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CSM/23년 기출문제풀이11 23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처방론 11-20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 문제 요약전체 검사자: 10,000명심장질환자 비율: 20% → 2,000명민감도(Sensitivity): 70%특이도(Specificity): 80%구하는 것: False Negative 수✅ 개념 정리① 민감도(Sensitivity) =질병 있는 사람 중 검사에서 양성 나오는 비율즉,True Positive (TP) = 질병 있음 + 검사 양성False Negative (FN) = 질병 있음 + 검사 음성 (검사가 놓침)공식 : 민감도 = TP / (TP + FN)🧮 계산 시작▶ 총 심장질환자 = 20% of 10,000 = 2,000명민감도 70% =→ 이 중 70%는 TP→ 30%는 FNTP = 70% of 2,000 = 1,400명FN = 30% of 2,000 = 600명✅ 정답: ①번 .. 2025. 4. 1. 23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부하검사 6-10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 문제**ACSM(11판)**에서 제시한 운동부하검사 시 관찰 변수와 검사 중단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보기 분석①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최대심박수와 수축기혈압은 감소하게 된다.❌ 틀린 설명 (정답)✔️ **최대심박수(Maximal HR)**는 연령 증가에 따라 감소함공식: Max HR = 220 - 나이 또는 208 - 0.7 × 나이고령일수록 심박수의 최대치가 낮아짐❌ 하지만 **수축기혈압(Systolic BP)**은 운동 중 감소하는 것이 아니라 증가하는 게 정상 반응임나이가 들수록 혈관의 탄성 감소로 인해 운동 중 SBP가 더 많이 상승할 수 있음📘 ACSM 11판 원문:“SBP should increase with increasing workloads. A failure .. 2025. 3. 31. 23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부하검사 1-5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 보기 분석① “질환에 대한 진단과 예후 및 평가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맞음운동부하검사는 관상동맥질환 진단, 치료 반응, 예후 평가, 심폐체력 측정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돼.“Exercise testing is used for diagnostic, prognostic, and functional capacity evaluation.”🟢 완벽한 정의, 맞는 보기② “진행 중인 불안정 협심증 진단을 위해 검사하는 것을 추천한다.”❌ 틀림 ← 정답!⚠️ **불안정 협심증(Unstable angina)**은 절대적 금기사항 중 하나야!“Unstable angina is an absolute contraindication to symptom-limited exercise testing.”진단을 위.. 2025. 3. 30. 23년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처방론 16-20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 🔍 보기 분석㉠ “당뇨병 합병증으로 인한 금기사항이 아니라면 고강도의 유산소운동을 더 많이 강조해야 한다.”✅ 맞음📄 ACSM 11판, p. 247“Vigorous-intensity exercise may provide greater benefits than moderate intensity if no contraindications are present.”✔ 고강도 유산소운동은 금기사항이 없다면 더 많은 효과 가능✔ 특히 2형 당뇨 환자에서 인슐린 민감도 증가 효과 큼🟢 따라서 보기 ㉠은 맞는 보기㉡ “제2형 당뇨병 환자는 유산소운동을 2일 이상 연속해서 중단하지 않도록 한다.”✅ 맞음📄 ACSM 11판, p. 248“Individuals with type 2 diabetes should avo.. 2025. 3. 30. 23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처방론 11번-15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 출제 의도β-차단제의 생리학적 효과에 대한 이해를 물어보는 문제야.ACSM’s Guidelines 11판에 따르면, β-차단제는 심장 관련 반응(심박수, 혈압 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운동 시 처방 기준과 반응 예측이 중요해짐.📘 β-blocker의 주요 효과 (ACSM 11판 기준)**심근 수용체(β1)**를 차단하여 ⬇️ 심박수(HR), ⬇️ 수축력(contractility), ⬇️ 혈압(BP) 유도함.이로 인해:심박 반응 둔화 (심박수 상승 제한)운동 중 혈압 반응 저하최대 운동능력(V̇O₂max) 감소심박수 기반 운동강도 설정이 어렵다 → Borg 자각운동강도(RPE)로 대체체온 조절 관련해서는 일부 말초혈관 수축 등으로 땀이 적게 나 체온 조절에 방해될 수 있음📌 보기 분석보기문장맞/.. 2025. 3. 30. 23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처방론 6-10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 문제 분석6번 문제는 유연성 운동(flexibility exercise)에 대한 설명 중에서, ACSM 11판이 권장하는 내용만을 고르는 문제야.