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혈압에 관한 문제 해설 (3단 콤보 적용!)
✔ 문제 유형: 고혈압의 병태생리, 분류 및 기준 관련 개념을 묻는 문제
✔ 정답: ④번 (7차 JNC-7의 고혈압 기준 설명이 맞음.)
✔ 이유: JNC-7(7차 국가공동위원회)에서는 콩팥질환 및 당뇨 환자의 경우 혈압 목표를 130/80 mmHg 미만으로 권장했음.
📌 1단계: 보기별 정오 판단
🚫 ① "주로 전부하(preload)의 증가로 발생한다." (X, 틀림)
✔ 고혈압의 주요 원인은 "후부하(afterload)" 증가!
✔ **전부하(preload)**는 심장이 수축하기 전, 정맥 환류로 인해 심실이 채워지는 혈액량을 의미함.
✔ **후부하(afterload)**는 심장이 혈액을 내보낼 때 심장이 극복해야 하는 말초혈관 저항을 의미하며, 고혈압에서 주요 병태생리적 원인이 됨.
✔ 고혈압에서는 혈관 저항이 증가(후부하↑)하여 혈압이 상승하는 것이 특징이므로, "전부하 증가로 발생한다"는 틀린 표현임.
🚫 ② "본태성 고혈압은 혈액량이 증가하더라도 세동맥의 말초저항은 감소된다." (X, 틀림)
✔ 본태성 고혈압(Essential Hypertension)의 주요 원인은 말초혈관 저항(Peripheral Resistance)의 증가!
✔ 즉, 혈액량이 증가하면 세동맥 저항도 함께 증가하여 혈압이 상승함.
✔ 반대로 말초 저항이 감소하면 혈압이 떨어지므로, "말초저항 감소"라는 표현은 틀림.
🚫 ③ "이차성 고혈압은 원인을 치료해도 혈압은 정상으로 돌아올 수 없다." (X, 틀림)
✔ **이차성 고혈압(Secondary Hypertension)**은 신장 질환, 내분비 질환(쿠싱증후군, 갈색세포종), 약물 등 특정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고혈압임.
✔ 따라서 이 원인을 치료하면 혈압이 정상으로 돌아올 가능성이 있음.
✔ 예를 들어, 신장동맥 협착(renal artery stenosis)으로 인한 고혈압은 스텐트 삽입술(PCI)로 해결 가능.
✔ 즉, 이차성 고혈압은 원인을 제거하면 정상 혈압으로 회복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정상으로 돌아올 수 없다"는 표현은 틀림.
✅ ④ "7차 국가공동위원회(JNC-7)는 콩팥질환자나 당뇨환자의 경우 수축기/이완기 혈압이 130/80 mmHg 이상을 고혈압으로 규정한다." (O, 맞음)
✔ **JNC-7(7차 미국 국가공동위원회, The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JNC-7)**에서는,
✔ 일반 성인의 고혈압 기준을 ≥ 140/90 mmHg로 정의하였으며,
✔ 당뇨병 및 만성 신장질환(콩팥질환) 환자의 경우 ≥ 130/80 mmHg부터 고혈압으로 간주함.
✔ 따라서, 이 보기가 맞는 보기임!
📌 2단계: 고혈압(Hypertension) 개념 정리
고혈압은 혈관 내 혈압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상태로, 심혈관계 질환의 주요 위험인자임.
🔹 고혈압의 분류
1️⃣ 본태성(일차성) 고혈압 (Essential Hypertension, Primary Hypertension)
✔ 원인을 명확하게 알 수 없음 (90 ~ 95% 차지).
✔ 유전적 요인, 나이, 스트레스, 식습관(나트륨 과다), 비만 등이 관련됨.
✔ 주요 병태생리: 말초혈관 저항(후부하) 증가!
2️⃣ 이차성 고혈압 (Secondary Hypertension)
✔ 특정 원인(신장질환, 내분비 질환, 약물 등)으로 인해 발생.
