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CSM 권고 혈중지질 조절 기출 문제 풀이 (3단콤보)
🔍 1️⃣ 풀이 과정 (보기별 분석)
🔹 ① "HDL(high density lipoprotein) 콜레스테롤은 남성의 경우 40 mg·dL⁻¹ 이상 유지해야 한다."
✅ 맞음
- HDL(고밀도 지단백, 좋은 콜레스테롤)은 동맥에서 콜레스테롤을 제거하는 역할
- ACSM 및 AHA(미국심장협회) 기준에 따르면:
- 남성: 40 mg·dL⁻¹ 이상
- 여성: 50 mg·dL⁻¹ 이상 유지가 권장됨
✅ 따라서 이 문장은 맞음!
🔹 ② "LDL(low density lipoprotein) 콜레스테롤은 동맥경화를 일으키는 주요한 물질이다."
✅ 맞음
- LDL(저밀도 지단백, 나쁜 콜레스테롤)은 동맥벽에 침착되어 동맥경화를 유발
- LDL이 증가하면 심혈관질환(CVD) 위험이 증가
✅ 따라서 이 문장도 맞음!
🔹 ③ "급성관상동맥증후군(ACS) 환자의 LDL콜레스테롤 치료목표는 130 mg·dL⁻¹ 미만이다."
❌ 틀림
- 급성관상동맥증후군(ACS) 환자는 고위험군으로, LDL 목표치는 더 낮아야 함!
- 일반적인 LDL 목표치: 100 mg·dL⁻¹ 미만
- ACS 환자(고위험군) 목표치: 70 mg·dL⁻¹ 미만
❌ 따라서 ‘130 mg·dL⁻¹ 미만’이라는 값은 잘못된 정보!
🔹 ④ "스타틴(statins)계 약물은 HMG-CoA 환원효소를 억제하여 혈중지질을 개선시키지만 드물게 근육통 부작용이 있다."
✅ 맞음
- 스타틴(Statins) 계열 약물은 HMG-CoA 환원효소를 억제하여 간에서 콜레스테롤 합성을 감소
- LDL 감소 & HDL 증가 효과
- 부작용으로 근육통(myopathy), 근육 손상(rhabdomyolysis)이 발생할 수 있음
✅ 따라서 이 문장은 맞음!
🔹 최종 정답: ③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의 LDL 목표치가 130 mg·dL⁻¹ 미만이라는 내용은 틀림!)
👉 정확한 목표치: 70 mg·dL⁻¹ 미만
📌 2️⃣ 관련 개념 정리
✔ 혈중지질 목표 수치 (ACSM & AHA 권고 기준)
지질 유형 | 정상기준 | 위험기준 |
LDL(저밀도 지단백, 나쁜 콜레스테롤) | < 100 mg·dL⁻¹ (고위험군: < 70 mg·dL⁻¹) | ≥ 130 mg·dL⁻¹ 이상 위험 |
HDL(고밀도 지단백, 좋은 콜레스테롤) | 남성 ≥ 40 mg·dL⁻¹, 여성 ≥ 50 mg·dL⁻¹ | 40 mg·dL⁻¹ 미만 시 위험 |
총 콜레스테롤(TC, Total Cholesterol) | < 200 mg·dL⁻¹ | ≥ 240 mg·dL⁻¹ 이상 위험 |
중성지방(TG, Triglycerides) | < 150 mg·dL⁻¹ | ≥ 200 mg·dL⁻¹ 이상 위험 |
✔ 스타틴(Statins) 계열 약물의 역할
- HMG-CoA 환원효소 억제 → 간에서 콜레스테롤 합성 감소
- LDL 감소, HDL 증가 효과
- 근육통 & 근육손상 가능성 있음 (드물지만 rhabdomyolysis 유발 가능)
🔮 3️⃣ 예상 변형 문제 (출제 가능성 높은 유형)
1️⃣ ACSM이 권장하는 LDL 목표치는? (일반인 & 고위험군 기준 제시)
- 정답: 일반인 → 100 mg·dL⁻¹ 미만
고위험군(ACS 등) → 70 mg·dL⁻¹ 미만
2️⃣ HDL 수치가 낮으면 어떤 건강 위험이 증가하는가?
- 정답: 동맥경화 위험 증가, 심혈관질환(CVD) 위험 상승
3️⃣ 스타틴(statins) 계열 약물의 주요 기전과 부작용은?