보기 문항 분석 (ACSM 11판 기준)① 동적 스트레칭은 운동 기능 향상을 위한 보조 운동으로 권장된다.✅ 맞아.ACSM은 운동 전 워밍업 시 동적 스트레칭(dynamic stretching) 을 통해 기능적 유연성과 수행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해. 특히 운동 능력 향상이나 경기력 향상 목적일 땐 동적 스트레칭이 적절하다고 하지.🟣 즉, 운동 기능 향상 목적에는 동적 스트레칭이 적절한 보조 수단임.② 관절염 환자는 통증 없이 긴장을 느끼는 상태까지 신전한다.✅ 맞아.ACSM은 만성 질환자나 노인, 관절염 환자 등에게 유연성 운동을 처방할 .. 2025. 3. 29. 23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처방론 1-5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 ✅ 먼저, ACSM 11판 – Warm-up의 권장사항 요약항목권장 기준✅ 시간최소 5 ~ 10분✅ 강도Low to Moderate intensity (저 ~ 중강도)✅ 형태유산소성 리듬 운동 + 동적 스트레칭 포함 가능❌ 정적 스트레칭은 별도 or 본운동 후 수행 권장 (일반적으로 warm-up 중 X)✅ 목적심박수, 체온, 근육 탄력 증가 → 부상 예방 및 운동 효율 증가🔍 보기별 분석① 최대근력이 요구되는 운동에는 정적 스트레칭이 동적 스트레칭보다 더 효과적이다.❌ 틀림 → 정답ACSM 11판은 **정적 스트레칭(static stretching)**이 근력 및 파워를 감소시킬 수 있다고 밝힘특히 근력/파워 운동 전에는 **동적 스트레칭(dynamic stretching)**이 더 적합하다고 권장함.. 2025. 3. 29. 23년 건강운동관리사 건강체력평가 16-20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 주어진 정보METs: 7체중: 80kg시간: 30분빈도: 3회/주산소소비량 1L당 5 kcal 소비✅ 순(net) 산소 소비량(ml) 구하기✅ ml → L 변환✅ 에너지 소비량 (kcal) 계산🎯 최종 정답: ② 756 kcal/주🧠 이번 방식 요약 (네가 제시한 방식 기준)순 에너지량이라는 함정을 조심하게나 ✅ 1. 기본 용어 정리용어의미용어의미🔴 민감도(Sensitivity)비만인 사람 중 검사에서 양성으로 나온 비율 (진짜 비만을 얼마나 잘 찾아내는가)🔵 특이도(Specificity)정상인 사람 중 검사에서 음성으로 나온 비율 (비만 아닌 사람을 얼마나 잘 걸러내는가)✅ 2. 표 다시 정리검사결과 ↓ 실제상태 →비만 (Positive)정상 (Negative)합계양성 (Positi.. 2025. 3. 28. 23년 건강운동관리사 건강체력평가 11번-15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 개념 정리: 심폐지구력 검사 결과 해석🔴 1. 결정계수 R^2 (Coefficient of Determination)정의: 독립변수가 종속변수를 얼마나 잘 설명하는지 나타내는 지표범위: 0 ~ 1 사이 값해석:R^2 = 0.81 → 독립변수가 종속변수 변동의 81%를 설명함✅ 클수록 모델의 설명력↑, 즉 예측력↑🔵 2. 상관계수 r (Correlation Coefficient)정의: 두 변수 간 직선적 관계의 강도와 방향을 나타내는 지표범위: -1 ~ +1r>0r > 0r>0: 양의 상관관계rr0: 음의 상관관계계산: r=R2r = \sqrt{R^2}r=R2 (단, 양의 선형관계일 때만 해당)예시: R^2=0.81→r=0.9🟣 3. 단순 선형 회귀식 (Simple Linear Regressio.. 2025. 3. 28. 23년 건강운동관리사 건강체력평가 6-10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이 문제는 규칙적인 신체활동과 운동이 우리 몸에 주는 생리학적 이점을 물어보는 문제야.ACSM 11판에서도 “운동의 만성적 효과(Chronic Adaptations to Exercise)” 파트에서 명확하게 정리되어 있어.✅ 문제규칙적인 신체활동과 운동의 이점으로만 고른 것은?① 절대적 최대하 강도에서 분당호흡량과 심근산소소비량 증가② 안정 시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 감소③ 최대산소섭취량 증가와 안정 시 심박수 감소④ 인슐린 감수성과 포도당 내성 감소✅ 정답: ②번 ㄴ,ㄷ📘 ACSM 11판 기준: 운동의 이점🟢 운동이 우리 몸에 주는 대표적 ‘긍정적’ 효과들신체 계통운동의 이점신체계통운동의 이점❤️ 심혈관계▪ 안정시 심박수(HR) 감소 → 심박출량↑▪ 안정시 수축기/이완기 혈압 감소▪ 혈관 탄성.. 2025. 3. 28. 23년 건강운동관리사 건강체력평가 1-5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 문제체력 검사 시 검사자가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① 검사 대상자의 병력② 검사 대상자의 참여 동의③ 검사 대상자의 자기 효능감④ 검사 대상자의 안정 시 심박수✅ 정답: ③ 검사 대상자의 자기 효능감🔍 정답 분석 (출제자의 의도)이 문제는 체력 검사 시 고려해야 할 필수 요소를 묻는 문제로,**자기 효능감(self-efficacy)**은 중요한 심리 요인이지만,*“검사자 입장에서 평가를 계획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기준은 아님”*을 묻고 있는 문제임.📘 ACSM 11판 기준 개념 정리**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11판)**에 따르면, 체력 검사 전 고려해야 할 주요 요소는 다음과 같아:✔️ 필수 고려 사항.. 2025. 3. 28. 이전 1 다음 반응형