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태생리학/24년도 기출문제풀이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7번 문제 해설 [우심실 울혈성심장기능상]

by 둔근해 2025. 3. 19.
반응형

📌 우심실 울혈성 심부전(Congestive Heart Failure, Right-sided Heart Failure) 문제 해설 (3단 콤보 적용!)

문제 유형: 우심실 기능부전의 병태생리 및 증상 관련 개념을 묻는 문제
정답: ③번 (주 증상은 혈액이 폐로 역류하여 폐울혈과 부종으로 인한 호흡곤란이다.)
이유: 우심실 기능부전에서는 폐울혈보다는 정맥울혈이 주요 증상이며, 폐울혈은 좌심실 기능부전에서 더 흔함.


📌 1단계: 보기별 정오 판단

① "다리, 간, 복부장기의 부종이 발생한다." (O, 맞음)
✔ **우심실 기능부전(Right-sided Heart Failure, RHF)**에서는 혈액이 전신 정맥계에서 심장으로 제대로 돌아오지 못하여 정맥 울혈이 발생함.
✔ 이에 따라 다리(말초 부종), 간(울혈성 간비대), 복부(복수, 복부팽만) 등에 부종이 생김.
✔ 이는 정맥압 상승과 관련이 있으며, 우심부전의 대표적인 증상 중 하나.

② "정맥압의 증가는 목정맥의 확장과 얼굴홍조를 일으킨다." (O, 맞음)
우심실 기능부전에서는 중심정맥압(CVP, Central Venous Pressure)이 증가하면서 목정맥이 확장됨.
✔ **목정맥 팽창(Jugular Vein Distention, JVD)**은 우심실 기능부전의 대표적인 신체검사 소견.
✔ 또한, 혈액 정체로 인해 얼굴이 붉어지거나(얼굴홍조), 정맥압 상승으로 인한 불편함이 동반될 수 있음.

🚫 ③ "주 증상은 혈액이 폐로 역류하여 폐울혈과 부종으로 인한 호흡곤란이다." (X, 틀림)
폐울혈(Pulmonary Congestion)과 호흡곤란(Dyspnea)은 좌심실 기능부전(Left-sided Heart Failure, LHF)의 주요 증상.
✔ 우심실 기능부전(RHF)에서는 폐정맥 울혈보다는 전신 정맥 울혈이 주요 증상.
✔ 따라서, "혈액이 폐로 역류하여"라는 표현과 "폐울혈"을 주 증상으로 기술한 것이 틀린 내용.

④ "폐동맥판이나 삼첨판막질환에 의해서도 발병한다." (O, 맞음)
✔ 우심실 기능부전은 폐동맥 고혈압(Pulmonary Hypertension), 폐동맥판 협착(Pulmonary Valve Stenosis), 삼첨판막 질환(Tricuspid Valve Disease)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음.
✔ 삼첨판막이 손상되면 우심방-우심실 간 혈류 이상이 발생하여 우심실 부담이 증가하고 기능부전이 초래될 수 있음.
✔ 또한, 만성 폐질환(COPD, 폐색성 폐질환)으로 인해 폐동맥 저항이 증가하면 "폐성심(Cor Pulmonale)"이 발생하여 우심부전이 유발될 수 있음.


📌 2단계: 우심실 울혈성 심부전(RHF) 개념 정리

✔ **우심실 기능부전(Right-sided Heart Failure, RHF)**은 우심실이 혈액을 폐로 충분히 보내지 못하면서 전신 정맥 순환에 울혈이 발생하는 상태.
✔ 주로 폐고혈압, 폐질환, 삼첨판막 이상 등으로 인해 발생.