- 정답:
- 기전 → HMG-CoA 환원효소 억제 → 콜레스테롤 합성 감소
- 부작용 → 근육통(myopathy), 근육손상(rhabdomyolysis) 가능

✅ 성인치료패널(ATP) III & ACSM 가이드라인 기출 문제 풀이 (3단콤보, 수정 버전)
🔍 1️⃣ 풀이 과정 (보기별 분석 & 정정)
🔹 ① "가. 당뇨병 전단계에 해당한다."
✅ 맞음
- 당뇨병 전단계(Prediabetes) 기준 (공복혈당, HbA1c)
- 공복혈당(FPG): 100 ~ 125 mg·dL⁻¹ → 현재 105 mg·dL⁻¹ → 당뇨병 전단계 해당
- 당화혈색소(HbA1C): 5.7 ~ 6.4% → 현재 6.0% → 당뇨병 전단계 해당
✅ 따라서 이 문장은 맞음!
🔹 ② "나. 약물복용자는 질병이 있다고 간주한다."
✅ 맞음
- ACSM 가이드라인에서는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등 만성질환 조절을 위해 약물을 복용 중인 경우’ 해당 질병이 있다고 간주
- 해당 사례에서 혈압(110/70 mmHg) & HDL(50 mg·dL⁻¹) 약물 복용 중
✅ 따라서 질병이 있다고 간주하는 것이 맞음!
🔹 ③ "다.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은 5개이다."
❌ 틀림! 실제로는 6개임!
- ACSM(11판) 심혈관질환(CVD) 주요 위험요인 (약물 복용 포함)
- 연령: 여성 ≥ 55세 (현재 60세) ✅
- 허리둘레: 여성 > 88cm (현재 90cm) ✅
- 공복혈당: ≥ 100 mg·dL⁻¹ (현재 105 mg·dL⁻¹) ✅
- 혈압: ≥ 130/85 mmHg이 아니지만, 약물복용 중이므로 위험요인 포함 ✅
- HDL 콜레스테롤: 여성 < 50 mg·dL⁻¹ 또는 약물복용 시 해당 (현재 약물복용 중) ✅
- 좌업생활습관(Sedentary lifestyle) ✅
❌ 따라서 위험요인은 5개가 아니라 6개! (다번 보기 틀림)
🔹 ④ "라. 대사증후군의 위험요인은 4개이다."
✅ 맞음
- ATP III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 기준 (다음 5개 중 3개 이상 해당 시 진단)
- 허리둘레: 여성 > 88cm (현재 90cm) ✅
- 공복혈당: ≥ 100 mg·dL⁻¹ (현재 105 mg·dL⁻¹) ✅
- 중성지방(TG): ≥ 150 mg·dL⁻¹ (현재 120 mg·dL⁻¹ → 해당 X)
- HDL-C: 여성 < 50 mg·dL⁻¹ or 약물복용 시 해당 (현재 약물 복용 중) ✅
- 혈압: ≥ 130/85 mmHg or 약물복용 시 해당 (현재 약물 복용 중) ✅
✅ 위험요인이 4개가 맞음!
🔹 최종 정답: ② (가, 나, 라)
👉 틀린 보기: 다(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이 5개라고 했지만 실제로는 6개)
👉 맞는 보기: 가(당뇨병 전단계 ✅), 나(약물복용자는 질병 간주 ✅), 라(대사증후군 위험요인 4개 ✅)
📌 2️⃣ 관련 개념 정리 (수정된 내용 반영!)
✔ 당뇨병 전단계 기준
- 공복혈당(FPG): 100 ~ 125 mg·dL⁻¹
- HbA1c: 5.7 ~ 6.4%
- 현재 수치(공복혈당 105 mg·dL⁻¹, HbA1C 6.0%) → 당뇨병 전단계 맞음
✔ ACSM 주요 심혈관질환(CVD) 위험요인
- 연령(여성 ≥ 55세) → 현재 60세 ✅
- 허리둘레(여성 > 88cm) → 현재 90cm ✅ (허리둘레 또는 BMI 수치로 보는거라 둘 중 한개만 카운드 )
- 공복혈당(≥ 100 mg·dL⁻¹) → 현재 105 mg·dL⁻¹ ✅
- 혈압(≥ 130/85 mmHg or 약물복용 시 해당) → 현재 약물복용 중 ✅
- HDL(여성 < 50 mg·dL⁻¹ or 약물복용 시 해당) → 현재 약물복용 중 ✅
- 좌업생활습관(Sedentary lifestyle) ✅
- 총 6개 위험요인!