✔ 원인을 치료하면 정상 혈압으로 돌아올 가능성이 있음.
🔹 고혈압의 진단 기준 (JNC-7 vs JNC-8)
구분 | 구분JNC-7 (구 기준) | JNC-8 (새 기준) |
정상혈압 | <120 / <80 mmHg | 동일 |
전고혈압 (Prehypertension) | 120 ~ 139 / 80 ~ 89 mmHg | 폐지됨 |
고혈압 1기 (Stage 1 Hypertension) | 140 ~ 159 / 90 ~ 99 mmHg | ≥140 / ≥90 mmHg (고혈압 기준 단순화) |
고혈압 2기 (Stage 2 Hypertension) | ≥160 / ≥100 mmHg | 폐지됨 |
당뇨/콩팥질환 고혈압 기준 | ≥130 / ≥80 mmHg | 동일 (권장사항) |
🔹 고혈압의 병태생리
✔ 말초혈관 저항 증가(후부하↑) → 혈압 상승
✔ 교감신경계 과활성화 → 혈관 수축
✔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시스템(RAAS) 활성화 → 혈액량 증가
✔ 동맥경화(Atherosclerosis)와 연관
🔹 고혈압의 치료
✔ 생활습관 개선 → 저염식, 운동, 체중 감량
✔ 약물 치료
- 이뇨제(Diuretics) → 혈액량 감소
- ACE 억제제(ACE inhibitors) → 안지오텐신 II 형성 억제
- 칼슘채널 차단제(CCBs) → 혈관 확장
- 베타차단제(Beta-blockers) → 심박수 감소
📌 3단계: 결론 및 문제 해결 요령
✔ 최종 정답: ④번 (JNC-7의 당뇨 및 신장질환 고혈압 기준 설명이 맞음.)
✔ 틀린 보기 정리:
- ① "전부하 증가로 고혈압이 발생" → ❌ 고혈압은 "후부하" 증가가 주요 원인!
- ② "본태성 고혈압에서는 말초저항 감소" → ❌ 본태성 고혈압에서는 말초저항 증가!
- ③ "이차성 고혈압은 치료해도 정상 혈압으로 돌아올 수 없다" → ❌ 원인을 치료하면 정상 혈압 회복 가능!
- ④ "JNC-7에서 당뇨 및 콩팥질환자의 고혈압 기준은 130/80 mmHg 이상이다" → ✅ 맞음!
✔ 이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 포인트:
1️⃣ 고혈압의 주요 병태생리는 "후부하 증가"이며, 전부하 증가와 구분해야 함.
2️⃣ 본태성 고혈압에서는 말초혈관 저항이 감소하는 것이 아니라 증가함.
3️⃣ 이차성 고혈압은 원인을 치료하면 정상 혈압으로 돌아올 수 있음.
4️⃣ JNC-7 기준을 정확히 이해하면, 당뇨 및 신장질환 환자의 고혈압 기준을 맞출 수 있음.
➡ 앞으로 고혈압 문제를 풀 때는 ① 고혈압의 원인(본태성 vs. 이차성), ② 혈압 상승 기전(후부하 증가, RAAS 시스템), ③ 최신 진단 기준(JNC-7, JNC-8) 3가지 요소를 고려하면 쉽게 해결 가능!


'📕병태생리학 > 24년도 기출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10번 문제 해설 [허리뼈 추간판탈출증] (0) | 2025.03.20 |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9번 문제 해설 [경추 추간판탈출증] (0) | 2025.03.19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8번 문제 해설 [공기가슴증/기흉] (0) | 2025.03.19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7번 문제 해설 [우심실 울혈성심장기능상] (0) | 2025.03.19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5번 문제 해설 [급성관상동맥증후] (0) | 2025.03.19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4번 문제 해설 [천식] (0) | 2025.03.19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3번 문제 해설 [심방세동] (0) | 2025.03.19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2번 문제 해설 [악성종양] (0) | 2025.03.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