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병태생리학17

23년 건강운동관리사 기출문제 풀이ㅣ병태생리학 11-20번 [병태생리학] 11번 문제문제 요약급성관상동맥증후군(ACS, acute coronary syndrom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 고르는 문제.정답: ④ (ㄴ, ㄹ)보기 검토ㄱ. "흉통은 운동 시 발생하지만 안정을 취하면 사라진다."는 설명은 **안정형 협심증(stable angina)**에 해당한다.하지만 **급성관상동맥증후군(ACS)**은 불안정형 협심증과 심근경색을 포함하므로 흉통이 휴식 시에도 발생하고, 점차 악화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설명은 틀림.ㄴ. "관상동맥의 경화반(plaques) 파열 및 혈전과 관련 있다."는 설명은 정확함.ACS의 병태생리는 죽상경화반(atherosclerotic plaque)의 파열로 혈전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관상동맥이 막혀 심근허혈이나 괴사가 발생하게 된다... 2025. 4. 7.
[병태생리학] 칼시토닌 vs 부갑상선호르몬 정리, 암기팁 구분🟦칼시토닌 (Calcitonin)🔴부갑상선호르몬 (PTH)분비 기관갑상선(Thyroid)의 C세포부갑상선(Parathyroid)혈중 칼슘농도에 대한 반응혈중 칼슘이 높을 때 분비혈중 칼슘이 낮을 때 분비뼈에서의 작용🧱 파골세포 억제 → 뼈 흡수 ↓🦴 파골세포 자극 → 뼈 흡수 ↑신장에서의 작용칼슘 재흡수 억제 → 소변 배출 ↑칼슘 재흡수 촉진 → 소변 배출 ↓장(소장)에서의 작용거의 없음비타민 D 활성화 → 장에서 칼슘 흡수 ↑최종 작용 효과혈중 칼슘 ↓혈중 칼슘 ↑🧠 암기 팁칼시토닌은 칼슘을 내림 → Calcitonin = Calcium Down!PTH는 칼슘을 올림 → PTH = Pull The Height (칼슘 농도 높이기!)이렇게 보면 인슐린(혈당 ↓) vs 글루카곤(혈당 ↑)처럼칼.. 2025. 4. 7.
[병태생리학] 알파(α), 베타(β) 수용체 작용제/억제제 약물 암기팁 수용체에 먹히는 약물의 작용 기전을 먼저 외울게 아니라, 수용체가 뭐하는 애들인지 먼저 알아야함.그리고 팁은 1번 붙은건 보통 수축 상승시키고 2번은 이완이라고 생각하자. 📌 [기본 개념: 아드레날린 수용체란?]교감신경계가 활성화될 때,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이나 에피네프린(epinephrine)이 붙어서 작용하는 수용체야.그 수용체는 크게 α(알파) 와 β(베타) 로 나뉘고, 각각의 아형은 위치와 기능이 달라.🔴 α1 수용체 (Alpha-1 receptor)🧠 위치: 혈관 평활근💥 기능: 혈관 수축 → 혈압 상승⛔ 억제제: 혈압을 낮추고 싶은 상황에서 사용돼 (예: 고혈압 치료제)🔵 α2 수용체 (Alpha-2 receptor)🧠 위치: 시냅스 전 뉴런💥 기능: 노르에피.. 2025. 4. 7.