✔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 기준 (ATP III)
- 허리둘레(여성 > 88cm) → 해당됨 ✅
- 공복혈당(≥ 100 mg·dL⁻¹) → 해당됨 ✅
- HDL(여성 < 50 mg·dL⁻¹ or 약물복용 시 해당) → 해당됨 ✅
- 혈압(≥ 130/85 mmHg or 약물복용 시 해당) → 해당됨 ✅
- 총 4개 위험요인!
🔮 3️⃣ 예상 변형 문제 (출제 가능성 높은 유형)
1️⃣ ATP III 기준에 따른 대사증후군 진단 요건은?
- 정답: 5개 요인 중 3개 이상 충족 시 대사증후군
2️⃣ 공복혈당이 105 mg·dL⁻¹이고 HbA1C가 6.0%라면 당뇨병 전단계(Prediabetes)에 해당하는가?
- 정답: 해당됨 (기준: 공복혈당 100~125 mg·dL⁻¹, HbA1C 5.7~6.4%)
3️⃣ 약물복용자가 ACSM 기준에서 질병이 있다고 간주되는 이유는?
- 정답: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등 만성질환을 조절하기 위해 약물 복용 중이면 해당 질병이 있는 것으로 간주

✅ 뇌졸중(Stroke) 기출 문제 풀이 (3단콤보)
🔍 1️⃣ 풀이 과정 (보기별 분석)
🔹"㉠: 전체 뇌졸중의 10~20%를 차지하며, 뇌혈관의 파열로 발생한다."
👉 출혈성 뇌졸중(Hemorrhagic Stroke)
✅ 정답: 출혈성 뇌졸중
- 뇌졸중의 80~90%는 허혈성 뇌졸중(뇌경색), 10~20%는 출혈성 뇌졸중이 차지
- 출혈성 뇌졸중은 뇌혈관 파열로 인해 출혈이 발생
- 원인: 고혈압, 뇌동맥류 파열, 외상
🔹"㉡: 혈전과 색전이 뇌의 혈관을 막으면서 뇌경색을 야기한다."
👉 허혈성 뇌졸중(Ischemic Stroke)
✅ 정답: 허혈성 뇌졸중
- 혈전(Thrombosis) & 색전(Embolism)이 뇌혈관을 막아 발생
- 혈전성 뇌경색(Thrombotic stroke): 혈관 내에서 혈전이 발생하여 막힘
- 색전성 뇌경색(Embolic stroke): 심장에서 생긴 혈전이 뇌혈관으로 이동하여 막힘
🔹 "㉢: 뇌경색 발생 3~6시간 이내에는 (㉢)를 정맥에 주입하는 치료가 가능하다."
👉 혈전용해제(Thrombolytics, tPA)
✅ 정답: 혈전용해제
- 뇌경색 발생 초기(3~6시간 이내)에 tPA(tissue plasminogen activator, 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제) 같은 혈전용해제 사용 가능
- 빠른 투여가 중요 → 혈관을 재개통하여 뇌조직 손상을 줄임
- 출혈성 뇌졸중에는 금기(출혈을 악화시킬 위험)
🔹 "㉣: 뇌졸중은 급성 신경계 질환 중 하나로 뇌혈관에 문제가 발생되는 (㉣)이다."
👉 혈관성 질환(Vascular Disease)
✅ 정답: 혈관성 질환
- 뇌졸중은 뇌혈관 질환으로, 뇌혈류 공급 장애로 발생
- 뇌졸중의 주요 유형: 허혈성 뇌졸중(뇌경색) & 출혈성 뇌졸중
- 뇌졸중은 유전성 질환이 아님 → 환경적 요인(고혈압, 당뇨, 흡연 등)이 주요 위험인자
🔹 최종 정답: ② (출혈성 뇌졸중, 허혈성 뇌졸중, 혈전용해제, 혈관성 질환)
📌 2️⃣ 관련 개념 정리
✔ 뇌졸중(Stroke) 주요 유형
유형 | 원인 | 특징 |
출혈성 뇌졸중 | 뇌혈관 파열 | 뇌내출혈(ICH), 지주막하출혈(SAH) |
허혈성 뇌졸중(뇌경색) | 혈전/색전으로 혈관이 막힘 | 혈전성(혈관 내부 혈전) vs 색전성(심장에서 혈전 이동) |
✔ 혈전용해제(tPA) 치료 원칙
- 뇌경색(허혈성 뇌졸중) 발생 3~6시간 이내에 투여 가능
- 출혈성 뇌졸중에서는 금기(출혈 위험 증가) (수술 전에 아스피린 먹지말라는 것과 비슷한 맥락)
✔ 뇌졸중 주요 위험요인
- 고혈압, 흡연,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심방세동
🔮 3️⃣ 예상 변형 문제 (출제 가능성 높은 유형)
1️⃣ 허혈성 뇌졸중과 출혈성 뇌졸중의 차이점은?
