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능해부학, 운동역학/필수개념정리5

[운동역학] 중딩수준의 기본 물리 공식 정리 (feat.건운사 역학문제) ✅ 첫 번째 공식:🧮 자유낙하 거리 공식📘 이게 무슨 뜻이냐면?"물체가 위에서 떨어질 때, **얼마나 떨어졌는지(높이, 거리)**를 구하는 공식"이야!✅ 공식 속 단어들 뜻s: 얼마나 떨어졌는지 (거리, 높이)g: 지구에서의 중력가속도 → 보통 9.8 m/s² (외우자!)t: 떨어진 시간 (몇 초 동안 떨어졌는지)🎯 공식 풀어보기 예시예를 들어, 물체가 3초 동안 자유낙하했다면?➡ 44.1미터 높이에서 떨어졌다는 뜻!🧠 왜 1/2 ​이 들어갈까?이유: 속도가 점점 빨라지기 때문이야!🎯 자유낙하는 등가속도 운동이야물체가 떨어질 때 처음에는 멈춰 있다가,점점 빨라져서 1초, 2초, 3초 갈수록 속도가 커짐그러니까 속도는 계속 바뀌는 중이고,👉 우리가 알고 싶은 건 **그 전체 시간 동안의 “평균 .. 2025. 4. 14.
[기능해부학] 관절의 형태 종류와 설명, 예시, 암기팁 건운사 기능해부학 과목에서 자주 출제되는 관절의 형태!!!!모두들 한 번쯤 외웠겠으나 언제 그랬냐는듯이 타원관절, 안장관절 헷갈리졍? (나만 그런가 🫥) 관절 형태설명예시 부위구상관절(Ball & Socket) 다축성 관절, 모든 방향의 움직임 가능 (3축)어깨관절(견관절), 고관절경첩관절(Hinge)한 방향(굴곡/신전)만 가능한 일축성 관절 (1축)팔꿈치관절(상완-척골), 무릎관절, 족관절(거골-경골), 손가락의 중수지절관절(PIP)중쇠관절(Pivot)회전만 가능한 일축성 관절 (1축)상요척관절(proximal radioulnar), 경추(C1-C2, 아틀라스-축추 관절)타원관절(Ellipsoidal)타원형 관절면으로 두 방향 운동 가능(2축)손목관절(radiocarpal), 중수지절관절(MCP), .. 2025. 4. 13.
[기능해부학] 둔근 섬유 방향별 기능 (대둔근 위/아래섬유, 중둔근 앞/뒤섬유) 둔근 섬유별 기능 비교 정리 (대둔근 상/하 섬유, 중둔근 전/후면 섬유)다음은 대표적인 해부학/운동역학 교과서 4종에서 설명하는 중둔근과 대둔근의 섬유별 기능을 비교한 표이다. 교재에 따라 표현이나 강조점이 다소 다르므로, 공통점과 차이점을 함께 고려하여 개념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출처중둔근 앞섬유중둔근 뒤섬유대둔근 위섬유대둔근 아래섬유Kendall굴곡 + 내회전신전 + 외회전외전 + 신전 + 외회전내전 + 신전Neumann굴곡 + 내회전신전 + 외회전외전 + 신전 + 외회전내전 + 신전NASM주로 외전, 일부 내회전 언급외전 + 안정화 역할 강조고관절 신전 + 외회전신전 중심, 내전 언급 없음ACSM외전 중심, 앞섬유는 내회전외전 + 신전 + 외회전고관절 신전 + 외회전, 외전 일부신전 중심, 내전 .. 2025. 4. 13.
[기능해부학] 상지 하지 신경근 수준별 근육 기능, 반사, 테스트, 손상 암기 쉽게 말해, 우리 척수에서 삐져나오는 신경근은 척수 기둥 다음으로 두꺼운 뿌리(root)를 시작으로 여러 잔가지로 나뉘고, 그 나뉜 가지들 끝에 근육 하나 또는 둘 이상에 붙어서 지배를 하게 됨. 실제 나무를 생각해보고, 근육은 꽃이나 열매로 상상하면 됨.그런데 어차피 뿌리는 한 곳에서 나오니까 그걸 묶어서 정리하자임 ㅇㅇ'대표근육'은 척수 손상 시 근육 수축검사를 위한 핵심근육을 말함 (SCI key muscle)'운동기능'은 운동검사방법과 동일함. '반사'는 깊은힘줄반사(DTR)과 동일함.  ✅ 상지 신경근(Cervical nerve root) 정리🔵 C5항목내용대표 근육어깨세모근 (deltoid), 가시위근 (supraspinatus)운동 기능어깨 벌림 (shoulder abduction)반사 검.. 2025. 4. 5.
[기능해부학] 신경별 지배 근육 암기 꿀팁 건강운동관리사 신경별 지배 근육 암기 꿀팁 방출 ✅ 1. 근육 그룹별로 묶어서 외워! (패턴으로)무작정 하나하나 외우면 머리 터지니까,근육 위치 기준으로 "이 신경은 이 근육 묶음 지배해!" 이렇게 외우는 게 좋아.예시:신경지배 근육 패턴🟦 긴가슴신경 (long thoracic)앞톱니근 1개만! (유일하게 등쪽인데 전방에서 지배)🟩 등쪽어깨신경 (dorsal scapular)큰마름근, 작은마름근, 어깨올림근🟨 어깨위신경 (suprascapular)가시위근 + 가시아래근 (회전근개 둘 다)🟥 노신경 (radial)삼두근, 팔꿈치근, 손가락 폄근 대부분⬛ 자신경 (ulnar)손바닥 안쪽 → 새끼손가락, 엄지모음근, 벌림근 등👉 이걸 도표 + 색깔코드로 정리해서눈으로 이미지처럼 기억하면 훨씬 오래가... 2025. 4.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