23년 건강운동관리사 기출문제 풀이ㅣ병태생리학 1-10번 [병태생리학] 1번 문제✅ 문제 요약알레르기(Allergy) 반응에서 IgE 항체가 결합하는 세포와,이 세포가 탈과립(Degranulation)하면서 방출하는 물질을 물어보는 문제.✅ 정답: 1번✅ 정답 해설알레르기 반응은 제1형 과민반응(Type I hypersensitivity) 이라고 불려.이 반응은 다음과 같은 흐름으로 진행돼:항원이 체내에 처음 들어오면, IgE 항체가 생성됨.이 IgE 항체는 비만세포(mast cell) 또는 호염기구(basophil) 에 결합함. ☑️ 재노출 시, 항원과 IgE가 결합해 탈과립 반응을 일으킴.이 과정에서 히스타민(histamine) 이 분비됨 → 모세혈관 확장, 혈관 투과성 증가, 발적, 부종 등 증상 발생.따라서,➀ IgE가 결합하는 세포: 비만세포➁ 탈과립.. 2025. 4. 6.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16~20번 문제 해설 ✅ ACSM 권고 혈중지질 조절 기출 문제 풀이 (3단콤보)🔍 1️⃣ 풀이 과정 (보기별 분석)🔹 ① "HDL(high density lipoprotein) 콜레스테롤은 남성의 경우 40 mg·dL⁻¹ 이상 유지해야 한다."✅ 맞음HDL(고밀도 지단백, 좋은 콜레스테롤)은 동맥에서 콜레스테롤을 제거하는 역할ACSM 및 AHA(미국심장협회) 기준에 따르면:남성: 40 mg·dL⁻¹ 이상여성: 50 mg·dL⁻¹ 이상 유지가 권장됨✅ 따라서 이 문장은 맞음!🔹 ② "LDL(low density lipoprotein) 콜레스테롤은 동맥경화를 일으키는 주요한 물질이다."✅ 맞음LDL(저밀도 지단백, 나쁜 콜레스테롤)은 동맥벽에 침착되어 동맥경화를 유발LDL이 증가하면 심혈관질환(CVD) 위험이 증가✅ 따라.. 2025. 3. 20.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11~15번 문제 해설 ✅ 척추측만증(Scoliosis) 기출 문제 풀이 (3단콤보)문제를 하나씩 검토하면서 개념 설명 & 3단콤보 방식으로 정리해볼게! 🔥🔍 1️⃣ 기출 개념 정리 (핵심 개념 먼저 파악)👉 척추측만증(Scoliosis)정상적인 척추는 정면에서 보면 일직선이어야 하지만, 척추측만증은 측면으로 만곡이 발생하는 상태원인: 대부분 특별한 원인 없이 발생(특발성 idiopathic, 80 ~ 90%)성별 차이: 여성에게 더 많이 발생 (여성이 남성보다 약 8배 많음)진행성 측만증의 경우 흉추 및 갈비뼈의 회전 동반 가능골반과 어깨 높이가 비대칭 → 임상적 징후 중 하나📝 2️⃣ 문제 풀이 및 오답 분석 (보기별 검토)🔹 ① "서 있으면 솟은 어깨쪽의 반대측 골반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 맞음척추측만증.. 2025. 3. 20.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10번 문제 해설 [허리뼈 추간판탈출증] ✅ 허리뼈 추간판탈출증(lumbar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기출 문제 풀이 (3단콤보)문제를 하나씩 검토하면서 개념 설명 & 3단콤보 방식으로 정리해볼게.🔍 1️⃣ 기출 개념 정리 (핵심 개념 먼저 파악)👉 허리뼈 추간판탈출증(HIVD: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L4 ~ L5, L5 ~ S1에서 가장 많이 발생주된 원인: 퇴행성 변화, 지속적 압력, 외상, 근력 약화기전: 추간판의 속질핵(nucleus pulposus)이 섬유륜(annulus fibrosus)을 뚫고 나와 신경을 압박자세에 따른 압력 변화: 앉아 있을 때 추간판 압력이 더 높음혈액 공급 문제: 추간판은 혈관이 거의 없어서 움직이지 않으면 영양 공급이 제한됨 → 변성이 진행됨.. 2025. 3. 20.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9번 문제 해설 [경추 추간판탈출증] ✅ 각 선택지 검토ㄱ. 거북목은 목뼈 추간판탈출증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 ⭕ 맞음거북목(Forward Head Posture, FHP)은 경추(C-spine)에 비정상적인 하중을 가하고, 추간판에 지속적인 압력을 가해 **추간판 탈출증(디스크 탈출, HNP, Herniated Nucleus Pulposus)**을 유발할 수 있음.ㄴ. 목근육의 과긴장이나 경직은 추간판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 ❌ 틀림경추 주변 근육(특히 상부 승모근, 사각근, 후두하근 등)의 과긴장과 경직은 추간판에 가해지는 압력을 증가시키고, 신경근 압박을 유발할 수 있음.