- 정답: 허혈성 → 혈관이 막힘(혈전/색전)
출혈성 → 혈관이 파열(출혈 발생)
2️⃣ 뇌경색(허혈성 뇌졸중) 치료를 위해 3~6시간 이내에 사용할 수 있는 약물은?
- 정답: 혈전용해제(tPA,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3️⃣ 뇌졸중은 어떤 질환으로 분류되는가?
- 정답: 혈관성 질환(Vascular Disease)

✅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기출 문제 풀이 (3단콤보)
🔍 1️⃣ 풀이 과정 (보기별 분석)
🔹 ① "가. 수의근의 강직(rigidity), 서동(bradypragia), 진전(tremor)이 나타난다."
✅ 맞음
- 파킨슨병의 대표적인 운동 증상:
- 강직(Rigidity): 근육이 뻣뻣해짐
- 서동(Bradykinesia): 운동이 느려짐
- 진전(Tremor): 안정 시 손이나 턱이 떨리는 현상
👉 따라서 이 문장은 맞음!
🔹 ② "나. 증상은 L-도파(L-dopa)라는 약물에 의해 완화될 수 있다."
✅ 맞음
- L-도파(Levodopa, L-dopa)
- 도파민의 전구체로, 뇌에서 도파민으로 전환되어 부족한 도파민을 보충
- 파킨슨병 치료의 가장 효과적인 약물 중 하나
- 도파민 수용체 작용제(Dopamine Agonist)와 함께 사용되기도 함
👉 따라서 이 문장도 맞음!
🔹 ③ "다. 뇌의 흑질(substantia nigra)에서 도파민 신경세포(dopaminergic neuron)가 점진적으로 소실되면서 발생한다."
✅ 맞음
- 파킨슨병의 핵심 병리 기전:
- 중뇌(Midbrain)의 흑질(Substantia nigra)에서 도파민 신경세포가 점진적으로 소실됨
- 도파민이 줄어들면서 운동 조절 기능이 저하됨
👉 따라서 이 문장도 맞음!
🔹 ④ "라. 신경세포 내에 비정상적인 단백질이 축적되는 신경퇴행성 단백질병(neurodegenerative proteinopathy)이다."
✅ 맞음
- 파킨슨병의 병리학적 특징 중 하나는 ‘루이소체(Lewy body)’ 단백질 침착
- 비정상적인 알파-시누클레인(α-synuclein) 단백질이 신경세포 내에 축적됨
- **신경퇴행성 단백질병(Neurodegenerative Proteinopathy)**의 일종
👉 따라서 이 문장도 맞음!
🔹 최종 정답: ④ (가, 나, 다, 라)
👉 모든 보기(가, 나, 다, 라)가 맞음!
📌 2️⃣ 관련 개념 정리
✔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주요 특징
특징 | 설명 |
운동 증상 | 강직(Rigidity), 서동(Bradykinesia), 진전(Tremor), 자세 불안정(Postural Instability) |
비운동 증상 | 인지저하, 우울증, 수면장애, 자율신경계 이상 |
발생 원인 | 흑질(Substantia nigra)의 도파민 신경세포 소실 |
신경퇴행성 단백질병 | 알파-시누클레인(α-synuclein) 축적 → 루이소체(Lewy body) 형성 |
치료법 | L-도파(L-dopa), 도파민 작용제, 깊은 뇌 자극술(DBS) |
🔮 3️⃣ 예상 변형 문제 (출제 가능성 높은 유형)
1️⃣ 파킨슨병의 주요 운동 증상 3가지는?
- 정답: 강직(Rigidity), 서동(Bradykinesia), 진전(Tremor)
2️⃣ 파킨슨병의 주요 원인은?
