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전도 분석 및 정답 도출
주어진 심전도 그래프를 보면, RR 간격이 불규칙하고 P파가 명확하게 보이지 않는 패턴이 나타남. 이는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AF)**의 특징적인 파형임.
📌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AF)의 심전도 특징
✔ 불규칙한 RR 간격: 심실이 불규칙하게 수축함. (🟢 보기 ㄴ 해당)
✔ P파 소실 또는 불규칙한 전위: 일정한 P파가 보이지 않음. (❌ 보기 ㄱ 해당 안 됨)
✔ 혈전 생성 가능성 증가: 심방 내 혈류 정체로 인해 혈전 위험이 높아짐. (🟢 보기 ㄷ 해당)
✔ 심박출량 감소: 심방이 효과적으로 수축하지 못하여 심박출량이 감소할 수 있음. (🟢 보기 ㄹ 해당)
✔ 뇌졸중 위험 증가: 심방 내 혈전이 뇌혈관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음. (🟢 보기 ㅁ 해당하지만 문제의 답은 아님.)
📌 주어진 심전도 분석
심전도 파형을 살펴보면,
- RR 간격이 불규칙함 →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AF)과 일치
- P파가 명확하지 않음 (Sawtooth 패턴이 아님) → 심방조동(Atrial Flutter, AFL) 가능성 낮음
- 조그마한 전위(fibrillatory wave, f-wave)가 존재 → 심방세동 가능성 높음
- 정상 QRS 복합파 유지 → 심실 전도는 정상적일 가능성이 있음
✅ 결론: 이 심전도는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AF)일 가능성이 높음.
📌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vs. 심방조동(Atrial Flutter) 비교
특징 | 심방세동 | 심방조동 |
P파 | 명확하지 않음, f-wave(잔물결 같은 파형) | 톱니 모양(sawtooth) F파 |
RR 간격 | 불규칙 (Irregularly Irregular) | 일정하거나 약간 변동 |
심박수 | 심방: 350~600bpm / 심실: 불규칙 | 심방: 250~350bpm / 심실: 보통 규칙적 |
혈전 위험 | 높음 (심방 내 혈류 정체) | 높음 (심방 내 혈류 정체) |
✅ 주어진 심전도에서 톱니 모양(sawtooth pattern)이 보이지 않으므로, 심방조동(AFL)보다는 심방세동(AF)의 가능성이 더 큼!
📌 선택지별 해설 (다시 확인)
✅ ㄴ. "불규칙한 RR 간격" (O) → 심방세동(AF)의 주요 특징 중 하나
✅ ㄷ. "혈전생성 가능성 증가" (O) → 심방세동(AF)에서는 혈전 위험이 높음
✅ ㄹ. "심방 수축력 저하" (O) → 심방이 비정상적으로 움직이므로 수축력이 떨어짐
✅ ㅁ. "뇌졸중 유병률 증가" (O) → 심방 내 혈전이 뇌혈관으로 이동하여 뇌졸중 위험 증가
🚫 ㄱ. "일정한 P파 모양" (X) → 심방세동에서는 P파가 일정하지 않거나 사라짐. 심방조동에서는 톱니 모양의 F파가 보이지만, 주어진 심전도는 그런 패턴이 없음.
📌 최종 결론
✔ 이 심전도는 심방조동(AFL)이 아닌,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AF)에 더 가깝다.
✔ 따라서 정답은 ④번 (ㄴ, ㄷ, ㄹ, ㅁ)이다!
✔ 심방조동(AFL)과 구별하는 핵심은 "톱니 모양(sawtooth) 유무"이며, 이번 심전도는 불규칙한 RR 간격과 f-wave를 보이므로 심방세동(AF)로 판단 가능!
하지만 최종 정답은 ㄴ,ㄷ,ㄹ 2번으로 나옴.
왜 뇌졸중 유병률 증가가 틀린 보기냐면,
📌 검토 1: 심방세동(AF)에서 뇌졸중 위험은 실제로 증가하는가?
✅ 심방세동(AF)에서는 심방이 효과적으로 수축하지 못해 혈류 정체(Stasis)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혈전(Thrombus) 형성 위험이 증가함.
✅ 혈전이 뇌혈관으로 이동하면 허혈성 뇌졸중(Ischemic Stroke)을 유발할 수 있음.
✅ 실제로, 심방세동이 있는 환자는 뇌졸중 위험이 5배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음.
➡ 즉, ㅁ(뇌졸중 유병률 증가)는 일반적으로 옳다고 볼 수 있음!
➡ 따라서 ㅁ가 정답에서 제외된 이유를 좀 더 분석해야 함.
📌 검토 2: 왜 ㅁ(뇌졸중 유병률 증가)이 정답에서 제외되었을까?