따라서, 근육 경직이 추간판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은 틀린 설명.ㄷ. 손저림, 뒷목 뻐근함,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 ⭕ 맞음목뼈 추간판탈.. 2025. 3. 19.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8번 문제 해설 [공기가슴증/기흉] 📌 공기가슴증(기흉, Pneumothorax) 문제 해설 (3단 콤보 적용!)✔ 문제 유형: 공기가슴증(기흉)의 유형 및 병태생리 관련 개념을 묻는 문제✔ 정답: 1번 (일차성, 긴방성, 개방성, 청색증)✔ 이유: 기흉의 유형(일차성 vs. 이차성, 개방성 vs. 긴장성)을 명확하게 구별하면 해결 가능!📌 1단계: 보기별 정오 판단🔹 ① "건강인에게 특별한 원인이 없어도 (①) 공기가슴증은 발병한다."✔ 건강한 사람에게서 원인 없이 발생하는 기흉을 **"일차성(원발성) 기흉(Primary Spontaneous Pneumothorax, PSP)"**이라 함.✔ 하지만 **기저 폐질환(COPD, 결핵, 폐섬유화 등)이 있는 경우 발생하는 기흉은 "이차성 기흉(Secondary Pneumothorax, .. 2025. 3. 19.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7번 문제 해설 [우심실 울혈성심장기능상] 📌 우심실 울혈성 심부전(Congestive Heart Failure, Right-sided Heart Failure) 문제 해설 (3단 콤보 적용!)✔ 문제 유형: 우심실 기능부전의 병태생리 및 증상 관련 개념을 묻는 문제✔ 정답: ③번 (주 증상은 혈액이 폐로 역류하여 폐울혈과 부종으로 인한 호흡곤란이다.)✔ 이유: 우심실 기능부전에서는 폐울혈보다는 정맥울혈이 주요 증상이며, 폐울혈은 좌심실 기능부전에서 더 흔함.📌 1단계: 보기별 정오 판단✅ ① "다리, 간, 복부장기의 부종이 발생한다." (O, 맞음)✔ **우심실 기능부전(Right-sided Heart Failure, RHF)**에서는 혈액이 전신 정맥계에서 심장으로 제대로 돌아오지 못하여 정맥 울혈이 발생함.✔ 이에 따라 다리(말초 부종).. 2025. 3. 19.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6번 문제 해설 [고혈압] 📌 고혈압에 관한 문제 해설 (3단 콤보 적용!)✔ 문제 유형: 고혈압의 병태생리, 분류 및 기준 관련 개념을 묻는 문제✔ 정답: ④번 (7차 JNC-7의 고혈압 기준 설명이 맞음.)✔ 이유: JNC-7(7차 국가공동위원회)에서는 콩팥질환 및 당뇨 환자의 경우 혈압 목표를 130/80 mmHg 미만으로 권장했음.📌 1단계: 보기별 정오 판단🚫 ① "주로 전부하(preload)의 증가로 발생한다." (X, 틀림)✔ 고혈압의 주요 원인은 "후부하(afterload)" 증가!✔ **전부하(preload)**는 심장이 수축하기 전, 정맥 환류로 인해 심실이 채워지는 혈액량을 의미함.✔ **후부하(afterload)**는 심장이 혈액을 내보낼 때 심장이 극복해야 하는 말초혈관 저항을 의미하며, 고혈압에서 주.. 2025. 3. 19.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5번 문제 해설 [급성관상동맥증후] 📌 검토 1: cTnI와 cTnT는 불안정협심증(UA)에서도 진단 표지자로 사용될까?🚫 ㄴ. "불안정협심증의 경우 cTnI와 cTnT가 진단 표지자(marker)이다." (X, 틀림)✔ 트로포닌(Troponin I, Troponin T)은 심근 손상(괴사)이 발생했을 때 혈중 농도가 상승하는 대표적인 바이오마커.✔ 하지만 불안정협심증(UA)에서는 심근 괴사가 없으므로, 트로포닌(cTnI, cTnT) 수치가 상승하지 않음.✔ 따라서 트로포닌은 "심근경색(MI)"의 진단 표지자로 사용되며, "불안정협심증(UA)"의 진단 기준이 될 수 없음.✔ 결론: "불안정협심증"에서 트로포닌이 진단 기준이 된다는 표현은 부정확하므로, 이 보기는 틀린 것이 맞음!📌 검토 2: 급성관상동맥증후군(ACS)의 정의✅ ㄱ. .. 2025. 3. 19.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4번 문제 해설 [천식] 📌 천식에 관한 문제 해설 (3단 콤보 적용!)✔ 문제 유형: 천식의 병태생리 및 치료제 관련 개념을 묻는 문제✔ 정답: ④번 (기도재형성은 급성적이며 가역적인 기류폐쇄를 일으킨다.)