- 정답: 흑질(Substantia nigra)의 도파민 신경세포 소실
3️⃣ 파킨슨병의 가장 효과적인 약물 치료법은?
- 정답: L-도파(Levodopa, L-dopa) 치료
ㄹ 보기가 알츠하이머가 될 수 없는 이유
🧐 알츠하이머 vs 파킨슨병 - 신경퇴행성 단백질 축적 차이점
📌 ① 파킨슨병과 관련된 비정상적 단백질
✅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에서는 **루이소체(Lewy body)**라는 단백질 침착이 관찰됨.
- 루이소체의 주요 성분: 알파-시누클레인(α-synuclein) 단백질
- 이 단백질이 신경세포 내에 비정상적으로 축적되면서 신경세포를 손상시키고, 결국 도파민 신경세포가 점진적으로 소실됨.
- 따라서, **"신경세포 내 비정상적인 단백질 축적"**이라는 라(ㄹ) 보기는 파킨슨병의 특징이 맞아!
📌 ② 알츠하이머병과 관련된 비정상적 단백질
❌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은 "베타 아밀로이드(Beta-amyloid)"와 "타우(Tau) 단백질"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되는 것이 특징.
- 베타 아밀로이드(Beta-amyloid)
- 신경세포 외부에서 아밀로이드 플라크(Amyloid Plaque) 형성
- 신경세포 사이 신호 전달을 방해하면서 신경세포가 점진적으로 소실됨
- 타우(Tau) 단백질
- **신경세포 내부에서 신경섬유 엉킴(NFT, Neurofibrillary tangles)**을 형성
- 신경세포의 구조를 불안정하게 만들어 결국 신경세포 사멸 유도
🚫 라(ㄹ) 보기가 알츠하이머가 될 수 없는 이유
- 알츠하이머병은 "신경세포 외부"에서 베타 아밀로이드가 축적되고, 내부에서 타우 단백질 엉킴이 발생
- 반면, 파킨슨병은 "신경세포 내부"에서 루이소체(α-시누클레인)가 축적됨
- 즉, 라(ㄹ) 보기에 해당하는 "신경세포 내 비정상적인 단백질 축적"은 파킨슨병의 특징!
- 알츠하이머는 기억력 저하(치매 증상)가 주요 증상
- 하지만 파킨슨병은 운동장애(서동, 강직, 진전)가 주요 증상
- 문제의 맥락상, 운동 관련 질환인 파킨슨병의 특징을 설명하는 내용이므로, 알츠하이머가 될 수 없음!
📌 최종 정리 - 신경퇴행성 질환 단백질 비교표
질환 | 비정상 단백질 | 축적 위치 | 형성 구조 | 주요 증상 |
파킨슨병(PD) | 알파-시누클레인(α-synuclein) | 신경세포 내부 | 루이소체(Lewy body) | 운동장애 (서동, 강직, 진전) |
알츠하이머병(AD) | 베타 아밀로이드(Beta-amyloid) | 신경세포 외부 | 아밀로이드 플라크 | 기억력 저하 (치매) |
알츠하이머병(AD) | 타우(Tau) 단백질 | 신경세포 내부 | 신경섬유 엉킴(NFTs) | 기억력 저하 (치매) |
🧠 결론
- "신경세포 내 비정상적인 단백질 축적" = 파킨슨병의 특징 (루이소체, α-시누클레인)
- 알츠하이머는 신경세포 외부 베타 아밀로이드 축적 & 내부 타우 단백질 엉킴이 특징
- 따라서 라(ㄹ) 보기는 알츠하이머병이 아니라 파킨슨병에 해당하는 것이 맞다!

✅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기출 문제 풀이 (3단콤보)
🔍 1️⃣ 풀이 과정 (보기별 분석)
🔹 ① "㉠: 알츠하이머 환자의 뇌는 대뇌피질(㉠), 뇌실(㉡)과 함께 점진적인 신경세포 소실이 나타난다."
👉 정답: 위축(Atrophy)
✅ 알츠하이머병에서는 대뇌피질과 해마의 위축이 나타남
- 신경세포가 소실되면서 대뇌피질과 해마(기억 담당 부위)가 점차 위축됨
- 따라서, ㉠은 ‘위축(Atrophy)’이 맞음!
🔹 ② "㉡: 알츠하이머 환자의 뇌는 대뇌피질과 함께 (㉡)이 위축된다."