가능한 반박 논점
- 심방조동(Atrial Flutter)일 가능성을 고려한 채점?
- 만약 문제 출제자가 이 심전도를 심방세동(AF)이 아니라 심방조동(AFL)으로 해석했다면, 뇌졸중 유병률 증가(ㅁ)를 약간 애매한 답으로 볼 수도 있음.
- 하지만 심방조동(AFL)도 혈전 위험이 있으며, 전이 가능성이 있어 완전히 배제하기는 어려움.
- 즉, 심방조동도 뇌졸중 위험을 높일 수 있으므로, 이 논리는 약간 약함.
- 문제 속 "기저질환이 없는 A씨"라는 조건 때문?
- 뇌졸중 위험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고혈압, 당뇨병, 심부전 등의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임.
- 하지만 문제에서는 **"기저질환이 없는 A씨"**라고 명시했음.
- 그렇다면, 이 환자의 경우 뇌졸중 위험이 임상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한다고 단정하기 어려울 수도 있음.
➡ 즉, 뇌졸중 유병률 자체는 증가할 가능성이 있지만, 이 문제가 특정 환자(기저질환 없는 A씨)를 다루고 있기 때문에 "뇌졸중 위험 증가"를 정답에서 제외한 것일 가능성이 큼.
📌 최종 결론: 출제자의 의도를 고려한 해석
✔ 원칙적으로, 심방세동(AF)에서는 뇌졸중 위험이 증가하는 것이 맞다.
✔ 하지만 문제에서는 **"기저질환이 없는 A씨"**라는 조건이 붙어 있어서, 출제자가 "뇌졸중 위험 증가"를 필수적인 요소로 보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
✔ 따라서 정답은 ②번 (ㄴ, ㄷ, ㄹ)이지만, ㅁ(뇌졸중 유병률 증가)도 완전히 틀린 내용은 아님.
📌 반박하려면?
만약 정답이 ④번 (ㄴ, ㄷ, ㄹ, ㅁ)이어야 한다고 주장하려면, 다음과 같은 논리를 사용할 수 있음.
- 심방세동(AF)은 기저질환이 없는 사람에서도 뇌졸중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음 (출제자의 기준이 너무 협소함).
- CHA₂DS₂-VASc Score (뇌졸중 위험 평가 지표)에서 기저질환이 없는 사람도 위험을 가질 수 있음.
- 의료 가이드라인에서도 심방세동 자체가 뇌졸중 위험 요인으로 명시됨 (기저질환이 없어도 위험 증가!).
➡ 하지만, 출제자가 "기저질환이 없는 A씨"라는 조건을 강조하며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위험 증가를 제외한 것이라면, 정답 ②번(ㄴ, ㄷ, ㄹ)이 합리적일 수도 있음.
📌 결론: ②번이 정답일 수 있는 이유
- 출제자는 "기저질환이 없는 A씨"라는 조건을 강조하며, 뇌졸중 위험 증가(ㅁ)를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요소로 보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음.
- 따라서 ㄴ(불규칙한 RR 간격), ㄷ(혈전생성 가능성 증가), ㄹ(심방 수축력 저하)만 정답으로 채택한 것.
- 하지만 이론적으로는 심방세동(AF) 자체가 뇌졸중 위험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ㅁ(뇌졸중 유병률 증가)도 완전히 틀린 것은 아님.
➡ 출제자의 의도와 "기저질환 없는 A씨"라는 조건을 고려하면, 정답이 ②번(ㄴ, ㄷ, ㄹ)으로 채점된 것이 어느 정도 납득될 수 있음.
내 생각에는 건강운동관리사의 실무범위가 아니므로 정답을 이렇게 애매하게 비껴간 것 같음.ㅋㅋㅋㅋ 심전도 함부러 건들일 순 업죠...
그리고 진짜 흉부유도도 아니고 스마트워치로 본 심전도라고 했으니까 실제 흉부유도와는 차이가 있으므로 이를 근거로 유병률이 증가한다 안한다고 판별할 수 없기에 정답에 뇌출혈 유병율 증가는 빠져야함.
공부하면 할 수록 내 심장이 심전도파형처럼 뛴다.
'🔴건강운동관리사🔴 > 💯24년도 기출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9번 문제 해설 [경추 추간판탈출증] (0) | 2025.03.19 |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8번 문제 해설 [공기가슴증/기흉] (0) | 2025.03.19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7번 문제 해설 [우심실 울혈성심장기능상] (0) | 2025.03.19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6번 문제 해설 [고혈압] (0) | 2025.03.19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5번 문제 해설 [급성관상동맥증후] (0) | 2025.03.19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4번 문제 해설 [천식] (0) | 2025.03.19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2번 문제 해설 [악성종양] (0) | 2025.03.19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1번 문제 해설 [급성염증] (1) | 2025.03.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