✔ 이유: 기도재형성(Airway Remodeling)은 급성적이지 않고, 가역적이지 않기 때문.📌 1단계: 보기별 정오 판단✅ ① "베타(β)2-아드레날린성 효능제가 사용된다." (O, 맞음)✔ **β₂-아드레날린성 효능제(β₂-Agonists)**는 기관지를 확장시켜 천식 증상을 완화하는 대표적인 치료제.✔ 살부타몰(Salbutamol, 벤토린) 같은 **단기 작용제(SABA, Short-Acting β₂-Agonist)**와 포르모테롤(Formoterol) 같은 **장기 작용제(LABA, Long-Acting β₂-.. 2025. 3. 19.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3번 문제 해설 [심방세동] 📌 심전도 분석 및 정답 도출주어진 심전도 그래프를 보면, RR 간격이 불규칙하고 P파가 명확하게 보이지 않는 패턴이 나타남. 이는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AF)**의 특징적인 파형임.📌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AF)의 심전도 특징✔ 불규칙한 RR 간격: 심실이 불규칙하게 수축함. (🟢 보기 ㄴ 해당)✔ P파 소실 또는 불규칙한 전위: 일정한 P파가 보이지 않음. (❌ 보기 ㄱ 해당 안 됨)✔ 혈전 생성 가능성 증가: 심방 내 혈류 정체로 인해 혈전 위험이 높아짐. (🟢 보기 ㄷ 해당)✔ 심박출량 감소: 심방이 효과적으로 수축하지 못하여 심박출량이 감소할 수 있음. (🟢 보기 ㄹ 해당)✔ 뇌졸중 위험 증가: 심방 내 혈전이 뇌혈관으로 이동할 가능.. 2025. 3. 19.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2번 문제 해설 [악성종양] 📌 문제 해설: 악성 종양(Malignant Tumor)에서 옳은 것은?✔ 정답: ③번 (ㄴ, ㄷ, ㄹ)✔ 틀린 보기: ㄱ, ㅁ📌 선택지별 해설✅ ㄴ. "세포들이 조직에 침윤되어 있다." (O)✔ 악성 종양은 침윤성 성장(Invasive Growth)을 하며, 주변 조직을 파괴하면서 깊숙이 침투함.✔ 양성 종양(Benign Tumor)은 주변 조직을 밀어내는 방식으로 성장하지만, 악성 종양은 조직을 침범하며 퍼져나감.✅ ㄷ. "세포 핵이 크고 모양이 다양하다." (O)✔ 악성 종양 세포는 **비정형 세포(Atypical Cells)**의 특징을 가지며,✔ 핵이 커지고(Nuclear Enlargement), 모양이 불규칙(Polymorphic Nuclei)하며 핵소체(Nucleolus)가 두드러지는 특.. 2025. 3. 19.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1번 문제 해설 [급성염증] 📌 문제 해설: 급성 염증(Acute Inflammation)에서 틀린 보기는?✔ 정답: ③번✔ 이유: 급성 염증의 초기 단계에서는 단핵구(Monocytes)나 대식세포(Macrophages)가 주로 침윤하지 않음.✅ 급성 염증의 **초기 침윤세포는 ‘호중구(Neutrophil)’**이며, 시간이 지나면서 단핵구/대식세포가 나타나 조직 회복 및 만성 염증 조절을 담당함.📌 선택지별 해설✅ ①번 (O): 급성 염증에서 히스타민(Histamine)이 혈관 확장을 유도하는 것은 맞음.✔ 손상된 조직에서 비만세포(Mast Cells)와 호염기구(Basophils)가 히스타민을 분비하여 혈관이 확장(Vasodilation)되고, 염증 부위로 백혈구 이동이 증가함.✅ ②번 (O): 급성 염증에서는 손상된 세포에.. 2025. 3. 19.
스포츠심장과 고혈압의 좌심실비대증의 차이 스포츠심장 vs. 비대심근증 흔히 마라톤 선수를 초인간이라 부른다. 마라톤을 올림픽의 꽃이라고 부르는 것도 가장 힘든 경기이기 때문이다. 마라톤은 아주 원시적인 운동인 것처럼 보이지만 마라톤 선수의 능력은 과학의 신비를 잘 나타낸다. 마라톤선수는 심장크기부터 다르다. 일반인은 좌우직경이 약10cm 미만에 불과하나 마라톤선수는 16cm 이상이다. 특히 좌심실 크기가 월등한데 큰 심장은 한번 수축으로 혈액을 짤 수 있는 양이 많기에 충분한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한번에 짜내는 혈액량이 많아 심장박동을 자주 하지 않아도 된다. 그만큼 심장기능이 효율적인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안정시의 심박수가 현저히 낮게 나타나 마라톤선수들은 40~45회 정도에 불과하지만 일반인은 70회정도이다. 바르셀로나올림픽 금메달리스.. 2023. 1.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