👉 정답: 확장(Enlargement)
✅ 알츠하이머병에서는 뇌실(Ventricles)이 확장됨
- 신경세포가 소실되고 대뇌피질이 위축되면서, 상대적으로 뇌실(Ventricles)이 확장됨
- 따라서, ㉡은 ‘확장(Enlargement)’이 맞음!
🔹 ③ "㉢: 신경세포 안에는 타우 단백질의 과인산화로 인해 (㉢)이 증가한다."
👉 정답: 신경원섬유매듭(Neurofibrillary Tangle, NFT)
✅ 타우 단백질(Tau Protein)이 과인산화되면서 신경원섬유매듭(NFT)이 형성됨
- 타우 단백질은 정상적으로 신경세포 내 미세소관을 안정화시키는 역할
- 하지만, 알츠하이머병에서는 타우 단백질이 비정상적으로 변형되어 신경세포 내부에 ‘신경원섬유매듭(NFT)’이 축적됨
- 이는 신경세포 구조를 무너뜨리고, 결국 신경세포 사멸을 초래
- 따라서, ㉢은 ‘신경원섬유매듭(Neurofibrillary Tangle)’이 맞음!
🔹 ④ "㉣: 신경세포 밖에는 베타 아밀로이드(β-amyloid) 단백질이 결합하여 (㉣)이 형성된다."
👉 정답: 노인반(Senile Plaque)
✅ 알츠하이머 환자의 뇌에서 베타 아밀로이드가 축적되면서 노인반(Senile Plaque)이 형성됨
-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이 신경세포 외부에 축적되면서 노인반(Senile Plaque)을 형성
- 이는 신경세포 간의 신호전달을 방해하고, 신경세포 사멸을 유발
- 따라서, ㉣은 ‘노인반(Senile Plaque)’이 맞음!
🔹 최종 정답: ④ (㉠: 위축, ㉡: 확장, ㉢: 신경원섬유매듭, ㉣: 노인반)
📌 2️⃣ 관련 개념 정리
✔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주요 병리적 특징
병리적 변화 | 주요 특징 | 발생위치 |
대뇌피질 위축(Atrophy) | 신경세포 소실로 인한 위축 | 대뇌피질, 해마(기억 담당 부위) |
뇌실 확장(Enlargement) | 위축된 공간을 채우기 위해 뇌실 확장 | 뇌실(Ventricles) |
신경원섬유매듭(NFT) | 타우 단백질 과인산화로 신경세포 내부에서 축적 | 신경세포 내부 |
노인반(Senile Plaque) |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 축적으로 인해 형성 | 신경세포 외부 |
✔ 알츠하이머병과 파킨슨병의 차이점
구분 | 알츠하이머병(AD) | 파킨슨병(PD) |
주요 병리 기전 | 베타 아밀로이드 & 타우 단백질 축적 | 도파민 신경세포 소실 & 루이소체 축적 |
주요 증상 | 기억력 저하(치매), 인지장애 | 운동장애(서동, 강직, 진전) |
신경퇴행성 단백질 | 베타 아밀로이드(β-amyloid), 타우(Tau) | 알파-시누클레인(α-synuclein) |
🔮 3️⃣ 예상 변형 문제 (출제 가능성 높은 유형)
1️⃣ 알츠하이머병에서 신경세포 내부에 축적되는 단백질은?
- 정답: 타우 단백질(Tau Protein) → 신경원섬유매듭(NFT) 형성
2️⃣ 알츠하이머병에서 신경세포 외부에 축적되는 단백질은?
- 정답: 베타 아밀로이드(Beta-amyloid) → 노인반(Senile Plaque) 형성
3️⃣ 알츠하이머병이 진행되면서 뇌 구조에 나타나는 변화는?
- 정답: 대뇌피질 위축(Atrophy), 뇌실 확장(Enlargement)


'📕병태생리학 > 24년도 기출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11~15번 문제 해설 (0) | 2025.03.20 |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10번 문제 해설 [허리뼈 추간판탈출증] (0) | 2025.03.20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9번 문제 해설 [경추 추간판탈출증] (0) | 2025.03.19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8번 문제 해설 [공기가슴증/기흉] (0) | 2025.03.19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7번 문제 해설 [우심실 울혈성심장기능상] (0) | 2025.03.19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6번 문제 해설 [고혈압] (0) | 2025.03.19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5번 문제 해설 [급성관상동맥증후] (0) | 2025.03.19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병태생리학 4번 문제 해설 [천식] (0) | 2025.03.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