🔹 주요 원인

  • 좌심실 기능부전(LHF) → 좌심부전이 진행되면 결국 우심부전도 발생
  • 폐질환 및 폐동맥 고혈압 → 폐동맥 저항 증가로 인해 우심실 부담 증가
  • 삼첨판막질환(Tricuspid Valve Disease) → 판막 이상으로 혈액 정체
  • 폐색전증(Pulmonary Embolism) → 폐동맥 순환 장애로 인한 우심실 부담 증가

🔹 주요 증상

정맥 울혈로 인한 증상

  • 말초 부종(Peripheral Edema) → 다리 부종
  • 복수(Ascites) → 복부팽만
  • 간 비대(Hepatomegaly), 간부전 → 울혈성 간비대
  • 목정맥 팽창(Jugular Vein Distention, JVD)

좌심실 기능부전과의 차이점

구분 우심실 기능부전(RHF) 좌심실 기능부전(LHF)
주요 원인 폐질환, 폐동맥 고혈압, 삼첨판막 이상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승모판막 질환
주 증상 말초 부종, 복수, 간 비대, 목정맥 팽창 호흡곤란, 폐울혈, 기좌호흡
혈액 정체 위치 전신 정맥계 폐순환(폐정맥)
폐부종(Pulmonary Edema) 없음 있음

📌 3단계: 결론 및 문제 해결 요령

최종 정답: ③번 (주 증상은 혈액이 폐로 역류하여 폐울혈과 부종으로 인한 호흡곤란이다.)
틀린 보기 정리:

  1. ① "다리, 간, 복부장기의 부종 발생" → ✅ 우심실 부전의 대표 증상
  2. ② "정맥압 증가로 목정맥 확장, 얼굴홍조" → ✅ 중심정맥압 상승으로 나타남
  3. ③ "주 증상은 폐울혈과 호흡곤란" → ❌ 이것은 좌심실 기능부전(LHF)의 증상!
  4. ④ "폐동맥판·삼첨판막 질환도 원인이 됨" → ✅ 우심실 기능부전의 주요 원인 중 하나

이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 포인트:
1️⃣ 우심실 기능부전(RHF) vs 좌심실 기능부전(LHF) 증상 구별 필수!
2️⃣ 우심실 기능부전은 "정맥 울혈"이 특징이며, 폐울혈(호흡곤란)은 좌심실 기능부전의 주요 증상.
3️⃣ 우심실 부전의 대표적 원인은 "폐동맥 고혈압, 삼첨판막 질환, 폐질환(COPD)" 등임.

➡ 앞으로 심부전 문제를 풀 때는 ① 좌심 vs. 우심 증상 구별, ② 주요 원인(고혈압, 판막질환, 폐질환 등), ③ 순환 혈류 방향(전신 정맥 울혈 vs 폐울혈) 3가지 요소를 고려하면 쉽게 해결 가능!


옛날 기출에? 그런 문제가 있었음

좌심실기능부전의 원인과 주증상, 우심실기능부전의 원인과 주증상의 관계에 대한 보기가 나와서 엄청나게 혼란을 준 기억이 있었는데. 무엇이 무엇의 주증상이 될 수 있고 원인이 될 수 있다 뭐 그런거였던 것 같음. 폐울혈이 상황에 따라 원인이 될 수 있고, 결과가 될 수 있음.

그래서 정리하자면...!

1️⃣ 폐울혈이 좌심실 기능부전의 원인이 되는 경우 (폐질환 → 폐울혈 → 좌심실 부전)

우심실 기능부전(RHF) → 폐질환(COPD, 폐섬유화, 폐색전증) → 폐울혈(Pulmonary Congestion) → 좌심실 기능부전(LHF)

✔ 우심실 기능부전이 지속되면 폐동맥 고혈압(Pulmonary Hypertension)이 발생하고,
✔ 폐혈관의 압력이 증가하면서 폐순환이 막힘(폐울혈 발생) 
✔ 이로 인해 폐에서 좌심방으로 혈액이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고, 좌심실로 유입되는 혈액량이 감소하면서 좌심실 기능부전(LHF)이 발생할 수 있음.
✔ 즉, 폐울혈이 좌심실 기능부전의 원인이 되는 경우!


