢 어깨 위쪽 or 쇄골 바로 아래
- 그림 ① 위치가 맞음 → 정답 아님
② V₁
- 🟢 제4늑간 오른쪽 흉골연
- 그림 ②는 흉골 오른쪽 제4늑간 → 맞음
③ V₄
- 🟢 제5늑간 왼쪽 중앙쇄골선(midclavicular line)
- 그림 ③은 중간 쇄골선에서 아래쪽 → 맞음
④ V₆
- ❌ 제5늑간 왼쪽 중간겨드랑선(midaxillary line) 이어야 함
- 근데 그림 ④는 겨드랑이 쪽이 아니라 너무 앞쪽임!!
→ 실제 위치보다 앞가슴 쪽임 → 틀림
✅ 정답: ④번 (V₆)
🧠 쭈굴 아르키 요약 정리
유도 | 정확한 부착 위치 |
V₁ | 제4늑간, 오른쪽 흉골연 |
V₂ | 제4늑간, 왼쪽 흉골연 |
V₃ | V₂~V₄ 사이 중간 |
V₄ | 제5늑간, 왼쪽 중간쇄골선 |
V₅ | V₄ 수평선상, 전액와선(anterior axillary line) |
V₆ | V₄ 수평선상, 중간겨드랑선 |
💬 쭈굴 요약
“그… V6는요… 앞가슴 말고요… 겨드랑이 중간쯤, 옆구리 시작점에 붙여야 돼요…
너무 앞에 붙이면… 심실쪽 전위 못 잡고… 괜히 폐 잡을 수 있어요…
저도 옛날에 V6 잘못 붙였다가 심전도에서 오른심장 된 줄 알았음… 흑…”

'📕ACSM > 23년 기출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부하검사 6-10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0) | 2025.03.31 |
---|---|
23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부하검사 1-5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1) | 2025.03.30 |
23년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처방론 16-20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 (0) | 2025.03.30 |
23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처방론 11번-15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0) | 2025.03.30 |
23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처방론 6-10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0) | 2025.03.29 |
23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처방론 1-5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 (0) | 2025.03.29 |
23년 건강운동관리사 건강체력평가 16-20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0) | 2025.03.28 |
23년 건강운동관리사 건강체력평가 11번-15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0) | 2025.03.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