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토 1: cTnI와 cTnT는 불안정협심증(UA)에서도 진단 표지자로 사용될까?
🚫 ㄴ. "불안정협심증의 경우 cTnI와 cTnT가 진단 표지자(marker)이다." (X, 틀림)
✔ 트로포닌(Troponin I, Troponin T)은 심근 손상(괴사)이 발생했을 때 혈중 농도가 상승하는 대표적인 바이오마커.
✔ 하지만 불안정협심증(UA)에서는 심근 괴사가 없으므로, 트로포닌(cTnI, cTnT) 수치가 상승하지 않음.
✔ 따라서 트로포닌은 "심근경색(MI)"의 진단 표지자로 사용되며, "불안정협심증(UA)"의 진단 기준이 될 수 없음.
✔ 결론: "불안정협심증"에서 트로포닌이 진단 기준이 된다는 표현은 부정확하므로, 이 보기는 틀린 것이 맞음!
📌 검토 2: 급성관상동맥증후군(ACS)의 정의
✅ ㄱ. "불안정협심증과 심근경색을 말한다." (O, 맞음)
✔ 급성관상동맥증후군(ACS, Acute Coronary Syndrome)은 관상동맥이 갑자기 부분적 또는 완전 폐색되어 발생하는 급성 심근 허혈 증후군을 의미함.
✔ 여기에는 **"불안정 협심증(UA)"과 "심근경색(MI)"(NSTEMI, STEMI)**가 포함됨.
✔ 따라서 ACS = 불안정 협심증(UA) + 심근경색(MI, NSTEMI & STEMI)으로 정의할 수 있음.
✔ 따라서, "불안정협심증과 심근경색을 말한다"는 표현은 맞는 말이므로 정답에 포함되는 것이 적절함!
📌 검토 3: 나머지 보기가 정답에 포함된 이유
✅ ㄷ. "관상동맥의 경화반(plaque) 파열로 발생한다." (O, 맞음)
✔ ACS의 가장 흔한 원인은 죽상경화반(Atherosclerotic Plaque)의 파열로 인해 혈전이 형성되는 것.
✔ 이 혈전이 관상동맥을 막으면 심근 허혈이 발생하고, 심근경색(MI)으로 진행될 수 있음.
✔ 따라서 맞는 보기에 포함됨.
✅ ㄹ. "심근의 괴사(necrosis) 시 심전도 상 ST 분절이 상승할 수 있다." (O, 맞음)
✔ ST 분절 상승 심근경색(STEMI)의 대표적인 특징은 ST 분절이 상승하는 것.
✔ 이는 관상동맥이 완전히 폐색되어 심근 괴사가 진행될 때 나타나는 심전도 소견임.
✔ 따라서 맞는 보기에 포함됨.
🚫 ㅁ. "안정 시보다 운동 시에 흉통이 더 심해진다." (X, 틀림)
✔ 운동 시 흉통이 악화되는 것은 "안정형 협심증(Stable Angina)"의 특징!
✔ 반면, ACS(불안정 협심증, 심근경색)에서는 안정 시에도 흉통이 지속되거나 악화될 수 있음.
✔ 따라서 틀린 보기로 처리됨.
📌 2단계: 급성관상동맥증후군(ACS) 개념 정리
✔ **급성관상동맥증후군(ACS)**은 관상동맥이 갑자기 부분적 또는 완전 폐색되어 발생하는 급성 심근 허혈 증후군.
✔ ACS에는 **불안정 협심증(UA)과 심근경색(MI, NSTEMI & STEMI)**이 포함됨.
🔹 ACS의 주요 유형
- 불안정 협심증(UA, Unstable Angina) → 혈전 형성이 있지만 심근 괴사는 없음.
- 비-ST 분절 상승 심근경색(NSTEMI) → 심근 괴사가 있지만, ST 분절 상승 없음.
- ST 분절 상승 심근경색(STEMI) → 심근 괴사가 발생하며, ST 분절이 상승함.
🔹 ACS의 원인
- 죽상경화반(Atherosclerotic Plaque) 파열 → 혈전 형성 → 혈류 차단
🔹 ACS의 진단 검사
✔ 심전도(ECG, EKG): STEMI에서는 ST 분절 상승, NSTEMI 및 UA에서는 ST 분절 비상승
✔ 심장 효소 검사(Troponin I, Troponin T, CK-MB): 심근 손상 여부 평가 (NSTEMI와 STEMI에서 상승)
✔ 관상동맥 조영술(Coronary Angiography): 혈관 폐색 정도 평가
🔹 ACS의 치료 방법
- 혈전 용해제(Thrombolytics) → 혈전을 용해하여 혈류 회복 (STEMI에서 사용)
- 항응고제(Anticoagulants, 예: 헤파린) → 혈전 진행 방지
- 항혈소판제(Antiplatelet, 예: 아스피린, 클로피도그렐) → 혈소판 응집 억제
- PCI(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Stent 삽입술) → 스텐트 삽입으로 혈관 확장
- CABG(관상동맥 우회술,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 심한 혈관 폐색 시 대체 혈관 형성
📌 3단계: 결론 및 문제 해결 요령
✔ 최종 정답: ②번 (ㄱ, ㄷ, ㄹ)
✔ "ㄴ"이 틀린 이유: cTnI, cTnT는 불안정 협심증(UA)의 진단 표지자가 아니라, 심근경색(MI)의 진단 표지자로 사용됨.
✔ "ㄱ"이 맞는 이유: 급성관상동맥증후군(ACS)에는 **불안정 협심증(UA)과 심근경색(MI)**이 포함되므로 맞는 표현.
✔ "ㄷ"과 "ㄹ"이 맞는 이유: ACS는 경화반 파열(죽상경화)로 인해 발생하며, STEMI에서는 ST 분절 상승이 나타남.
✔ "ㅁ"이 틀린 이유: "운동 시 흉통이 악화"되는 것은 안정형 협심증(Stable Angina)의 특징이며, ACS와는 다름.
➡ 앞으로 급성관상동맥증후군(ACS) 문제를 풀 때는 ① ACS의 정의와 유형, ② 원인(경화반 파열, 혈전), ③ 진단(심전도, 심근 효소), ④ 치료법(혈전 용해제, PCI, 항혈소판제) 네 가지 요소를 고려하면 쉽게 해결 가능!
'🧬병태생리학 > 24년도 기출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9번 문제 해설 [경추 추간판탈출증] (0) | 2025.03.19 |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8번 문제 해설 [공기가슴증/기흉] (0) | 2025.03.19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7번 문제 해설 [우심실 울혈성심장기능상] (0) | 2025.03.19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6번 문제 해설 [고혈압] (0) | 2025.03.19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4번 문제 해설 [천식] (0) | 2025.03.19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3번 문제 해설 [심방세동] (0) | 2025.03.19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2번 문제 해설 [악성종양] (0) | 2025.03.19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1번 문제 해설 [급성염증] (1) | 2025.03.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