2️⃣ 폐울혈이 좌심실 기능부전의 증상이 되는 경우 (좌심실 부전 → 폐울혈)

좌심실 기능부전(LHF) → 좌심실 박출량 감소 → 폐울혈(Pulmonary Congestion) 발생 → 호흡곤란 ✔ 좌심실 기능부전이 발생하면 좌심실이 혈액을 충분히 박출하지 못함.
✔ 따라서 좌심방과 폐정맥에 혈액이 정체되면서 폐울혈이 발생함.
✔ 좌심실 기능부전이 심해지면 **폐부종(Pulmonary Edema)**까지 진행될 수 있음.
✔ 즉, 폐울혈이 좌심실 기능부전의 결과(증상)가 되는 경우!


📌 우심실 기능부전과 좌심실 기능부전의 연결 과정

좌심실 기능부전(LHF) → 폐울혈 발생 → 폐고혈압 → 우심실 기능부전(RHF)으로 진행할 수 있음.
✔ 반대로, 우심실 기능부전(RHF) → 폐동맥 고혈압 → 폐울혈 → 좌심실 기능부전(LHF)으로 발전할 수도 있음.
✔ 즉, 좌심실 기능부전과 우심실 기능부전은 서로 영향을 주면서 악순환을 반복할 수 있음.
✔ 이 과정에서 폐울혈은 원인이 될 수도 있고, 증상이 될 수도 있는 복합적인 개념!


📌 결론: 우심실 기능부전과 좌심실 기능부전의 상호 작용

1️⃣ 좌심실 기능부전(LHF)폐울혈(Pulmonary Congestion) 발생 → 폐동맥 저항 증가 → 우심실 기능부전(RHF)로 진행 가능!
2️⃣ 우심실 기능부전(RHF)폐동맥 고혈압(Pulmonary Hypertension) 발생 → 폐순환 저하 → 좌심실 기능부전(LHF)로 진행 가능!
3️⃣ 즉, 폐울혈은 때로는 "좌심실 기능부전의 증상"이 될 수도 있고, 때로는 "좌심실 기능부전을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도 있음.

✔ 이 때문에 우심실 기능부전과 좌심실 기능부전의 경계가 모호해 보일 수 있지만, 병태생리를 이해하면 정리됨.
✔ 핵심은 좌심실 부전 → 폐울혈 발생 → 우심실 부전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지만, 반대로 우심실 부전 → 폐질환 → 폐울혈 → 좌심실 부전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는 것!

➡ 이 점을 정리하면 우심실 기능부전(RHF)과 좌심실 기능부전(LHF)을 연결하는 폐울혈의 역할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음.


📌 우심실 기능부전(Right-sided Heart Failure) vs. 좌심실 기능부전(Left-sided Heart Failure) 비교 정리

우심실 기능부전(RHF)과 좌심실 기능부전(LHF)은 서로 연결되어 영향을 미치지만, 각각의 주된 원인과 증상이 다름.
✔ 핵심 차이점은 **"어느 쪽 심장이 혈액을 제대로 내보내지 못하는가?"**에 따라 **정맥 순환 문제(우심실 부전) vs. 폐순환 문제(좌심실 부전)**로 나뉨.


1️⃣ 우심실 기능부전 (Right-sided Heart Failure, RHF)

🔹 정의:
우심실이 폐로 혈액을 충분히 보내지 못하는 상태.
✔ 결과적으로 전신 정맥 순환이 정체(울혈)되어 말초 부종이 발생함.
✔ 만성적으로 진행되면 폐동맥 저항이 증가하여 **폐성심(Cor Pulmonale)**이 될 수도 있음.

🔹 주요 원인:
✔ 좌심실 기능부전(LHF) → 우심실 부담 증가
✔ 만성 폐질환(COPD, 폐섬유화, 폐동맥 고혈압)
✔ 폐색전증(Pulmonary Embolism)
✔ 삼첨판막 질환(Tricuspid Valve Disease)

🔹 혈류 정체 부위:
전신 정맥 순환(Body Venous Circulation)

🔹 주요 증상:
말초 부종(Peripheral Edema) → 다리, 발 부종
목정맥 팽창(Jugular Venous Distention, JVD) → 중심정맥압 상승
복수(Ascites), 복부팽만 → 간 비대(Hepatomegaly), 비장 비대(Splenomegaly)
울혈성 간부전(Congestive Hepatopathy, "Nutmeg Liver")
빈뇨(Nocturia) → 정맥압이 밤에 낮아져 소변량 증가

🔹 심전도/영상 소견:
✔ 우심실 비대(RVH, Right Ventricular Hypertrophy)
✔ 폐성심(Cor Pulmonale)이 진행될 경우 폐고혈압 동반


2️⃣ 좌심실 기능부전 (Left-sided Heart Failure, LHF)

🔹 정의:
좌심실이 전신으로 충분한 혈액을 내보내지 못하는 상태.
✔ 결과적으로 폐정맥 압력이 증가하면서 폐울혈이 발생하고, 호흡곤란 증상이 나타남.

