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태생리학/24년도 기출문제풀이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1번 문제 해설 [급성염증]

by 둔근해 2025. 3. 19.
반응형

📌 문제 해설: 급성 염증(Acute Inflammation)에서 틀린 보기는?

정답: ③번
이유: 급성 염증의 초기 단계에서는 단핵구(Monocytes)나 대식세포(Macrophages)가 주로 침윤하지 않음.
✅ 급성 염증의 **초기 침윤세포는 ‘호중구(Neutrophil)’**이며, 시간이 지나면서 단핵구/대식세포가 나타나 조직 회복 및 만성 염증 조절을 담당함.


📌 선택지별 해설

①번 (O): 급성 염증에서 히스타민(Histamine)이 혈관 확장을 유도하는 것은 맞음.
✔ 손상된 조직에서 비만세포(Mast Cells)와 호염기구(Basophils)가 히스타민을 분비하여 혈관이 확장(Vasodilation)되고, 염증 부위로 백혈구 이동이 증가함.

②번 (O): 급성 염증에서는 손상된 세포에서 다양한 화학매개체(Chemical Mediators)가 분비됨.
✔ 대표적인 화학매개체: 히스타민,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s), 류코트리엔(Leukotrienes), 사이토카인(Cytokines) 등
✔ 이 화학매개체들은 혈관 투과성 증가, 백혈구 이동 촉진, 통증 유발 등의 역할을 함.

🚫 ③번 (X): 급성 염증 초기에는 단핵구(Monocytes)나 대식세포(Macrophages)가 주로 침윤하지 않음!
✔ 급성 염증의 초기 반응에서 호중구(Neutrophils)가 가장 먼저 도착하여 염증 부위에서 미생물 제거 및 손상된 조직 청소
✔ 이후, 몇 시간 ~ 며칠 후 단핵구(Monocytes)가 침윤하여 대식세포(Macrophages)로 분화하고 조직 복구 역할을 담당함.

④번 (O): 급성 염증에서는 모세혈관 투과성이 증가하면서 혈장 단백질과 수분이 사이질 공간으로 이동함.
히스타민, 브라디키닌(Bradykinin), 프로스타글란딘 등의 염증 매개체가 모세혈관의 투과성을 증가시키고, 혈장이 염증 부위로 이동하여 부종(Edema, 부기)이 형성됨.


📌 급성 염증(Acute Inflammation) 개념 정리

급성 염증은 조직 손상이나 감염에 대한 신속한 면역 반응으로, 손상된 조직을 보호하고 회복하는 과정임.

🔹 급성 염증의 주요 과정

1️⃣ 혈관 반응(Vascular Response)
혈관 확장(Vasodilation) → 히스타민 분비로 인해 혈관이 확장되고 혈류 증가(발적, 온열)
혈관 투과성 증가(↑) → 모세혈관에서 혈장 단백질, 백혈구 등이 염증 부위로 이동(부종 발생)

2️⃣ 세포 반응(Cellular Response)
백혈구 침윤(Leukocyte Infiltration) → 호중구(Neutrophils) → 이후 단핵구/대식세포(Macrophages) 침윤
호중구의 역할: 초기 염증 반응에서 미생물 제거, 손상 조직 청소, 화학매개체 방출
대식세포의 역할: 조직 회복, 만성 염증 조절

3️⃣ 염증 매개체(Inflammatory Mediators) 분비
✔ 히스타민(Histamine) → 혈관 확장, 투과성 증가
✔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s) → 통증 유발
✔ 사이토카인(Cytokines: IL-1, TNF-α) → 면역세포 활성화


📌 급성 염증에서 호중구 vs 대식세포 역할

  호중구(Neutrophils) 대식세포(Macrophages)
침윤 시기 초기(수시간 이내) 후기(1 ~ 2일 후)
주요 역할 감염 제거, 손상 조직 제거 조직 회복, 만성 염증 조절
생명 주기 단명(수 시간 ~ 1일) 장수(수 일 ~ 수 주)

급성 염증 초기에는 호중구가 먼저 침윤하고, 이후 대식세포가 조직 회복을 담당함.


📌 결론

③번 선택지가 틀린 이유: 급성 염증 초기에는 단핵구나 대식세포가 주로 침윤하지 않음. 초기에는 호중구가 가장 먼저 침윤하여 감염과 손상 조직을 제거하고, 이후 대식세포가 조직 회복을 돕는 단계로 진행됨.

급성 염증의 핵심 개념
1️⃣ 혈관 확장 → 혈류 증가(발적, 온열)
2️⃣ 모세혈관 투과성 증가 → 부종 형성
3️⃣ 호중구(Neutrophil) 침윤 → 감염 및 손상 조직 제거
4️⃣ 단핵구(Monocyte) → 대식세포(Macrophage)로 분화하여 조직 복구

즉, 급성 염증의 초기 반응에서는 호중구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며, 이후 단핵구/대식세포가 조직 회복을 담당하는 것이 일반적인 기전임!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