🔹 주요 원인:
✔ 고혈압(Hypertension) → 심장 부담 증가
✔ 관상동맥질환(Coronary Artery Disease, CAD) → 심근경색(MI)
✔ 승모판 질환(Mitral Valve Disease) → 좌심실 부담 증가
✔ 대동맥판 협착(Aortic Stenosis)

🔹 혈류 정체 부위:
폐정맥(Pulmonary Veins), 폐순환(Pulmonary Circulation)

🔹 주요 증상:
폐울혈(Pulmonary Congestion) → 호흡곤란(Dyspnea) 발생
기좌호흡(Orthopnea) → 눕거나 잘 때 숨이 차서 베개를 높이 베야 함
발작성 야간 호흡곤란(Paroxysmal Nocturnal Dyspnea, PND)
습한 거품 섞인 객담(Hemoptysis, Pink Frothy Sputum)
폐부종(Pulmonary Edema) → 폐혈관 정체로 인해 폐에 수분 축적

🔹 심전도/영상 소견:
✔ 좌심실 비대(LVH,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 폐부종(Pulmonary Edema) 동반 가능


3️⃣ 우심실 기능부전과 좌심실 기능부전 비교 요약

구분우심실 기능부전 (RHF)좌심실 기능부전 (LHF)
주요 원인 폐질환(COPD, 폐고혈압), 좌심실 부전 후속 진행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판막질환
혈류 정체 부위 전신 정맥 순환 (간, 신장, 말초) 폐정맥 순환 (폐 울혈, 폐부종)
주요 증상 말초 부종, 복수, 목정맥 팽창 호흡곤란, 기좌호흡, 폐부종
혈압 변화 중심정맥압 증가(CVP↑) 폐동맥압 증가(PAP↑)
대표적 영상 소견 우심실 비대(RVH), 폐성심(Cor Pulmonale) 좌심실 비대(LVH), 폐부종

📌 우심실 기능부전(RHF)과 좌심실 기능부전(LHF)의 상호작용

좌심실 기능부전(LHF) → 폐울혈 → 폐동맥 고혈압 → 우심실 기능부전(RHF) 발생 가능!
우심실 기능부전(RHF) → 폐혈류 저하 → 폐울혈 → 좌심실 기능부전(LHF)으로 진행할 수도 있음.
✔ 즉, 좌심실 부전과 우심실 부전은 서로 영향을 주며 심부전이 점점 악화되는 악순환을 형성할 수 있음.

이 때문에 "울혈성 심부전(Congestive Heart Failure, CHF)"이라는 용어가 사용됨!
좌심실 부전과 우심실 부전이 함께 진행되면서 심장 전체 기능이 저하되는 상태를 의미함.


📌 정리

1️⃣ 우심실 기능부전(RHF)전신 정맥 울혈, 말초 부종, 복수, 목정맥 팽창
2️⃣ 좌심실 기능부전(LHF)폐울혈, 호흡곤란, 폐부종, 기좌호흡
3️⃣ 좌심실 기능부전이 지속되면 우심실 기능부전으로 진행할 수 있음!
4️⃣ 우심실 기능부전이 심해지면 폐고혈압이 악화되면서 좌심실 기능부전으로 이어질 수도 있음.
5️⃣ 즉, RHF와 LHF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폐울혈은 이 과정에서 원인이 될 수도 있고 증상이 될 수도 있음!

이해 포인트:
➡ "어디에서 혈액이 정체되는가?"
➡ "말초 부종(우심부전) vs. 폐울혈(좌심부전)"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